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석[穿石]
水滴穿石 水 : 물 수 작은 노력이라도 끊임없이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이다.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한국 속담에 '낙숫물이 댓돌 뚫는다'와 같은 뜻이다. 송나라 나대경(羅大經)의 《학림옥로(鶴林玉露)》에 나오는 말이다. 그가 숭양 현령으로 재직하고 있었을 때의 일이다. 하루는 관아를 순찰하고 있었는데 한 관원이 황급히 뛰어 나왔다. 이를 수상쩍게 여겨 그를 잡아 조사하니 상투 속에서 엽전 한 닢이 나왔다. 그 엽전은 창고에서 훔친 것이었다. 장괴애는 판결문에 이렇게 적었다. 물방울이 돌에 떨어져 구멍이 뚫린다.) 장괴애는 손수 그를 베어버렸다. 이 고사에는 잘못된 행실이 모이면 큰 재앙을 부르게 되며,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는 초기에 싹을 잘라버려야 뒤탈이 없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동의어로 점적천석(點積穿石), 유사어로는 우공이산(愚公移山)·적토성산(積土成山)· 적수성연(積水成淵)·산류천석(山溜穿石)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