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선언문 인쇄 시위 준비 척척..면서기까지 설득. 동참 이끌어내
예외적이지만 3.1 운동 때 면사무소가 방화와 파괴가 아니라 인쇄소의 역활을 한 곳이 있다. 안동 예안면 사무소다. 1919년 3월17일 예안 장터 에서 일어난 시위운동의 배후에는 예안면 사무소가 있었다.
시위를 주도한 이동봉 .이용호. 조수인은 고종 인산일에 서울을 다녀온 사람들로부터 3.1 운동의 소식을 듣고 각 문중과 동리 사람들을 비밀리에 모으기 시작했다. 이들은 인산 참여자들로부터 독립선언서를 전해받고 예안 장날에 태극기와 독립선언문을 뿌리며 3.1 운동을 재점화시키기로 결이했다. 이들은 예안면 사무소야말로 의심을 덜받고 인쇄를 비롯한 각종 시위 준비를 해나가는데 최적의 장소라고 판단했다. 이동봉 이용호가 중심이되어 면사무소 서기와 촉탁들을 설득해 이들의 동참을 이끌어냈다. 결국 시위에 사용할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예안면 사무소에서 만들었고 이들 면리원 까지 시위에 참서가도록 하였다.
면을 전초기지로 한 일제의 강점 통치에도 이 지역은 진성이씨 황성조씨 등 망명가들이 영향역을 강하게 남아 있었다. 이들은 조선시대 내내 지역자치를 주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향악의 시행을 통해 지역사회의 존경구조를 강고하게 구추가고 있었다. 지금도 이어지고있는 퇴계이황과 그 제자들이 자손에대한 지역사회의 존경은 당시의 상황을 미루어 짐작하게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결국 일제는 면제를 시행하고 구장을 배치했지만 이 지역을 실질적으로 장악하는데는 실폐한 것으로 보인다.결국 3.1. 운동이 일어나자 예안면 사무소는 일제의 첨병으로서가 아니라. 진성이씨인 이동봉 이용호와 하께 시위를 주도하는 입장에 서게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는 메우 예외적인 경우였고 같은 안동 이지만 임동 임하. 길안. 임북. 동후의 다섯개의 면사무소는 시위대의방화 파괴를 피해갈수없었다.
(매일신문 3월1일자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