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상한(傷寒)을 치(治)하는 (처방의) 예시(例)
1) 한산(汗散)하는 류(類)
(1) 온산(溫散)하는 여러 가지 방(方)
마황탕(麻黃湯) (산(散)001): 대온(大溫)하느니라. 태양(太陽) 양명(陽明)의 상한(傷寒)으로 음사(陰邪)가 심(甚)한 경우 이것이 마땅하니라.
계지탕(桂枝湯) (산(散)009): 대온(大溫)하느니라. 태양(太陽)의 중풍(中風)에 한(寒)을 겸(兼)하여 유한(有汗)한 자에게 이것이 마땅하니라.
마계음(麻桂飮) (신산(新散)007): 대온(大溫)하느니라. 상한(傷寒) 초감(初感)에 사성(邪盛) 기실(氣實)한 경우 제경(諸經)이나 사계(四季)를 무론(無論)하고 먼저 마땅히 이를 써야 하느니라.
이시호음(二柴胡飮) (신산(新散)002): 미온(微溫)하느니라. 사기(邪)가 삼양(三陽)을 감(感)하거나 삼양(三陽)의 병병(倂病)으로 한(寒)이 승(勝)한 경우 마땅히 이로 주(主)하여야 하느니라. 삼음(三陰)의 초감(初感)에도 쓸 수 있느니라.
갈근탕(葛根湯) (산(散)029): 대온(大溫)하느니라. 동월(冬月) 태양경(太陽經)의 상한(傷寒)으로 항배(項背)가 뻣뻣(:强)하고 무한(無汗)하며 오풍(惡風)하면 마땅하니라.
오적산(五積散) (산(散)039): 미온(微溫)하느니라. 한사(寒邪)를 감(感)하여 음(陰)이 양(陽)보다 승(勝)하고 외(外)로 표증(表證)이 있고 내(內)로 구토(嘔吐) 복통(腹痛)하거나 한습(寒濕)이 경락(經絡)에 객(客)하여 근골(筋骨)이 산동(痠疼)하는 등의 증(證)에 마땅하니라.
십신탕(十神湯) (산(散)040): 미온(微溫)하느니라. 시기(時氣) 풍한(風寒) 온역(瘟疫)으로 발열(發熱) 증한(憎寒) 두동(頭疼) 해수(咳嗽) 무한(無汗)하여 마땅히 온산(溫散)하여야 할 경우에 마땅하니라.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산(散)003): 대온(大溫)하느니라. 소음(少陰)의 상한(傷寒)으로 맥침(脈沈) 발열(發熱)하는 것에 마땅하니라.
소청룡탕(小靑龍湯) (산(散)008): 대온(大溫)하느니라. 상한(傷寒)에 음(陰)이 승(勝)하여 표사(表邪)가 풀리지 않거나 심하(心下)에 수기(水氣)가 있어 구얼(嘔噦) 해수(咳嗽) 발열(發熱) 소복만(小腹滿)하면 마땅하니라.
소풍백해산(消風百解散) (산(散)046): 미온(微溫)하느니라. 사시(四時)의 상한(傷寒)에 두동(頭疼) 발열(發熱)하거나 풍한(風寒)에 해수(咳嗽) 비색(鼻塞) 성중(聲重)하면 마땅하니라.
시호계지건강탕(柴胡桂枝乾薑湯) (산(散)114): 미온(微溫)하느니라. 상한(傷寒)에 한(汗) 하(下)한 후에 단지 두(頭)에만 한(汗)이 나오고 한열왕래(寒熱往來)하여 사기(邪)가 풀리지 않은 경우에 마땅하니라.
계지가황기탕(桂枝加黃芪湯) (산(散)010): 대온(大溫)하느니라. 황달(黃疸)에 맥부(脈浮)하여 마땅히 한(汗)으로 풀어야 할 경우에 마땅하니라.
(2) 양산(凉散)하는 여러 가지 방(方)
일시호음(一柴胡飮) (신산(新散)001): 미량(微凉)하느니라. 육경(六經)의 초감(初感)에 내외(內外)에 모두 열(熱)이 있으면 마땅하니라.
소시호탕(小柴胡湯) (산(散)019): 미량(微凉)하느니라. 사기(邪)가 소양(少陽)에 있거나 삼양(三陽)의 병병(倂病)에 단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속(屬)하여 왕래한열(往來寒熱)하고 겸하여 구(嘔)하면 마땅하니라.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산(散)044): 미량(微凉)하느니라. 사시(四時)의 부정(不正)한 기(氣)나 풍한(風寒)에 감모(感冒)하여 증한(憎寒) 장열(壯熱) 두동(頭疼) 신통(身痛)하는 경우에 마땅하니라.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 (산(散)031): 미량(微凉)하느니라. 족양명(足陽明)의 증(證)에 발열(發熱) 맥홍(脈洪)한 경우에 마땅하니라.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산(散)030): 미량(微凉)하느니라. 양명증(陽明證)이 갖추어졌거나 소아(小兒)의 역려(疫癘) 창진(瘡疹) 등의 증(證)에 마땅하니라.
귀갈음(歸葛飮) (신산(新散)013): 차량(次凉)하느니라. 양명(陽明)의 온서(溫暑)로 대열(大熱) 대갈(大渴)하여 진(津)이 고(枯)하므로 한(汗)을 작(作)할 수 없을 때 마땅하니라.
육신통해산(六神通解散) (한(寒)015): 대량(大凉)하느니라. 발열(發熱) 두통(頭痛) 맥홍(脈洪) 무한(無汗)하는 삼양(三陽)의 복화(伏火)에 표사(表邪)가 풀리지 않은 경우 마땅하니라.
시호백호전(柴胡白虎煎) (신산(新散)012): 대한(大寒)하느니라. 온병(溫病)에 열(熱)이 극(極)하고 표리(表裏)가 풀리지 않은 경우에 마땅하니라.
시평탕(柴平湯) (화(和)233): 미량(微凉)하느니라. 온학(溫瘧)에 신통(身痛) 수족침중(手足沈重) 한열(寒熱)하는 경우에 마땅하니라.
시금전(柴芩煎) (신산(新散)010): 대량(大凉)하느니라. 표사(表邪)가 풀리지 않고 내외(內外)가 모두 열(熱)하므로 설사(泄瀉)가 부지(不止)하는 경우에 마땅하니라.
대청룡탕(大靑龍湯) (산(散)007): 미한(微寒)하느니라. 태양(太陽)의 중풍(中風)에 발열(發熱) 무한(無汗)하면서 조번(躁煩)하면 마땅하니라.
승마탕(升麻湯) (산(散)113): 대한(大寒)하느니라. 무한(無汗)하면서 천(喘)하고 번갈(煩渴) 발반(發斑)하는데 마땅하니라.
사역산(四逆散) (산(散)028): 미량(微凉)하느니라. 양사(陽邪)가 항극(亢極)하여 사지(四肢)가 궐역(厥逆)하는데 마땅하니라.
(3) 평산(平散)하는 여러 가지 방(方)
심시호음(三柴胡飮) (신산(新散)003): 간비(肝脾)에 음허(陰虛) 혈소(血少)한데다 우연히 풍한(風寒)에 감(感)한 경우에 마땅하니라.
정시호음(正柴胡飮) (신산(新散)006): 기혈(氣血)이 본래 휴손(虧損)하지 않았는데 한사(寒邪)를 감모(感冒)한 경우에 마땅하니라.
시진전(柴陳煎) (신산(新散)009): 풍한(風寒)에 감모(感冒)하여 발열(發熱)하면서 겸하여 해수(咳嗽) 구오(嘔惡)하는데 마땅하니라.
삼소음(蔘蘇飮) (산(散)034): 사시(四時)에 상한(傷寒)에 감모(感冒)하여 두동(頭疼) 발열(發熱) 무한(無汗)하거나 해수(咳嗽) 성중(聲重) 왕래조열(往來潮熱)하면 마땅하니라.
패독산(敗毒散) (산(散)036): 사시(四時)의 온역(瘟疫)으로 한열(寒熱) 신체동통(身體疼痛)하거나 연장(烟瘴)의 기(氣)이거나 비습(卑濕)한 곳에 처(處)하여 된 각기(脚氣)에 마땅하니라.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산(散)041): 위허(胃虛) 혈허(血虛)에 한사(寒邪) 냉물(冷物)로 인하여 양기(陽氣)가 억알(抑遏: 눌리고 막히다)되어서 발열(發熱)하는 경우에 마땅히 이로 발(發)하느니라.
가감소시호탕(加減小柴胡湯) (산(散)022): 소양경(少陽經)의 한열왕래(寒熱往來) 맥현(脈弦) 복통(腹痛)에 이것이 마땅하니라.
(4) 보(補)를 겸하고 산(散)을 겸하는 여러 가지 방(方)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보(補)030): 노권(勞倦)으로 비(脾)를 상(傷)하고 중기(中氣)가 부족(不足)한데 외감(外感)하여 발열(發熱)하는 경우에 마땅하니라.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 (신보(新補)016): 사기(邪)가 음중(陰中)으로 함(陷)하고 음허(陰虛)하므로 작한(作汗)하지 못하여 신열(身熱)이 물러가지 않거나 왕래한열(往來寒熱)하면 마땅하니라.
삼시호음(三柴胡飮) (신산(新散)003): 간비(肝脾)에 혈분(血分)이 미허(微虛)한데 외사(外邪)를 감(感)하면 마땅하니라.
사시호음(四柴胡飮) (신산(新散)004): 비폐(脾肺)의 기허(氣虛)이거나 노권(勞倦)에다 한(寒)을 감(感)하여 발열(發熱)하는 경우에 마땅하니라.
오시호음(五柴胡飮) (신산(新散)005): 비신(脾腎)의 혈기(血氣)가 부족(不足)한데 외사(外邪)를 감(感)하여 발열(發熱)하는 경우에 마땅하니라.
이음전(理陰煎) (신열(新熱)003): 대온(大溫)하느니라. 진음(眞陰)이 부족(不足)하거나 노권(勞倦)으로 인하여 한(寒)에 감(感)하므로 음허(陰虛) 가열(假熱)하고 한사(寒邪)가 풀리지 않을 때 속(速)히 이를 마땅히 사용하여야 하느니라.
대온중음(大溫中飮) (신산(新散)008): 대온(大溫)하느니라. 중기(中氣)가 허한(虛寒)한데 사기(邪)에 감(感)하여 발열(發熱) 무한(無汗)하고 표(表)가 풀리지 않으면 속(速)히 이를 마땅히 사용하여야 하느니라.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보(補)031): 풍한습열(風寒濕熱)에 상(傷)하여 식소(食少) 체중(體重)하면 이것이 마땅하니라.
첫댓글 한산(汗散)하는 류(類)
온산
양산
평산
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