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7장 정신장애의 이해
1.정신장애의 원인
-소인, 뇌의 기질적 원인, 심리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나눈다.
-대부분정신장애는 어느 특정 요인 한 가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기는 것으로 생물심리사회적 모델
1) 소인 - ⦁유전- 다중적 인자(polygenic)인 지능, 성격, 기질(temperament)이 정신장애
⦁체질- 비만형(endomorphic)은 사교적 성격과 기분(정동)장애
근육형(mesomorphic)은 투사형 성격 및 반사회적 인격장애
세장형(ectomorphic)은 내성적 경향의 성격과 정신분열증장애
⦁나이- 사춘기, 청소년기, 갱년기, 노년기에 따른 정신질환
⦁성-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남성 = 진행마비, 알코올정신병, 외상성 정신병, 간질과 동맥경화증에 관련된 뇌증후군 등
여성 = 기분장애, 편집장애, 신체질병과 관련된 정신질환
⦁인종 - 사회경제적 여건, 교육, 적응문제, 인종간의 갈등문제 등
2) 뇌의 기질적 원인 - 대뇌에서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고 처리되지 못해서 생기는 정신장 애(예: 외상, 감염, 독성물질 등 뇌증후군을 일으킨다.)
3) 심리적 요인 - 본능적 충동과 관련된 감정 등이 정신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 망상, 환각, 환청)
- 상실에 대한 심리적 반응(예: 사랑의 상실, 자존심의 상실, 의존의 상실, 죽음, 이별, 절망, 미움, 분노와 억압 등)
4) 사회문화적 요인
⦁가족요인 - 질병, 불구화, 사망, 이혼이나 별거 가죽위기, 부모의 정신질환, 아버지나 어머니의 부재 등
⦁사회적 요인 - 환경적, 사회적 스트레스에 의한 장애
⦁문화적 요인 - 문화가 급격히 변화하면 불안, 우울, 고립감, 비현실감, 이인중 정신장애
2. 정신병리
-정신질환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행동, 사고, 의식 등 나타나는 증상
1) 기분과 정동장애
⦁기분이 좋은 경우-경조증. 조증 상태에서 볼 수 있는 즐거운 일 없는데 싱글벙글하는 마음의 상태와 기분이 우쭐해 있는 상태
⦁기분이 안 좋은 경우 - 우울해 할 일은 있으나 그 정도가 지나치거나 우울해 할 일도 없는데 상당기간 지속적으로 우울한 기분은 느낄 때 병적인 우울
⦁불안 - 이유도 없이 아주 강하게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 운동계통에 영향을 주어 안절부절 못하게 되는데, 이을 초조라 한다.
⦁양가감정 - 상반되는 감정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
2)사고장애 - 생체 내외로부터 지각된 자극을 기억이나 상상을 동원하여 해석하고 판단하며 다른 자극과 통합하여 그 의
미를 유추하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개념을 유추하는 기능
(1) 사고형태 및 진행의 장애
자폐적 사고(autistic): 자기 혼자만의 생각에 빠져 있는 경우
=강박관념(obsession): 한 가지 생각에만 계속 맴돌고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
우원증(circumstantiality): 엉뚱한 연상에 의하여 한참 다른 이야기를 하다가 다시 원래 자신이 목표로 한 이야기로 돌
아오는 경우
탈원증(,tangentiality): 원래 이야기를 잊어버리고 다른 이야기만 하는 경우
사고의 비약(flight of idea): 연상과정이 대단히 빠르게 일어나는 것
사고의 지연(retardation of thought): 사고의 비약과는 반대로 연상의 속도가 대단히 느려서 사고 진행이 느리거나 아예 연상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
사고의 중단(thought blocking): 사고의 흐름이 갑자기 멈춰 말을 하게 될 때는 전혀 관련 없는 이야기를 한다.
연상의 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연상은 전체적인 논리성을 유지하면서 이루어지는 것
보속성(perseveration): 외부에서 어떤 자극이 들어오건 하나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계속 같은 말을 되풀이하
는 경우
엉뚱함(irrelevant): 연상이 극도로 이완된 경우
⑪ 지리멸렬(incoherent): 연상이 극도로 이완된 상태
⑫ 신어 조작증(neologism): 신조어를 만들어 내는 것
(2) 사고내용의 장애
환자의 사고 주제는 무엇인가: 어느 한 주제에 집착해 있는가, 지나친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는가?
망상, 관계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 우울성 망상 등
3) 지각장애
착각 - 실제로자극이있고 자극을 인지는 하지만 잘못 해석하는 경우
환각 - 자극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마치 자극이 있는 것처럼 지각하는 현상
4) 의식장애
⦁혼돈(contusion): 헷갈리는 상태.
⦁ 졸음(drowsiness): 의식이 혼탁된 상태.
⦁혼미(stupor): 강력한 자극 시 일시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정도
⦁혼수(coma): 대뇌 기능 마비
5) 지남력장애: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을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가 하는 것
6) 기억장애: 즉각기억, 최근기억, 예전기억
7) 주의력. 집중력장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대사에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능력
8) 지능: 지능 발달이 안되어 지능지수 70 이하면 지적장애
9) 행동장애
과다행동(hyperactivity): 조증서 흔하다.
정신운동지체(psychomotor retardation): 행동이 느려지고 운동량이 적은 것
상동증(stereotypy): 반복행동
매너리즘(mannerism): 습관적으로 하는 별뜻없는 반복행동
함구증(mutism): 스스로는 물론, 물어도 대답을 안 하는 경우
거부증(negativism): 상대방의 요구에 아무런 반응도 안하거나 반대로 하는 경우
3. 정신장애의 분류
- 정신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분류해야 하는 이유는 정신장애 전문가들이 서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공통된 언어를 제공하고 질환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다른 질환들과 다른 점고 유사한 점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함이다.
- 질병의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그에 따른 특정한 치료에 대한 방법을 공유하고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질환들의 원인을 이해하고자 한다.
1) 일반적 분류
- 정신장애는 크게 정신질환과 지적장애로 구분한다.
⦁기질성 정신병: 뇌암, 혈관성 질환, 감염증, 독성, 외상성, 신체적 병리
⦁기능적 정신병: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편집장애, 기타 정신병적 장애 등
2) 국제질병분류와 미국의 진단 및 통계편람에 의한 분류
ICD-10정신장애- ⦁정신병(psychosis), 신경증(neurosis), 인격장애(prsonality disorder), 기타의 정신병이 아닌 정신장애(mental health), 지적장애(mental retardation)
DSM-IV의 다축진단체계 - 미국정신의학협회에서 출간된 것으로
- 정신장애의 진단과 체계
- 환자의 평가
ICD와 DSM의 관계 - 1938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사망원인에 대한 국제적 목록에 정신장애를 ICD-5로 추가했다.
- 정신장애가 의심되는 사람은 전문적인 상담이나 치료를 받아야 한다.
DSM-IV의 다섯 축
⦁축 1-임상적 장애와 임상적 주목의 초점이 되는 기타 상태 (P167참조)
⦁축 2-인격장애와 지적장애,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특정 방어기제
-편집성 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자기애적 성격장애 등
-지적장애=두드러진 발달상 지체장애, 학습, 지적기능 손상
⦁축 3-일반적인 의학적 상태(ICD-10 진단부호 AOO~Z99)
-일정한 감염 및 기생충질환
⦁축 IV-심리사회적, 환경적 문제 기술
-일차적 지지집단과의 문제, 교육적 문제 사회적 환경과 관련되는 문제
-주거적 문제, 건강서비스 문제, 직업적 문제, 경제적 문제
-기타 심리사회적인 문제, 법적 체제와 범죄와의 관계
⦁축 V-심리적, 사회적 직업적 기능 등 전반적 기능상태의 평가(GAF)(p168참조)
4.심리사회적 사정
-사회복지사가 정신과적 면담을 실시하는 목적은 환자 행동의 심리적 원인을 파악하고, 그 증상을 파악하여 사회사업 사정을 정확히 하기 위함이다.
1) 정보수집
(1)인적사항
(2)주 호소- 환자의 호소나 문제점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가능한 환자 스스로 말하는 대로 기록하는 것이 좋다.
(3)현 병력 -병의 과정을 자세히 적어 놓는다.(예: 발병, 촉진요인)
(4)과거 병력 -과거의 정신과적 혹은 의료적 질환에 대해서 기술한다.
-Psychiatric: 환자의 증상, 기능손상 정도, 과거에 받았던 치료 형태, 병원 이름, 유병 기간, 이전 치료의 영향,
치료에 대한 순응 정도 등
-Medical: 현재 증상에 대해 의료적으로 검토해 보고 환자가 이전에 겪었던 주요한 내. 외과적 질환이나 외상에
대해 확인한다.
-Alcohol and other substance history: 알코올과 다른 약물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5)개인력 - 태아기와 주산기, 초기 아동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6)병전 성격 및 사회적 기능 - 병전에 환자의 성격은 어떠하였고, 사회적인 기능은 어떠하였는지에 대해 기록
(7)가족배경
가계도: 가족의 역사와 그 과정에서의 주된 사건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주는 것.
가족체계: -구조적 측면= 스냅사진으로서 정해진 시점에서 체계의 관계
-기능적 측면= 영화로서 체계 과정의 특성을 설명
-발달적 측면= 저속도 촬영술로서 가족기능의 단계설명
가족구조
⦁ 가족원 - 가족체계로서 기능하는 모든 사람들
⦁ 하위체계 -부분하위체계, 부모하위체계, 형제하위체계, 부보-자녀하위체계
역기능적인 하위체계
⦁ 경계 - 가족구성원 간의 경계, 가족 내 하위체계 간의 경계, 가족 외부와의 경계
⦁ 가족 응집력 - 가족들을 묶어주는 정서적 혹은 감정적 끈으로서 일체감을 나타내며 건강한 가족은 구성원들 간의 연결과 분리를 모두 허용한다.
⦁ 가족 환경 - 생활상태, 사회경제적 지위, 지역사회 및 이웃과의 관계, 확대가족
가족기능
⦁의사소통패턴: 일차성과 명확성을 확인해야 한다.
⦁의사결정패턴: 의사결정이 어떻게 의사소통되고 형성되며 강화되는지를 규명한다.
⦁역할수행: 가족은 사회의 중요한 제도들 중의 하나
⦁가족적응력과 대처: 탄생, 성장, 죽음, 질병이나 장애, 변화된 환경적 자원등으로 인해 변화를 경험
⦁생태도: 가족과 그 가족의 생활공간 내에 있는 사람 및 기관 간의 연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
⦁가족발달단계: 사회적 체계로서의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마지막 영역은 가족의 뿌리로서 시작되는 가족의 발달이다.
(8) MSE(면접 당시 CT상태기술, 정보제공자의 면담 시 태도 및 신뢰도 기술)
일반적 기술 -⦁외모
⦁정신운동행동 - 정신운동항진이 있는 경우 =말이나 행동이 빨라진다.
-정신운동저하가 있는 경우 = 말이나 행동이 느려지고, 적어진다.
⦁치료자에 대한 태도 - 협조적, 우호적, 집중적, 관심있는,솔직한 등
기분과 정동 -⦁기분 - 환자의 현저하고 우세한 감정
⦁정동 - 환자가 보여주는 정서상태
⦁적절 - 생각하는 내용과 다르거나 그 사람의 상황과 다를 경우에 부적절 하다고 한다.
언어 - 언어의 속도, 리듬, 분량, 크기, 문법, 그 외 눈에 띄는 어휘나 단어 선택의 문제이다. 언어를 통해서 검사자는
사고의 진행이나 내용에 대해 알 수 있다.
지각장애- 환각, 착각
사고- 각각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형태
감각과 인지 - 의식정도, 지남력, 기억, 주의집중, 읽고 쓰기,
충동조절
판단과 통찰
신뢰성
2) 사정
(1) 이용자원체계
공식적 자원: 직업이아 사회적 활동으로 속하게 되는 조직의 멤버십
비공식적 자원: 가족, 친구, 친지 및 이웃
사회적 자원: 사회보장서비스, 교육 및 보건체계
생태도
사회관계망
(2) Strength and Limitation/weakness
(3) 문제목록(Problem lists-Biopsychosocial Assesment를 기초로 한 문제목록 제시)
심리적 문제(의료적 문제): 정신과적 증상 및 신체상의 의료적 문제를 기술한다.
심리사회적 문제: 심리사회적 기능상의 문제를 기술한다.
결핍된 자원: 환자에게 치료적 개입, 욕구충족, 재활을 위한 여러 가지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지원체계
3) 이론적 배경(사정과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
-클라이언트의 문제 상황의 원인에 대한 dynamic을 기술한다.
4) 목표 및 계획
단기목표: 클라이언트와 의뢰인이 원하는 목표, 시기적으로 우선순위가 있는 목표
장기목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함께 계약을 밎어 지향하는 목표
5) 사회복지사 의견
2조 : 배은하, 송정옥, 안명희.백인숙, 임은성, 임일심, 김윤희, 박현정, 박지은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추운날씨 따뜻한 차 한잔이 좋은 날입니다.
오늘 저녁때 부슬부슬 비도오구 바람까지... 춥더라구요 엄청^^ ..조심하세요~~~ 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