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atone p-610 을 처음 접한 것은 25년전인 2000년초반경이다. 동네형님이시자 일본어 전공자로 오디오 잡지의 일본 특파원으로 일본에 몇년 거주하시고 일본내 지인도 많으신 형님을 통해 몇조 구한 것이 처음이었다.
명성에 비해 싼가격에 구입했고, 명성에 비해 다소 초라한 외관에 실망 했었고, 평판에 넣어 들어본 소리에 아쉬웠던 것이 기억 난다.
이렇게 글도 쓰고 급 관심을 가지게 된것은 작년 일본에서 제법 큰 통에 들은 (일본내 공제... 파시는 분은 공제란다) p-610db(8옴) 유닛을 구해 듣고 깜짝 놀라서 였다.
오디오 사이트에서 다이아톤에 바친 열정이라는 기사를 읽고 내가 25년전 시도 했던 평판으로는 다이아톤의 진가를 느낄 수 없다는 것을 알게되고 부터 일본의 자작기 청음기 리뷰 등을 찾아 읽는데 대부분 통에 들은 다이아톤 심지어 더블에 트위터를 단 대형의 통도 있었다.
해서 사진의 통에 들은 다이아톤을 구했고 너무도 놀라운 소리에 96년 재발매된 p-610m과, 함께 발매된 오리지널 통도 무리해서 구입하게 되었다.
며칠전에도, 엊저녁에도 산스이 인티에 물린 다이아톤의 소리에 동호인들은 놀랜다. 어떻게 이 작은 유닛에서 이런 저음이 이런 다이나믹이 이런 고음이...
풀레인지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이런 좋은 유닛이 제대로된 통에서 제대로 울리고 그 소리에 맞는 대접을 받았으면 한다
아래는 관련 자료를 정리한 것인데 한번들 읽어보시기 바란다.
1. 소리샾에 실린 '다이아톤 p-610에 바친 열정'이라는 기사다. 다시 한번 다이아톤에 관심을 가지고 도전케한 기사로 글쓴이의 열정에 감탄 또 감탄한다.
https://www.sorishop.com/board/special/board_view.html?s_key=&s_field=&category=&page=15&no=471
2. 일본과 최근 중국에서 제작한 다이아톤 p-610에 대한 비교로 꽤 재밌다. (영어가 안되는 저는 구글 번역으로 ㅎㅎ)
http://www.glowinthedarkaudio.com/diatone-p610.html
3. Orgue Audio Diatone Reference P-610 라우드 스피커... 미국에 있는 회사에서 중국 다이아톤 유닛을 수입해 제작한 스피커에 대한 리뷰다. 근데 오리지널 유닛도 중국산 복제품과 비슷한 가격에 구할 수 있는데 굳이... 이런 생각이 드네... ㅎㅎ
https://www.remusic.it/EN/Orgue-Audio-Diatone-Reference-P-610-loudspeakers-21c31200
4. 홧 베스트 포럼이란데인데 중국산과 일제 구형과 신형 다이아톤을 비교해 놓았다. 흠 더블 다이아톤이 궁금한데...
https://www.whatsbestforum.com/threads/diatone-p610-and-its-current-chinese-clones-anybody-ever-tried-them.33173/
5. DYI 빌드 포럼이라는 곳으로 다이아톤 유닛을 이용한 자작 관련 내용이 있다.
https://www.audiosciencereview.com/forum/index.php?threads/diatone-p610-diy-build.35361/
6. 다이아톤 p610 통을 만들었다. - 국내 메니아의 자작기... 이 정도는 만들어야 제소리가 나지 싶어요.
7. DIATONE P-610 DA 유닛의 구성에 대한 본인의 의견
https://enjoyaudio.kr/zbxe/index.php?mid=questions&document_srl=1171477
실용오디오에 실린 이재근 선생님의 글입니다. 2006년도 글인데도 불구하고 역시 고수는 대단하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 하는 글입니다. 몇가지 저와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만... 어쩌면 610 유닛의 핵심을 찔러 쓰셨을까
하는 글입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염치 없이 글 내용중 이선생님께서 개인의견이라는 부분을 퍼 왔습니다. 전문은 위에 링크에서 보시면 될듯
합니다. (너무 좋은 글이라 "없어지면 어떻하지" 하는 염려에...)
****************************본인의 의견***********************************
4.제품의조합에서의 검토
P610DA의 경우 미로형 타입보다는 베이스리프렉스타입 인크로져로 제품믜
조합으로사용하는것을 인터넷정보에 확인할수가 잇엇읍니다만,
,
간간히..미로형으로도 사용했다는 자작기사를 발견하였읍니다
다만,,일상적으로 본 유닛을 최적화하기위해서는 적절한 용적율을 적용한
베이스리프렉스타입이완성도가 더~높은 경우로 보입니다
5,개인적인 판단
1)유닛의 출고임피던스가 90db정도로 너무낮으며 적용엣지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천연가죽엣지가아닌 발포 폴리에틸렌 계로서 그렇다면 아마도
저역의 무게감이 좀 있지않겟나하는 추측을 합니다
또..고역트잇부에는 특이하게도 센타에 듀라류민이 장착이 되어 고역이
일상의 유닛보다 더 화사하며 밝게 쎗팅을 한것으로보아 역시 엣지의
영향에서오는 저역의 과도무게감에 좀더 적극적으로 대처한 제작방법이
아니었을까 추측을 합니다
2)대체로의 감상평은 음질이 무게감이 있으며 아래단에서 오는
풍성한 저역은 화사한 중고역과 어울려 한동안 풀~레인지를 대표하는
음질로 다가섯던것 만은 확실한것같읍니다
3)다만,,,아쉬운것은 출고당시의 10,000가우스의 알니코 자력이 65년후의
생산품인 본 유닛으로서는 약 20년전후의 현상태로보아 자력의 약화로
그당시의 음질은 기대하기가 좀 어려울것같고 .........
해외 자작기사및 여러자료를 종합해볼때
현재의 유닛 음압이 출고시 90db정도를 지녔으나 잘만들어진 인크로져에
들어가면 고역은 통상 +3db .저역은 +10db정도
증가하는것을 감안하더라도....
현재의 DIATONE P-610DA 를
백-로드형 인크로져에 수납했다하면 베이스리프렉스 타입보다
일정주파수이하에서는 오히려 미로형의 특수구조화
(혼...형식의 구조입니다) 특성상 이론적 수치보다 더한
저역의 증가가 우려되고 봄 유닛의 재생한계가 13KHZ 에 한정되는지라
고역 부족 현상은 더...더욱 가중되는것으로 쉽게 판단할수잇읍니다
이렇다면 청감상 고역측 약87~93DB..저역측 약97~110DB정도로서
고역과 저역의 음압차가 청감사에서는
무려 10db 이상 차이가 남을 추측할수 있겟읍니다
해서....
무력해진 탄성의 자력영향에서오는 자연적 고음의 감쇄와
인크로져 특성에 기인하여 발생되어진 저역의 증가가 엇물려
오히려 필연적으로 고역의 부족함을 느낄것 같읍니다
(이대목은 대부분의 풀~레인지의 재생특성의 증상입니다,,
왜냐하면 풀~레인지 유닛이 가지는 재생특성을 잘,이해하신다면
어렵지 않게 그..대안을 세울수도 있는대목입니다) ,
6 개선.대책안
네트워크의 추가및검토(6db형1차와 12db형 2차)
1)싱글 풀레인지에 단순히 트윗을 추가사용하는방법
==>이경우는 가장 무난하며 특히 달랑 콘덴사 2.2uf(dir 4.5khz)하나만
달랑 달아 풀레인지에 병렬로 연결 사용하면 될것이며
이때 필히 음압조정용의 수단을 병행하여야할것입니다
다만..이경우는 트윅유닛에따라 고역이 중첩되는관계로
음량을 적절히 하지않을시
고역의 피로감때문에 자칫 음장이 흐트려질수잇읍니다
1-1)l-pad방식의 저항체구성으로 음량을 고정하여 사용(김영길님 강추)
1-2)l-pad방식의 8옴 스피카 전용 권선볼륨의 사용으로 음량을 가변하여
사용(개인적으로 강추)
2)싱글 풀레인지(저음)와 트윗(고음)구성으로 사용하는 2웨이방식
==>이경우는 별로 추천할만한 방법은 안되나 풀레인지라도
좀더 고차적인 방식의 음을듣기위해서는 한번 시도해봄직 합니다.
.우퍼부와트윗부의 크로스오버점이 분명히 구분되므로...
고역의 중첩을 피하는고로 음장이 편안해지며 바란스가 잘맞으나
자칫 풀레인지 특유의 질감을 잃을소지가 잇으며 특히 저역코일의
성능,순도 부품선정이 가장 관건입니다
2-1) 또한 크로스오버점을 분명히하기위해서는 6db형의 네트워크방식으로
저역부 풀레인지에 0.56mh 정도의 코일부착이 필수적이며 중고역의
질감이 청취자의기호와 연관되는지라 공심코일.철심.판코일등
여러가지 시도를 해봄이 바람직하나
본인의 경우라면 철심을 사용하라고 권하고 싶읍니다
3)좀 더 본격적인 방법으로 12db2차 방법도 있겟으나 자작의 노-하우가
필요하며 해당되는 유닛의 각종 스펙과도 유관되는고로,,
여기서는 권하고 싶지않읍니다
다만,,고음과저음담당 유닛개별로 콘덴사와 코일이 각각 들어간다는 정도의.
.참고사항으로 알고 계시면 되겟읍니다
4) 16옴 풀~레인지대비 8옴 트윗터의 선정
통상 16옴의 경우 같은 16옴의 트윗을 선정함이 바람직 하겟으니
여타의사정으로8옴으로 하더라도 청감상 크게 문제될것이 없을것으로
보여지며(음압이 충분함) 단지..열화된 풀~레인지의 자력때문에..
풀~레인지의 음압은 대략 85~7db정도로 약화되는지라
여하의 트윗이라도 충분히 매치할수있는 여력이 있을것 같읍니다
또한 트윗선정역시 ㅡ일반적인 트윗에 국한하지마시고
타사의 혼과도 병합하여 테스트해보시기바랍니다...
7..종합적인 결론 .
통상적으로 빈티지의 경우 생산년도에 비례한 매칭이 중요한지라
당시의 유닛 셋팅방법은 풀레인지나 동축의 고역부족을 거의 혼~으로
마무리하는 경향이 많앗읍니다 ,,
또한 DIATONE 의 대표모델또한 거의 혼트윗을 장착하고 잇읍니다
특히 본P-610DA 풀~레인지 유닛은 정격입력이 불과 3W에불과한지라
과도한 고출력의 앰프매칭보다 소출력이며 소리결이 가냘픈
잘다듬어지고 만들어진 ,,,300B.2A3.등등 3극관타입의 출력관을 제작된
싱글 진공관앰프로 매치하시면 아마...좋는 결과가 있을것 같읍니다
이상 본인이 검토한바의 관련의견이었읍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