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radox of the void of nothingness versus the reality of Allness is the last great positionality to be transcended. Were it not for the presumed authority of certain misinterpretations of the Buddhist teachings, it would have fallen away as an error that is resolvable just by reason. If the nothingness of the Void were the absolute reality, then there would be neither a seeker nor a void to be found. To be truly void, even voidness would not be a realizable option as there would be nothing to realize and no one to realize it. ‘무nothingness의 공 vs 전부임Allness의 실상’이라는 역설은 초월되어야 하는 마지막 커다란 위치성입니다. 불교 가르침에 관한 특정한 잘못된 해석의 추정된 권위가 아니었다면, 단지 이성으로도 해결 가능한 오류로서 그것은 사라졌을 것입니다. 공의 무가 절대적 실상이라면 찾는 이도, 찾아진 공도 없을 것입니다. 진실로 공하기 위해서는, 공조차 각성 가능한 선택지가 아닐 것인데, 각성할 것도, 각성할 이도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The Void is not to be feared but refused. The Void is a trap for the aspirant who follows the pathway of negation. It does not present itself as an option to the pathway of affirmation, for to such a pathway, voidness would present itself as total nonlove. 공은 두려워해야 할 것이 아니라 거절되어야 할 것입니다. 공은 부정의 길을 따르는 열망자에게 놓인 함정입니다. 긍정의 길에는 선택지로 나타나지 않는데, 공이 전적인 사랑-아님nonlove으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Allness versus Nothingness is a classical duality and is the ultimate pair of opposites to transcend. When one follows the strict pathway of negation, the state of Void as such does indeed present itself. This results from the error of avoiding love due to the misunderstanding of love. The attachment to love is really the trap and the barrier to enlightenment. In Reality, love is freedom, but attachment to love is a limitation. 전부임 대 무는 고전적 이원성이며 초월되는 궁극적인 반대 쌍입니다. 사람이 엄격한 부정의 길을 따른다면, 공의 상태 그 자체가 정말로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는 사랑을 잘못 이해하여 사랑을 피한 오류의 결과입니다. 사랑에 대한 집착은 정말로 덫이며 깨달음에 대한 장벽입니다. 실상에서, 사랑은 자유이지만, 사랑에 대한 집착은 제약입니다.
Another error of the pathway of negation is the teaching that one should release all beauty, perfection, and joy. Here again, the attachment to these is the barrier. In actuality, these are the attributes of God. To negate the attributes of God is to facilitate the arrival of the option of the Void. 부정의 길의 또 다른 오류는 사람이 모든 아름다움, 완벽함, 기쁨을 놓아야 한다는 가르침입니다. 여기서도 다시, 이러한 것들에 대한 집착은 장벽입니다. 실제로 이것들은 신의 속성들입니다. 신의 속성들을 부정하는 것은 공의 선택지에 도달하게 합니다.
The Void is indeed very, very impressive. One is beyond karma and all programs. This state appears to be infinite, endless, nonlinear, and forever. It is so profound that it precludes any thought. It is a nonlinearity, devoid of any content. Importantly, however, there is something missing, and that is the presence of Love. This state presents itself as ‘beyond Love’, and therefore believable to the pathway of negation. 공은 정말로 매우, 매우 인상적입니다. 사람은 카르마와 모든 프로그램 너머에 있습니다. 이 상태는 무한하며, 끝없고, 비선형적이고, 영원한 듯 보입니다. 너무나 심원하여 어떤 생각도 배제합니다. 공은 비선형성이며 어떤 내용도 부재합니다. 하지만 중요하게도, 빠진 무언가가 있는데 그것은 사랑의 현존입니다. 이 상태는 ‘사랑 너머의’ 것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부정의 길에는 그럴듯합니다.
In the experience of that state of Void, simultaneously present was the knowingness that if the Void, or nonexistence, were the ultimate reality, then what still existed in order to witness the nothingness? If the Void were the ultimate, there would be no survival to claim its authenticity. The benevolence of the Self seemed to be the source of the call, but to respond to it took prolonged and intense endeavor. 공의 그 상태를 경험하는 데에서, 동시에 ‘공이나 비존재가 궁극적 실상이라면, 무를 목격하기위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앎이 있었습니다. 공이 궁극이라면 그것이 진짜임을 주장할 살아남은 자가 없을 것입니다. 참나의 자비심이 부름의 근원인 듯 보였지만, 거기 반응하는 것에는 장기간의 강렬한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호모스피리투스 16장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