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癰疽
癰은 얕으면서도 크고, 疽는 깊은 惡腫이다.
初起에는 發熱 惡寒 疼痛한다. 한곳에 偏着하여 혹 腫痛하고, 혹은 不腫이나 疼痛한다. 順氣 行血 通經絡하는 것이 옳은 治法이다.
保安萬靈丹(增20): 治癰疽 風寒濕痺 走注痰痛 附骨陰疽 鶴膝風 癱瘓 喎斜 不遂 血氣凝滯 偏信走痛 偏墜疝氣 偏正頭痛 破傷風 牙關緊閉 截解風寒 無不應效 如神 (창출 80 마황 강활 형개 방풍 세신 천오 초오 천궁 석곡 전갈 당귀 감초 천마 백하오 10 웅황 6)
連翹敗毒散(中19): 治癰疽初發 寒熱甚 似傷寒 (인삼 시호 전호 강활 독활 지각 길경 천궁 적복 감초 1 생강 3편 박하 연교 금은)
平安萬應丸(增363): 治中風 類中風 人事不省 牙關緊急(藥不能下咽 作末 吹鼻取嚔) (창출 30 천마 마황 웅황 주사 36 섬수 10 정향 6 감초 24 사향 3 대황 60)
仙方活命飮(增168): 治一切癰疽 聖藥 (금은 2 당귀미 진피 1.5 감초절 화분 패모 백지 1 방풍 0.7 조각 적작 유향 몰약 0.5 천산 3片)
托裏消毒飮(上93): 治癰疽 未成卽消 已成卽潰 (금은 진피 3 황기 화분 2 방풍 당귀 천궁 백지 길경 후박 천산 조각 1)
三仁膏(下144): 治癰疽初發 (피마자인 마자인 행인 等分)
이미 成膿하였으되 未破이면
代鍼散(增787): 治透膿 (蠶蛾退了繭 1個 부자 1片)
賽鍼散(增788): 治透膿 (경분 뇌사 백정향 1.5 파두 0.5)
潰後에 붙이는 膏藥은
神異膏(上雜方門): 治諸般癰癤毒 (노봉 행인 황기 사퇴 현삼 난발 향유 황단)
萬應膏(上雜方門): 治一切癰腫 久瘡 (대황 황금 백렴 황랍 황백 적작 백지 황기 목별 행인 당귀 백급 생지 관계 현삼 몰약유향 황단 향유)
雲母膏(上雜方門): 治諸癰疽 瘡腫 (운모 함초 감초 괴지 유지 진피 상백 측백 수은 천초 백지 몰약 적작 관계 당귀 염화 황기 혈갈 창포 백급 천궁 목향 백렴 방풍 후박 사향 길경 시호 송지 인삼 황금 창출 용담 합환 유향 부자 백복 양강 황단 청유)
萬病無憂膏(上雜方門): 治風寒濕所傷 跌打傷損 皆貼 及一切無名腫毒 便貼卽消 已成止痛 長肉生肌 (천오 초오 대황 당귀 적작 백지 연교 백렴 백급 목별 오약 관계 도지 유지 상지 괴지 조지 조각 고삼)
消痰膏(上雜方門): 治一切痰腫 結核腫痛 (생강 총백 대산 남성 반하 백합 상륙 하수오 독활 창포 백지 적작 인삼 황기 육계 부자 당귀 노봉방 행인 현삼 백화사 웅담 사향 유향 진유 황단)
1) 始終
발병할 때부터 완치될 때까지 쓸 수 있는 약
國老膏(上96): 治懸癰 (대감초 10)
2) 潰後
부스럼이 터진 후의 조치약들
加味十全湯(上94): 治癰疽 潰後 補氣血 排膿 生肌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진피 오약 오미 0.8)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滋腎保元湯(上95): 治癰疽潰後 斂遲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당귀 1.2 목단 황기 산수 두충 1 육계 부자 0.5 생강 3편 대조 2매 연육7枚)
揷瘡口藥(瘡口에 심지로 넣는 藥)은
神聖餠(下145): 揷入瘡口 去惡生新 (당귀 백지 노감 유향 몰약 웅황 웅담 붕사 해표 경분 파두 사향 주사 0.5 호동려 0.3)
生肌를 促進하는 內服藥은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滋腎保元湯(上95): 治癰疽潰後 斂遲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당귀 1.2 목단 황기 산수 두충 1 육계 부자 0.5 생강 3편 대조 2매 연육7枚)
煩渴
八物湯(上32):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脾虛하여 毒氣가 上攻할 때는
六君子湯(上64): (四君子湯: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痰盛
通順散(中154) 合 二陳湯(中99)
環跳穴의 疼痛이 오래 계속되면 附骨疽로 變成될 염려가 있다. 初起에 寒熱이 나오면
五積散(中13): 治感傷風寒 頭身痛 四肢厥冷 胸腹作痛 嘔瀉 或傷生冷 (창출 2 마황 진피 1 후박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 백복 0.8 천궁 백지 반하 계피 0.7 감초 0.6 생강 3편 총삼)
保安萬靈丹(增20): 治癰疽 風寒濕痺 走注痰痛 附骨陰疽 鶴膝風 癱瘓 喎斜 不遂 血氣凝滯 偏信走痛 偏墜疝氣 偏正頭痛 破傷風 牙關緊閉 截解風寒 無不應效 如神 (창출 80 마황 강활 형개 방풍 세신 천오 초오 천궁 석곡 전갈 당귀 감초 천마 백하오 10 웅황 6)
懸癰은 肛門 앞과 腎囊 뒤에 생기는 것으로, 腫痛하면
國老膏(上96): 治懸癰 (대감초 10)
諸般 瘡腫이 여러 해가 지나도 낫지 않는 것과 梅毒 惡瘡 등은, 差度가 있을 때까지 五行丹(增173)을 長服하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 참으로 神藥이다. 또, 遺毒도 없으며, 傳來된 지 백여년간에 活人을 한 것이 數萬人에 達한다.
五行丹(增173): 治諸般腫瘡 神效 (경분 20 웅황 종유 현정석 주사 3 삼녹 1.5)
3) 內癰
肺癰은 가슴 속이 은은히 疼痛하는데, 咳嗽를 하면 腥臭가 나는 膿血을 吐한다. 痛處를 손으로 누르면 氣急하게 된다.
全肺湯(增545): 治肺癰初起 (금은 10 현삼 7 맥문 5 감초 1.5 화분 백복 백작 1)
蔘蘇飮(中26): 治感傷風寒 頭痛 發熱 咳嗽 及內因七情 痰盛 潮熱 (인삼 소엽 전호 반하 건갈 적복 1 진피 길경 지각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桔梗湯(中153): 治肺癰 (길경 패모 1.2 과루 의이 당귀 1 상백 지각 황기 방풍 0.7 행인 백합 감초 0.5 강오)
小靑龍湯(中27): 治傷寒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 氣逆 發熱 咳喘 (마황 백작 오미 반하 1.5 세신 건강 계지 감초 1)
心癰은 巨闕穴(臍上 六寸) 근처가 은은히 疼痛하고, 面赤 口渴 身痛한다.
凉血飮(增169): 治心癰 退潮 止渴 解熱 能內消 (목통 구맥 형개 박하 백지 화분 감초 적작 맥문 생지 치자 차전 연교 1)
肝癰은 惱怒氣逆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期門穴(乳房一寸半)이 腫痛한다.
宣鬱化毒湯(增789): 治肝癰 (백작 당귀 금은 5 화분 감초 1.5 향부 박하 1 진피 지각 0.5)
小柴胡湯(中25): 治少陽半表裏 往來寒熱 (시호 3 황금 2 인삼 반하 1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脾癰은 濕熱 瘀血이 凝滯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章門穴이 腫痛하는데, 腹脹 嗌乾 溺澁 등의 증상이 나온다.
赤荳薏苡仁湯(增170): 治胃癰膿成 (적소 의이 방기 감초 等分)
腎癰은 腎臟不足으로 발생하는데, 京門穴이 微腫하면서 은은히 疼痛하고, 小腹과 脇肋이 脹痛하며 寒熱往來 面白 不渴한다.
五積散(中13): 治感傷風寒 頭身痛 四肢厥冷 胸腹作痛 嘔瀉 或傷生冷 (창출 2 마황 진피 1 후박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 백복 0.8 천궁 백지 반하 계피 0.7 감초 0.6 생강 3편 총삼)
八味元(上40): 治命門陽虛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육계 부자 10)
大腸癰은 腹中疼痛이 극심하여 손을 대지도 못하게 하고, 右足을 꼬부리고 펴지 못하는데, 腸에 癰이 발생한 것이다.
淸腸湯(增790): 治腸癰 (금은 1 당귀 7 현삼 지유 맥문 3.5 의이 황작 감초 1)
便에 膿血이 나오면 癰이 潰爛한 것인데, 能食이면 살고 不能食이면 위험하다.
開胃救亡湯(增791): 治腸癰 (금은 10 산약 의이 현삼 백출 5 감초 3 도인 목단 1)
小腸癰은 腹痛 口渴하고, 左足을 구부리고 펴지 못하며, 손을 대지 못하게 하며 極甚한 痛證이 나온다.
泄毒至神湯(增792): 治小腸癰 (금은 10 백복 의이 5 감초 차전 유기노 택사 1 육계 0.2)
痛證이 왼편에 있고, 拒按하며 痛證을 참기 어려우면
內化湯(增793): 治小腸癰 (금은 10 당귀 5 차전 2 감초 1.5)
痛證이 右腹에서 나타나면
千金牧丹散(增171): 治大小腸癰 (의이 목단 5 과루 1.5 도인 12個)
胃脘癰은 中脘이 腫痛하는데, 膿血을 吐한다.
淸胃射干湯(增172): 治胃脘癰 (망초 치자 죽엽 5 사간 승마 서각 맥문 현삼 대황 황금 1)
年久不愈者는
五行丹(增173): 治諸般腫瘡 神效 (경분 20 웅황 종유 현정석 주사 3 삼녹 1.5)
4) 附骨疽
근육 속 깊은 데가 쑤시듯 아프고, 겉으로는 붓거나 하는 증상이 없다. 동통이 심해서 움직이지 못하고, 춥고 열은 있으되 땀은 없으며, 오래 되면 곪기도 한다.
通順散(中154) 合 二陳湯(中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