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김천] 죽도 밥도 아닌 향수 가득한 음식, 김천 갱시기
우리들 밥상에 오르는 음식들은 저마다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 중엔 세월을 따라 모습이 변한 음식도 있고, 처음 만들어진 모습 그대로 지금껏 전해지는 음식도 있다. 야채를 소금에 절여
먹던 침채가 변하여 김치가 된것이 대표적인 예. 김치는 그 자체로도 훌륭한 음식이지만 다른 음식과 궁합을 맞춰 함께 먹을
때 더욱 그 빛을 발한다. 김치가 더해지면서 음식이 더욱 맛깔스러어지는 것. 배고픔을 이기기 위해 온 식구가 죽을
쑤어 먹던 갱시기도 그런 음식 중 하나다.
어려웠던 시절의 동반자, 김천 갱시기
갱시기 또는 갱죽은 갱식에서 나온 말이다. 갱은 제사 지낼 때 무와 다시 등을 넣어 끓인 국을 말하는데, 물이나 국에다 밥을
넣고 끓이는 죽이라 갱죽이라고 불리었다 한다. 갱죽의 '갱'을 '다시 갱'으로 쓰기 때문에 한 번 밥이 된 것을 다시 끓인다 하여
갱죽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야기야 어찌 됐든 간간한 무청김치나 묵은김치를 주재료로 보리밥과 기타 부식재료 등을 넣어
끓인 음식이니 그 의미는 거의 같다. 갱시기 또는 갱죽은 경북 서북부지방에서 오래전부터 보릿고개를 넘기 위해 먹었던
음식이자 개발을 부르짓던 60~70년대의 어려웠던 시절을 대표하는 서민음식이다. 우리네 아버지가 먹었던 음식이고,
그 아버지의 어머니가 가족을 위해 끓였던 음식이니 기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만으로도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음식인 것을
알 수 있다.
1970년대 이전에는 갱시기를 별식이 아닌 주식으로 더 많이 먹었다. 많은 가족들이 배를 곯지 않고 하루를 보내기에 갱시기가
제격이었기 때문이다. 먹을거리가 부족해서 음식의 양을 늘려 먹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죽을 선택했다. 보릿고개를 넘기는
구황음식이기도 했다. 힘들었던 시절, 서민들이 만들어낸 지혜인 셈이다. 갱시기 한그릇을 먹는 순간은 배가 부르지만, 금세
꺼져버린 배를 움켜쥐고 기나긴 밤을 보내야 했던 사람들에게 추억의 음식이 아닌 말로 그대로 '징글징글'한 음식이다.
갱시기로 보릿고개를 넘기지 않아도 된 것은 1970년대로 접어들면서이다. 80~90개의 낱알이 열리던 기존의 벼를 대신해
130~140개의 낱알이 열리는 통일벼가 보급된 것이다. 40%이상의 식량증대가 이뤄져 서민들의 삶이 조금씩 나아졌다.
이후 생시기는 주식에서 별식으로 바뀌게 되었고, 생활이 어려워서 먹는 음식이 아닌 웰빙 건강식, 과음 후 속풀이 해장식으로
변모했다. 불과 30년 전만 해도 먹기 싫어도 어쩔 수 없이 먹어야 했던 음식 이제는 찾아갸아 맛볼 수 있는 음식이 된 것이다.
요즘 만드는 갱시기는 예전에 비해 훨씬 더 고급 재료를 사용한다. 집에서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간편한 음식으로 노태우 전
대통령이 청와대에서도 자주 먹었다고 한다. 갱시기를 아는 애주가들은 술 마신 다음 날 속풀이 음식으로도 갱시기가
으뜸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