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왕(仁王)
불탑 또는 사찰의 문 양쪽을 지키는 수문신장.
여러 불법 외호선신(外護善神) 가운데 하나이며, 흔히 금강역사(金剛力士)라고도 함.
원래는 인도에서 문을 지키는 신이었는데, 이를 불교에서 받아들여 부처와 불법을 지키는 신으로 변화되었다.
사문(寺門)의 양쪽, 불전의 입구, 불상의 좌우, 탑의 문 등에 한 쌍으로 된 조각이나 그림으로 흔히 보인다.
전신을 벗은 채 허리 아래로만 몸의 곡선이 드러나는 얇은 천을 걸친 모습이며,
얼굴 표정은 매우 무서우나 악의를 찾아볼 수 없고, 자세는 무술을 하는 동작으로 인왕의 역할에 충실하다.
금강은 ‘지(智)’ 를 가리키므로 금강역사는 힘만 센 수호신이 아니라 지혜의 불법 수호천신이다.
《오 분 율》에는 ‘모든 부처님이 계신 곳에는 항상 5백의 금강신이 있어 좌우에서 부처님을 호위하며 모시고 있다’고 하여
금강역사가 부처의 수호신임을 보여주고 있다.
《80화엄경》에는 여러 이름의 집금강신들이 나열되는데, 이들 모두 부처를 바로 곁에서 공양하고 성불하기를 발원하였다.
그리고 부처가 계신 곳이면 어디든지 몸을 나타내어 항상 부지런히 수호한다.

※사천왕과 구분하는 방법: 사천왕은 갑옷을 입고 있고
인왕은 상반신을 벗고 있음

첫댓글 부처님을 보호하는 신이 있는거로 봐서. 부처님의 법과 비슷한 악도 존재하는거 같아요.
하물며 부처님도 이러하신데,세상에는 무서운 악이 얼마나 많이 존재할까요.
불교에는 <不二>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것은 둘이 아니다, 본질적인 면에서 보면 다르지 않다.. 이러한 진리의 세계에서 보면 선과 악이 둘이 아니요,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요, 무서운 악과 보호해야할 법이 둘이 아닙니다..
좋으신 법문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