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에 좋은 약초 (진득찰) 진득찰민진득찰, 점호채, 粘糊菜, 화험초, 火薟草, 희선, 稀仙 진득찰이 자라는 어린 모습입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수 있습니다.진득찰은 국화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이며 산과 들, 밭등에서 자라는 잡초입니다. 한방에서는 희렴초라고 부르며 약용하는 약초 입니다.
잎 마주나며 길이 5~13cm, 나비 3.5~11cm인 달걀 모양의 삼각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잎자루로 흐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양면에 누운 털이 있으며 뒷면에 샘점이 있고 3개의 맥이 달린다. 잎은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 긴 타원형 또는 선형으로 변하고 잎자루가 없어진다.
꽃 8~9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두상화가 산방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받침 조각은 5개이고 주걱 모양으로 퍼지는데 안쪽 조각은 꽃을 둘러싸며 샘털이 빽빽이 나 있다. 두상화는 혀꽃과 대롱꽃으로 구성된다. 혀꽃의 꽃부리는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대롱꽃의 꽃부리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10월에 길이 약 2mm인 거꿀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모난 줄이 4개 있고 검게 윤이 나며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민진득찰·점호채(粘糊菜)·진둥찰·화험초(花杴草)·희선(希仙)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서서 자라는데 갈색을 띠는 자주색이며 잔털이 있으나 잘 보이지 않고 가지가 마주 난다. 풀 전체에 난 끈적끈적한 샘털은 끈기가 있어 옷에 잘 붙는다. 유사종으로 전체에 퍼진 털이 있는 것을 털진득찰이라 한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온포기를 희첨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효능 주로 운동계 질환과 풍증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간염, 강근골, 고혈압, 구안와사, 근골위약, 나력, 류머티즘, 마비, 반신불수, 백전풍, 보간·청간, 수족마목, 슬약, 심장병, 종독, 중풍, 진통, 창종, 풍, 풍비, 풍습, 피부병, 황달
진득찰 약초 진득찰은 민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약초로, 풍습을 없애고 경맥을 통하게 하며 혈압 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진득찰은 들이나 밭 근처에서 흔하게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쌍떡잎식물입니다. 여름에 꽃이 필 때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합니다. 다른 이름 진득찰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진둥찰 회첨 찐득찰 민득찰 민진득찰 풍습초 점호채 한약명 한약에서는 진득찰을 희렴초 또는 희첨초라고 부릅니다. 특징 한국이 원산지인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합니다. 쌍떡잎식물로, 들, 길가, 빈터에서 자랍니다. 전초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여름에 꽃이 필 때 채취합니다.
진득찰 약초 소개 진득찰은 풍습을 없애고 경맥을 통하게 하며 혈압 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들이나 밭 근처에서 흔하게 자라며, 여름에 꽃이 필 때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합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진둥찰, 회첨, 찐득찰, 민득찰, 민진득찰, 풍습초, 점호채 등이 있습니다. 진득찰은 한약명으로 희렴초 또는 희첨초라고 하며, 한국이 원산지인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입니다. 전국 각지의 들, 길가, 빈터에서 자랍니다. 속성효능
진득찰은 고혈압증세를 호전시켜주고 마비증상을 회복 시켜주는데 효능이 있는 약초로 잘 알려 졌지요. 진득찰의 꽃몽우리가 만들어지는 시기 입니다. 어린순은 데쳐서 찬물에 담가 쓴맛을 제거한후에 나물로 먹을수 있습니다.
아직은 어린 꽃송이 입니다. 진득찰 꽃의 가장자리가 붉게 물들면 성숙이 된 꽃송이 입니다. 꽃속에는 종자가 여물어 있습니다.씨앗을 채취할때는 이때쯤부터 채취가 가능합니다. 꽃이 활짝 피고 붉게 물드는것들은 종자가 여물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이때쯤 채취하여 말려서 약재로 이용 하면 약효도 좋습니다. 종자채취는 이때쯤 꽃송이째 채취를 하여 건조한 후에 비벼서 씨앗을 골라 냅니다.채취할떄 끈적임으로 인하여 손에 붙어 잘떨어지지 않으며 물에 젖은 밋밋한 장갑을 끼고 꽃송이를 채취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