자연을 숭배하는 다우르족(DAWOERZU, 達翰爾) 다우르족은 주로 내몽고 자치구 동쪽과 흑룡강 서쪽, 중국의 동북부 대흥안령의 동쪽 끝없는 대초원위에 살고 있는 민족이다. 현재 약 14만 여명의 인구로 집계되었다.
사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다우르족은 원말명초의 거란족의 후예라고 한다. 다우르족의 선조는 외흥안령의 남쪽에서 흑룡강북쪽지역의 협곡지대에 거주하였으며 17세기 중엽이후 점차 이주하여 신강지역까지 이주하게 되었다. 17세기이전에 이미 다우르족은 촌락을 이루며 집단거주생활을 하였으며 수렵과 어업의 전통적인 생산 활동을 하며 남쪽으로 이주하면서 농경생활로 신속하게 변화발전한 민족이다. 1947년 다우르족은 목축업까지 겸하면서 자유롭게 방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다우르족의 원뜻은 ‘원래의 지방’ 즉 고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몇 백 년 이래 다우르족은 유목 생활을 하였으며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진정한 그들의 고향이 어디인지는 그들 스스로도 알지 못하고 있다. 단지 입으로 전해지는 옛날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고향을 추측하고 있을 뿐이다.
다우르족은 스스로를 다우르족이라고 칭하였으며 역대에는 達呼爾, 打虎兒, 達蝴里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다우르족은 단결력이 강한 민족으로 명말청초에 남하하는 러시아 세력과 맞서 전쟁을 하던 민족이다. 다우르족은 자신의 고유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언어는 알타이어계 몽고어족에 속한다. 고유의 문자는 없으며 한자를 사용하며 소수의 다우르족이 만주문자와 카자흐족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거주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방언에 어법이나 어휘 부분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다.
다우르족은 살만교를 주로 믿고 있으며 소수의 다우르족은 라마교를 신봉하고 있다. 다우르족은 자연숭배사상이 강한 민족으로 매년 음력 5월이 되면 소나 돼지를 잡아 하늘과 산 등 자연에 제사를 지낸다. 그래서 집집마다 사당이 있다. 심지어 병을 치료하는 영험한 기운이 있다고 믿는 다우르족은 집안에 환자가 있을 경우 가축을 잡아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이런 전통적인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다우르족은 다신교 신봉의 성격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지금도 하늘과 산과 불과 조상에 대해 모두 제사를 모시고 있다. 다우르족이 거주하는 지역과 인접한 곳의 여러 지대의 영향으로 그들은 독특한 역사문화의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문화의 다원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다우르족의 경제, 생활, 민족문화와 전통관습의 모든 부분에서 농업, 목축업, 어업등 다양한 문화가 함께 어우러져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다우르족은 농경민족으로 당나라 시대의 말기에 한족의 선진문물을 배웠으며 한족의 선진 농경기술을 받아들여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 때부터 한 곳에 거주하는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민족의 진정한 농경문화를 창조하기 시작하였다. 다우르족이 사용하는 어휘에서 농업과 관련된 즉, 곡물, 채소, 가축, 각종 나무의 명칭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음식의 맛이 음식의 풍부한 재료 등이 언어로 다 표현되고 있다.
다우르족이 사용하는 문자의 특징으로는 요나라시대의 거란의 문자가 적게나마 아직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만주문자, 한자, 카자흐족 문자, 위구르문자 등도 볼 수 있다. 최근 다우르족은 자신들의 문자를 창제하고자 하는 여론이 많아 전통을 유지하면서 자신들을 표현할 새로운 문자 계발에 노력을 하고 있다. 문학예술적인 방면의 특징으로는 농업생활과 어업활동 등을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살만교의 제사에 사용되던 축사를 아직까지 보유하고 있다.
다우르족의 선조는 발달된 과학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기후관측과 천문역법, 의학 방면에 발달된 과학기술을 응용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아라비아의 계산법을 받아들여 '거란산법'을 만들었으며 11세기 초 이탈리아의 선진농업 기술책에 의한 나무와 꽃을 구분하고 독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고 식용과 그렇지 않은 것 등을 구분하는 등 농업에 상당히 발전하였다. 다우르족의 민간예술부분은 매우 다채롭다. 만주문자를 이용하여 쓴 십여편의 문집과 서사시는 다우르족의 생산 활동을 사실성 있게 반영하는 작품들이다. 다우르족의 전통 주택은 소나무와 자작나무로 대들보를 만들며 황토로 벽과 벽 사이에 넣어 보온과 방음의 효과를 내고 지붕은 풀이나 짚을 이용하고 있다. 2칸의 방을 지을 때는 서쪽이 침실이고 동쪽이 주방이 되며 3칸 또는 5칸의 방은 중간의 방이 주방이 되며 양쪽이 침실이 된다. 주택은 남향의 높고 큰 '介'자형 초가집에 안과 밖은 각종 도안으로 장식하고 집집마다 울타리를 아름답게 장식하고 있다. 집집마다 마굿간과 외양간은 집과 떨어져 있으며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있다.
다우르족에게는 서쪽이 귀한 방향이며 어른과 함께 살 경우 며느리와 아이들은 북쪽이나 동쪽 방을 이용하며 서쪽은 손님을 위하여 마련하여 놓는다. 온돌위에는 방석이나 양탄자를 깐다. 경제의 발전에 따라 초가집보다는 벽돌을 이용하여 집을 짓는 경향이 늘고 있지만 아직도 다우르족은 온돌을 이용하여 보온을 하고 온돌위에서 생활하는 것을 좋아하고 있다. 다우르족의 주요 명절로는 설날을 꼽을 수 있다. 일 년 중에서 가장 성대하게 펼쳐지며 명절 동안에는 성장을 하며 집집마다 안부를 묻고 서로 선물을 교환한다. 설날전날 밤에는 여러 곡물과 다른 물건 등을 이용하여 30가지 고명을 만두에 넣어 만두를 빚는다. 예를 들어 만두를 먹는 도중에 발견된 백색 실은 장수를 상징하며 동전은 부를 상징하고 있다. 기타 명절은 한족의 다른 명절과 같다. 다우르족은 어른을 공경하며 손님을 접대할 때 융숭하게 하는 민족이다. 길을 가다가 어른을 만나며 반드시 인사를 하고 어른이 먼저 길을 갈 수 있도록 안배를 하며 어른이 좋아하는 음식을 어른이 먼저 드시거나 나중에 따로 더 드실 수 있도록 남겨 놓는 등 아름다운 미풍양속을 가지고 있다. 다우르족은 일부일처제이며 씨족 외 혼인을 원칙으로 한다. 청혼 때는 남자 집에서 여자 집으로 말, 양, 소, 술 등을 선물하고 여자 집에서는 아가씨를 고의로 숨겨 놓고 청혼자를 만나지 못하게 하며 결혼 한 달 전에는 옷과 기타 여러 가지 물건을 선물로 여자 집에 보내게 되는데 이 때 아가씨를 만날 수 있으며 같이 국수를 먹는다. 결혼 피로연 때는 풍성하게 음식을 준비하며 길을 오고 가는 아는 사람이든 모르는 사람이든 상관없이 피로연장에서 음식을 먹고 길을 가도록 하고 있다.
주식은 우유에 쌀보리, 메밀, 옥수수 등을 이용하여 빵을 만들어 먹고 밀가루를 이용하여 각종 국수류를 만들어 먹고 있다. 사슴, 멧돼지, 산양 등을 사냥하여 먹기도 하였는데 현재는 수가 적어져서 사냥을 하기보다는 집에서 기르는 가축을 먹고 있다. 고기는 포를 떠서 말려 육포를 만들거나 탕으로 이용하고 생선은 각종 향료를 넣어 탕을 만들어 먹는다. 또, 겨울을 위하여 각종 야채를 소금으로 절여 염장식품을 만들거나 식초에 절여 피클류를 만들거나 야채를 햇볕에 말려 건조시킨 후 요리를 만들어 먹고 있다. |
출처: 중국과 서예 원문보기 글쓴이: 금릉산방인 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