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울다다기양배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명칭 |
학명 : Brassica oleracea L. var. gemmifera Zenk.(D.C.) |
영명 : Brussels sprouts, Baby cabbage |
중국명 : 龍眼包心菜, 子持甘藍, 抱子甘藍, 芽甘藍 |
방울다다기양배추(Brassica oleracea L. var. gemmifera Zenk.(D.C.))를 영명으로 Brussels sprouts라고 부르는 것은 벨기에의 수도인 브뤼셀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왔기 때문이다. |
|
원산지 및 내력 |
방울다다기양배추는 양배추류를 기원으로 하는 재배식물로 작은 결구엽을 식용하는 것이다. 양배추류는 유럽의 서부 또는 남부의 해안지방에 자생하는 1년초 또는 다년초 때로는 2년초이나 변이성이 매우 많고 여러 가지 계통의 재배식물이 생겨난 것인데 방울다다기양배추는 이들 계통 중의 하나이다. |
|
국내외 생산 현황 |
우리나라는 1989년 이전까지 해마다 0.4∼5ha(2∼81M/T) 정도 재배를 했으나 그 이후 조사로는 규모를 파악하기 곤란할 정도로 거의 재배를 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
|
주요 품종 특성 |
우리나라는 현재 미국, 일본 등지에서 주로 수입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국내 육성종은 없다. |
가) 페어 긴트(Peer Gynt) |
파종해서 수확기까지 160일이 걸리며 수확기는 10월 한달로서 초장은 작은 계통에 속한다. 냉동저장이 잘 된다. |
나) 톱스코어(Topscore) |
페어 긴트와 같은 조생종으로 수확기는 10월 한달간이다. |
다) 루네트(Lunet) |
재배 기간이 180∼190일로서 중생종이다. 새끼양배추의 색은 진한 녹색으로 주로 10월 말에서 11월에 걸쳐 수확한다. |
라) 킹 아더(King Arthur) |
키는 다소 크며(1.1m), 수확기까지는 200일이 소요되어 12월에 주로 수확된다. 구가 아래서부터 위까지 균일해서 한번에 수확할 수 있다. 냉동저장용 품종이다. |
마) 시그문트(Sigmund) |
수확기가 아주 늦어 재배 기간이 약 250일 걸린다. 수확은 12월부터 가능하며 보온을 해서 1월에 주로 실시하며 냉동저장용 품종이다. |
|
생리 생태적 특성 |
다른 양배추처럼 시원한 기후를 좋아하는데 크지 않은 모종이 저온을 받으면 화아분화가 되는 녹색식물 감응형이다. |
|
재배 기술 |
기계를 이용하거나 또는 인부를 동원하더라도 1회에 걸쳐 전부 수확하여 저장하는 재배법은 표와 같이 육묘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 1회 수확을 위한 육묘계획 >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용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마지막 4월 파종재배형을 택해서 여름을 넘겨 10월부터 조기 수확하는 것이 좋다. |
|
식품가치 및 이용 |
방울다다기양배추의 가식부 100g당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표와 같다. 단백질, 당질, 칼슘, 인, 비타민A, C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식품가치가 높다. 또한 익혀서 먹더라도 영양가가 높다. <방울다다기양배추의 영양성분표(가식부 100g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