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행이 끝나고 참가자들과 함께한 성오스님
Ⅱ. Vipassana의 어원적 의미
Vipassana를 대체적으로 Insight 또는 Insight Meditation 즉 통찰수행이라고 해석했다. 팔리어 Vipassana는 접두사 Vi는 많다·다양하다·뛰어나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Passana는 보다, 알아차리다(to see, to find)라는 뜻을 가진 동사 Passati가 명사형으로 변형되면서 봄, 관찰, 통찰이라는 뜻을 내포한다. 그러니까 Vipassana란 다양하게 관찰한다, 뛰어나게 통찰한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되는 것은 다양하게 관찰하다 또 여러 방면에서 통찰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념처(四念處) 즉 우리의 몸, 감각, 마음(의식작용), 법(마음의 대상)에 일어나는 일체의 법을 삼법인(三法印) 즉 무상(無常-Anicca)·고(苦-Dukkha)·무아(無我-Anatta)라는 관점에서 관찰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여러 가지란 삼법인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우리가 이론적이나 관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수행에서 체험되어야 하는 것이다.
법구경(法句經) 제 277∼279(도행품 5·6·7)에 보면
조건에 의해서 이루어진 모든 것은 무상(無常)하나니
지혜(Passati)를 통해서 이 진리를 안 사람은
고통의 경계에 초연하나니
이것이 청정(열반)에 이르는 길이니라.
“All conditioned things are impermanent,” when one sees this in wisdom, then one becomes dispassionate towards the painful. This is the Path to purity.
조건에 의해서 이루어진 모든 것은 괴로운(苦) 것이니
지혜(Passati)를 통해서 이 진리를 안 사람은
고통의 경계에 초연하나니
이것이 청정(열반)에 이르는 길이니라.
“All conditioned things are dukkha(suffering),”when one sees this in wisdom, then one becomes dispassionate towards the painful. This is the Path to purity.
모든 법(Dhamma)에는 영원한 실체(無我)가 없나니
지혜(Passati)를 통해서 이 진리를 안 사람은
고통의 경계에 초연하나니
이것이 청정(열반)에 이르는 길이니라.
“All states(dhamma) are without self,”when one sees this in wisdom, then one becomes dispassionate towards the painful. This is the Path to purity.
다시 말해서 Vipassana 수행이란 지혜통찰에 의해서 삼법인(三法印) 진리를 철견하는 것이다. 삼법인중의 마지막 모든 법에는 무아라는 의미는 세간의 법과 세간을 초월한 법을 모두 의미하고 있으며, 여기서의 무아(無我-anatta)는 내 몸과 마음에만 고정된 불변의 실제적인 존재가 없다(我空)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알고 체득한 법속에도 영원한 실체가 없다(法空)는 의미로써, 내가 없다는 것에만 걸림이 없어야 되는 것이 아니라 법에도 얽매임이 없어야 진정한 해탈이라는 것이다.
Ⅲ. Vipassana 수행의 대상
사념처
(사념처, Cattaro Satipatthana : four foundation of mindfulness)
1. Kayanupassana - Satipatthana (몸, 色)
: Kaya(body, 몸) + Anupassana (realization, consideration,바른 이해, 숙고) 몸에서 일어나는 일체 현상을 알아차림
2. Vedananupassana - Satipatthana (느낌, 受)
: Vedana(feeling, 느낌) + Anupassana
마음 (의식)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차림
3. Cittanupassana - Satipatthana (마음, 心)
: Citta(mind, 마음) + Anupassana
마음 (의식)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차림
4. Dhammanupassana - Satipatthana (법,法)
: Dhamma(law, teaching : 법·현상·존재) + Anupassana
위의 세가지 Dhamma 중에서 발견되지 않은 것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
2001년 9월호 135호
첫댓글 고맙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_()_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