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론직필(님)의 최고의 명문. “‘적극적 투표층’ 급증, 여당 긴장”.
= 2.2. 정론직필(님)의 최고의 명문.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만)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당을 보고 찍어야 한다. 투표도 전략이다. ‘전략적인 투표 행위’.
-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정론직필님의 명문]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정론직필님의 명문]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만)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정론직필(님)의 최고의 명문. “‘적극적 투표층’ 급증, 여당 긴장”.
- “‘적극적 투표층’ 급증, 여당 긴장”. 정론직필(님)의 최고의 명문.
- 정론직필(님)의 최고의 명문.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만)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정론직필(님)의. 최고의 명문.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만)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정론직필(님). 명문.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만)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만)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정론직필(님)의 최고의 명문.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가장 좋은 글.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퍼가서 널리 퍼뜨립시다.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많이 퍼가서 널리 퍼뜨립시다.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많이 많이 퍼가서 널리 널리 퍼뜨립시다.
- ‘퍼져라’~ ‘퍼져라’~ ‘널리 널리 퍼져라’~♪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많이 퍼가서 널리 퍼뜨립시다. 당을 보고 찍어야 합니다.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불펌 환영.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불펌 환영!
- [불펌 환영]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불펌 환영]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반드시 읽읍시다. 꼭 투표합시다.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필독. 꼭 투표합시다.
- [필독]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꼭 투표합시다.
- 선거 때에 투표에 관련된 최고의 명문! 어디 어디에 누구 누구에게.
- 당을 보고 찍어야 한다. 투표도 전략이다. 전략적인 투표. ‘전략적인 투표 행위’.
-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대통령 선거나 국회 의원 총 선거 또는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등의 가장 중요한 큰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제1 야당 등의 찍어야 하는 당에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그리고.
나머지 덜 중요한 적은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정당이나 인물에 소신대로 소신껏 투표를 해도 된다.
- 자본주의는 인간들의 탐욕에 기반한 경제 사상이다.
자본주의는 인간들의 탐욕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경제 사상이다.
자본주의는 인간들의 탐욕에 기인한 경제 사상이다.
by Karl Marx.
- 자본주의는 자본가 이기주의이다.
자본주의는 부르조아 이기주의이다.
자본주의는 자본가 이기주의, 부르주아 이기주의, 유산자 이기주의, 재산가 이기주의, 부자 이기주의, 재벌 이기주의, ..., 강자 이기주의, ...이다.
자본주의는 부자 이기주의, 강자 이기주의, ...이다.
by chemi1st.
--- --- --- ---
--- --- --- ---
- 1%와 99%.
- 1% 그리고 99%.
- “부익부빈익빈”
“富益富貧益貧”
“재산이 많은 사람일수록 더 큰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일수록 더욱 가난하게 됨”
- “부익부 빈익빈”
“富益富 貧益貧”
- 자본주의는 1%의 부익부를 위한 99%의 빈익빈이다.
자본주의는 1% 부익부를 위한 99% 빈익빈이다.
- 자본주의 경제 체제 하에서는 1%는 부익부가 되고 99%는 빈익빈이 된다.
- 자본주의 경제는 부익부 빈익빈 경제이다.
- 자본주의 경제 체제는 부익부 빈익빈 경제 체제이다.
- 자본주의는 1%를 더 잘 살게 하기 위하여 99%를 못 살게 하자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1%를 더 잘 살게 하기 위하여 99%를 더 못 살게 하자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1%를 더 잘 살게 할 수만 있다면 99%를 못 살게 해도 좋다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1%만 좋다면 99%는 나빠도 좋다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1%(에게)만 좋다면 99%(에게)는 나빠도 좋다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1%에게만 좋다면 99%에게는 나빠도 좋다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1%만이 중요하고 99%는 중요하지 않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1%만이 중요하고 99%는 중요하지 않은 차별 사회이다.
- 자본주의 사회는 1%의 자본가 신분만이 중요하고 99%의 노동자 신분은 중요하지 않은 신분에 따른 차별이 있는 신분 차별 사회이다.
자본주의 사회는 1%의 자본가 계층만이 중요하고 99%의 노동자 계층은 중요하지 않은 계층에 따른 차별이 있는 (계층 )차별 사회이다.
자본주의 사회는 1%의 자본가 계급만이 중요하고 99%의 노동자 계급은 중요하지 않은 계급에 따른 차별이 있는 (계급 )차별 사회이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1%만이 중요하고 99%는 중요하지 않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1%의 자본가들이 99%의 노동자들보다도 (훨씬 )더 중요하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1명의 자본가는 99명의 노동자들보다도 (훨씬 )더 중요하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는 노동자보다도 99배 이상 중요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는 노동자보다도 100배 이상 중요하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는 노동자보다도 최소 99배 이상 중요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는 노동자보다도 약 100배 이상 중요하다.
- 자본주의에서 자본가는 노동자보다 “무한대” 배 중요하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가 노동자보다 “무한대” 배 중요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가 노동자보다 ∞ 배 중요하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 한 사람은 노동자 한 사람보다 ∞ 배 중요하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라는 인간의 가치는 노동자라는 인간의 가치보다도 최소 99배 이상 약 100배 이상 크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라는 인간의 가치는 노동자라는 인간의 가치보다도 무한대 배 크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가라는 인간의 가치는 노동자라는 인간의 가치보다도 ∞ 배 크다.
- 자본주의 사회는 1%가 99%를 이기는 사회이다.
- 자본주의 사회는 1%가 99%를 지배하는 사회이다.
- 자본주의 사회는 1%가 99%를 억압하는 사회이다.
- 자본주의 사회는 1%가 99%를 착취하는 사회이다.
- 자본주의는 1%를 더 배 불리 먹이기 위하여 99%를 굶주리게 하자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배 부른 1%를 더 배 불리 먹이기 위하여 배 고픈 99%를 굶주리게 하자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배 부른 1%를 배가 터져 죽도록 먹이기 위하여 배 고픈 99%를 굶겨 죽이자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1%를 더 잘 살게 하기 위하여 99%를 죽이자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잘 사는 1%를 조금이라도 더 잘 살게 할 수 있다면 못 사는 99%는 죽여도 상관 없다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잘 사는 1%를 조금이라도 더 잘 살게 할 수 있다면 못 사는 99%는 죽여도 (조금도 )나쁘지 않다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잘 사는 1%를 조금이라도 더 잘 살게 할 수 있다면 못 사는 99%는 죽여도 좋다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1%를 위하여 99%를 희생시키자는 것이다.
- 자본주의는 1%의 이익을 위하여 99%의 이익을 희생시키자는 것이다.
자본주의는 1%만의 이익을 위하여 99%의 이익을 희생시키자는 것이다.
- 자본주의는 1%의 자본가들(만)의 이익을 위하여 99%의 노동자들의 이익을 희생시키자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1%의 자본가들(만)의 이익을 위할 수 있다면 99%의 노동자들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것 쯤은 아무렇지도 않다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1%의 자본가들(만)의 이익을 위할 수 있다면 99%의 노동자들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것 쯤은 아무 것도 아니라는 주의이다.
자본주의는 1%의 자본가들(만)의 이익을 위할 수 있다면 99%의 노동자들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것 쯤은 아무 상관 없다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1%의 재벌들(만)의 이익을 위하여 99%의 서민들의 이익을 희생시키자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1%의 극소수를 위하여 99%의 대다수를 희생시키자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극소수를 위하여 대다수를 희생시키자는 주의이다.
- 자본주의는 공리주의에 반하는 사상이다.
- 자본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최고의 선이다.)라는 공리주의에 반하는 사상이다.
- 자본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최고의 선이다.)라는 공리주의에 정면으로 반하는 사상이다.
자본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최고의 선이다.)라는 공리주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사상이다.
- 자본주의는 반 공리주의적인 사상이다.
자본주의는 anti 공리주의적인 사상이다.
- 資本主義는 反 公理主義的 思想이다.
- 자본주의자들은 공리주의자들의 적이다.
- 위. 12.1219수.0129.
--- --- --- ---
--- --- --- ---
- 당을 보고 찍어야 한다.
-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한국의 특수한 정치적으로 열악한 상황에서는 후보자의 소속 당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 찍는 전략적인 투표 행위를 해야 한다.
- 대통령 선거나 국회 의원 총 선거 또는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등의 가장 중요한 큰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제1 야당 등의 찍어야 하는 당에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그리고.
나머지 덜 중요한 적은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정당이나 인물에 소신대로 소신껏 투표를 해도 된다.
- 민주주의는 최선이면서 이상적이다.
민주주의는 가장 좋으면서 가장 바람직하다.
민주주의는 best이면서 ideal이다.
민주주의는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이다.
민주주의는 정치에 관한 한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이다.
- 민주주의는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최선이면서 이상적인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best이면서 ideal인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인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베스트이면서 아이디얼인 ‘정치 이데올로기’이다.
민주주의는 베스트하면서 아이디얼한 ‘정치 이데올로기’이다.
- 민주주의 체제는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민주주의 체제는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 ‘섞어서 잘 버무린다.’
알맞게 섞어서 잘 버무린다.
- 사회 민주주의는 민주주의를 80% 정도로 많이 섞고 사회주의를 20% 정도로 조금 섞어서 잘 버무린 것이다.
- 수정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를 90% 정도로 많이 섞고 공산주의나 사회주의를 10% 정도로 조금 섞어서 잘 버무린 것이다.
- 한국에는 사회 민주주의 체제가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한국에는 민주주의+사회주의 체제가 가장 좋은 정치 체제이다.
한국에도 서 유럽의 선진 복지 국가들에처럼 사회주의+민주주의 체제가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 자본주의는 악이다.
자본주의는; 이론적으로는 최악이고, 실제적으로는 차악이다.
자본주의는; 필요 악이고, 필요 악 이상은 아니다.
- 당을 보고 찍어야 한다.
공약들을 보고 찍을 것이 아니라, 인물을 보고 찍을 것이 아니라, ... 당을 보고 찍어야 한다.
공약들만을 보고 찍을 것이 아니라, 인물만을 보고 찍을 것이 아니라, ... 당(만)을 보고 찍어야 한다.
- 공약들이나 경력들이나 인물보다도 무엇보다도 소속 당을 보고 찍어야 한다.
- ‘전략적인 투표 행위’. ‘전략적인 투표’. 전략적인 투표.
투표도 전략적인 행위이다.
투표도 전략적으로 해야 하는 행위이다.
투표도 전략이다.
- 한국의 상황에서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한국의 상황에서는 당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 행위’를 해야 한다.
- 한국의 특수한 정치적인 상황에서는 소속 당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 행위를 해야 한다.
- 한국의 정치적인 상황에서는 소속 당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 행위를 해야 한다.
한국의 정치적으로 열악한 상황에서는 소속 당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 행위를 해야 한다.
한국의 특수한 정치적으로 열악한 상황에서는 후보자의 소속 당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 찍는 전략적인 투표 행위를 해야 한다.
- 한국의 열악한 상황에서는 소속 당만을 보고 찍는 전략적인 투표 행위를 해야 한다.
- 대통령 선거나 국회 의원 총 선거 또는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등의 가장 중요한 큰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제1 야당 등의 찍어야 하는 당에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하고,
나머지 덜 중요한 적은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정당이나 인물에 소신대로 소신껏 투표를 해도 된다.
- 대통령 선거나 국회 의원 총 선거 또는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등의 가장 중요한 큰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제1 야당 등의 찍어야 하는 당에 전략적인 투표를 해야 한다. 그리고.
나머지 덜 중요한 적은 규모의 선거들에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정당이나 인물에 소신대로 소신껏 투표를 해도 된다.
- 투표 권은 정치적인 권리이다.
투표 권은 국민들의 정치적인 권리이다.
- “투표권”은 국민의 “참정권”이다.
- 선거 때에는 국민들도 정치인들이다.
선거 때에 투표를 하는 동안에는 국민들도 정치인들이다.
- 선거 때에 투표를 하는 것은 국민들의 가장 강력한 권리이다.
- 선거 때에 투표를 하는 것은 국민들의 가장 중요한 의무이다.
- 만 20세 이상의 성인인 국민들에게는 투표 권, 참정권, ...이 있다.
- 늙은이들이 한나라당을 찍는 짓은 젊은이들의 꿈을 빼앗는 짓이다.
늙은이들이 노망이 나서 한나라당을 찍는 것이다.
한나라당을 찍는 짓은 늙은이들의 노망이다.
- ‘까쓰 통 노친네들’이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짓은 젊은이들의 희망과 한국의 미래를 짓밟는 짓이다.
- 투표를 해서 대통령을 갈아치우자.
국민 투표로(는) 대통령도 얼마든지 갈아치울 수 있다.
- 국민 투표로(는) 대통령도 얼마든지 갈아치울 수 있다.
- 국민 투표로 헌법 개정도 가능하다.
- 국민 투표로 헌법도 바꿀 수 있다.
국민들의 투표로는 헌법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국민들의 투표로는 헌법마저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국민들의 투표로는 헌법까지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 국민 투표로 정치 체제(까지)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국민들의 투표로는 자본주의( 체제)를 공산주의( 체제)로 바꾸는 일까지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 민주주의는 가장 좋다.
민주주의는 가장 바람직하다.
민주주의는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하다.
민주주의는 가장 좋으면서 가장 바람직하다.
- 민주주의는 최선이다.
민주주의는 이상적이다.
민주주의는 최선이면서 이상적이다.
민주주의는 가장 좋으면서 가장 바람직하다.
민주주의는 best이면서 ideal이다.
민주주의는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이다.
민주주의는 정치에 관한 한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이다.
민주주의는 정치적인 사상들 중에서는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이다.
민주주의는 모든 정치적인 사상들 중에서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이다.
민주주의는 정치 사상들을 통틀어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이다.
- 민주주의는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최선이면서 이상적인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best이면서 ideal인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only이고 best이면서 ideal인 정치적인 사상이다.
민주주의는 베스트이면서 아이디얼인 ‘정치 이데올로기이다.’
- 민주주의 체제는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민주주의 체제는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 민주주의 vs. 사회주의.
민주주의 대 사회주의.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비교.
민주주의 > 사회주의.
민주주의가 사회주의보다 좋다.
민주주의가 사회주의보다도 더 좋다.
민주주의는 사회주의보다도 더 좋은 정치 사상이다.
- 사회주의 vs. 자유주의.
사회주의 대 자유주의.
사회주의 > 자유주의.
사회주의가 자유주의보다 좋다.
사회주의가 자유주의보다도 더 좋은 정치 사상이다.
- 민주주의 vs. 사회주의 vs.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 자유주의.
- ‘섞어서 잘 버무린다.’
알맞게 섞어서 잘 버무린다.
적당한 비율로 섞어서 잘 버무린다.
- 자유주의+민주주의=자유 민주주의.
- 민주주의+사회주의=사회 민주주의.
민주주의+사회주의+공산주의=사회 민주주의.
민주주의 아주 많이+사회주의 조금+공산주의 아주 조금=사회 민주주의.
사회 민주주의는 민주주의를 80% 정도로 많이 섞고 사회주의를 20% 정도로 조금 섞어서 잘 버무린 것이다.
- ‘자유 민주주의’ vs. ‘사회 민주주의’.
- “사회 민주주의” vs. “자유 민주주의”.
- “사회 민주주의”
“社會民主主義”
“폭력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부정하고 정치적으로는 의회를, 경제적으로는 노동조합을 통하여 합법적으로 사회주의를 실현하려는 사상이나 운동”
- “social democracy”. 사회적인 민주주의. 사회적 민주주의. “사회 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 “자유민주주의”.
“自由民主主義”
“자유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민주주의”
- “liberal democracy”. 자유로운 민주주의. “자유 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
- “사회 민주주의” vs. “자유 민주주의”.
사회 민주주의 > 자유 민주주의.
사회 민주주의가 자유 민주주의보다도 더 좋고 더 바람직하다.
사회 민주주의가 자유 민주주의보다도 더 좋고 더 바람직한 정치 사상이다.
사회 민주주의는 이론적으로도 자유 민주주의보다도 더 좋고 더 바람직하다.
사회 민주주의는 실제적으로는 자유 민주주의보다도 훨씬 더 좋고 훨씬 더 바람직하다.
- 사회 민주주의 사상이야말로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 사상이다.
사회 민주주의 체제야말로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 한국에는 사회 민주주의 체제가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한국에는 민주주의+사회주의 체제가 가장 좋은 정치 체제이다.
한국에도 서 유럽의 선진 복지 국가들에처럼 사회주의+민주주의 체제가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정치 체제이다.
- 자본주의.
자본주의는 나쁘다.
자본주의는 악이다.
자본주의는 이론적으로는 가장 나쁘고 실제적으로도 나쁘다.
자본주의는; 이론적으로는 최악이고, 실제적으로는 차악이다.
자본주의는 필요 악이다.
자본주의는 필요 악 이상은 아니다.
자본주의는; 필요 악이고, 필요 악 이상은 아니다.
- 자본주의는 인간들의 탐욕에 기반한 경제 사상이다.
자본주의는 인간들의 탐욕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경제 사상이다.
자본주의는 인간들의 탐욕에 기인한 경제 사상이다.
by Karl Marx.
- 자본주의는 자본가 이기주의이다.
자본주의는 부르조아 이기주의이다.
자본주의는 자본가 이기주의, 부르주아 이기주의, 유산자 이기주의, 재산가 이기주의, 부자 이기주의, 재벌 이기부의, ..., 강자 이기주의, ...이다.
자본주의는 부자 이기주의, 강자 이기주의, ...이다.
by chemi1st.
- golf는 부루주아들의 sports이다.
축구는 프롤레타리아들의 sports이다.
한국에서는 골프를 치려면 돈이 아주 많이 들어서 돈이 없는 가난한 서민들은 도저히 칠 수가 없다.
- 골프는 ‘돈 지랄’이다.
골프를 치는 것은 돈 지랄을 하는 것이다.
골프를 치는 것은 돈 지랄을 떠는 것이다.
골프는 돈이 많은 놈들이 돈 지랄을 하는 것이다.
골프는 돈이 많은 놈들이 돈이 많다고 돈 지랄을 하는 것이다.
돈이 많은 놈들이 돈 지랄을 하는 것이 골프이다.
돈이 많은 놈들이 돈이 많다고 돈 지랄을 하는 것이 바로 골프이다.
물론. 골프 선수가 골프를 치는 것은 돈 지랄을 하는 것이 절대로 아니다.
- 공산주의 vs. 자본주의.
공산주의 > 자본주의.
공산주의가 자본주의보다 좋다.
공산주의는 이론적으로는 자본주의보다 훨씬 더 좋고 훨씬 더 바람직한 경제 사상이다.
공산주의는 실제으로는 자본주의보다 조금 더 좋고 조금 더 바람직한 경제 사상이다.
- 자본주의+공산주의=수정 자본주의.
modified capitalism. 변형된 자본주의. 개선된 자본주의. 수정된 자본주의.
수정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를 기본으로 삼고 공산주의나 사회주의적인 요소들을 약간 가미한 경제 사상이다.
수정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를 90% 정도로 많이 섞고 공산주의나 사회주의를 10% 정도로 조금 섞어서 잘 버무린 것이다.
- 수정 자본주의 vs. 공산주의 vs. 자본주의.
수정 자본주의 > 공산주의 > 자본주의.
수정 자본주의가 가장 좋고, 공산주의가 좋고, 자본주의는 나쁘다.
- 자본주의 체제는 좋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못 한 경제 체제이다.
--- --- --- ---
--- --- --- ---
- “취소선 (Ctrl+D)”
- ‘자유 민주주의’ vs. ‘사회 민주주의’.
‘<font style="text-decoration: line-through;">‘자유 민주주의’ vs. ‘사회 민주주의’.</font>’
- “<span style="text-decoration: line-through;">‘자유 민주주의’ vs. ‘사회 민주주의’.</span>”
‘적극적 투표층’ 급증, 여당 긴장 |
정치, 경제, 사회
by 정론직필 | 2010/05/18 10:07 |
engjjang.egloos.com/10488788 | 덧글수 : 4
이번에는 반드시 투표를 하겠다는 유권자 층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왜냐면 일반 무지랭이 국민들이 정말로 나라의 주인 행세를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는 바로
선거 때에 투표하는 일뿐이기 때문이다.
즉, 어느 개인이 투표를 하지 않는다는 말은 스스로의 주인 행세,
즉 스스로의 주권 행사를 포기하고, 그 대신 투표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사회적 운명도 맡기겠다는 말이기 때문이다.
현재 직접 민주정치를 시행하는 나라들보다는 아마 거의 전부가 “대의 정치”를 시행하는 것 같다.
“대의 정치”란...
나라의 실제 주인은 일반 개개 국민들인데....
국민들 개개인의 주권 행사를 실제로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선거를 통하여 선출된 일부의 사람들에게
“임기”라는 일정 기간 동안 위임해준다는 의미이다.
“주권”이란 권력이다.
즉, 선거에 의해 선출된 공무원들에게 국민들 개개인의 주권을 위임해주어
그들에게 “
권력”을 안겨준다는 말이다.
한마디로 쉽게 말하면... 대통령, 장관, 구케우원, 지자체장 등
모든 공무원들은 사실상 일반 개개국민들의 “
공복, 머슴”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문제는... 일반 국민들이 추상 같이 무섭게 투표하지 않고,
지역 감정이나 학연 등등 무수한 연고주의들에 따른 무식한 투표 행위를 할 때에
그들 머슴들이... 도리어 주인의 위에 군림하며 주인인 국민들을 아주 개돼지 취급한다는 엄연한 사실.
국민들의 입을 틀어막고,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독재 정치, 안하무인적 막가파식 정치 등도
바로 국민들이 멍청한 투표들을 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
국민들을 진정으로 나라의 주인으로 대접하는 정치인놈들이 아닐 경우에는
선거 때마다 언제든 단호히 내친다면... 모든 정치인들은 국민들이 무서워 벌벌 떨며
그저 국민들을 위해 견마지로를 다할 것이다.
간단한 원리가 그렇건만... 그런 줄도 모르고 무식한 국민들이 너무 많아서
대통령 등의 고위 공무원들의 권력이 처음부터 무슨 하늘에서라도 주어진 듯이 착각하고
그 놈들이 국민들 위에 군림하는 것을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그들에게 무조건 순응하고자 하는 멍청이들이 많다.
아니다!!!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라면
무지랭이 국민들인 우리가 그들에게 복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대통령 등 그들 공무원들이 우리 국민들에게 복종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런 간단한 이치를 명쾌하게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선거, 투표 행위를 결코 가볍게 여길 수는 없을 것이다.
자기의 표는 수천만표 중에 고작 한표라고 가볍게 생각하는 무식한 놈들도 많은데...
그러나
그런 고작 한표들이 모여서 무시무시한 대통령 권력을 위임하고 있다는 사실.
따라서... 정말이지 이번 지자체 선거에서는... 정말 신중하게 투표들을 하시기 바란다.
특히, 후보 선정 기준에 있어서... 현재 한국 사회의 상황상...
인물, 능력 위주 선정이라는 것은
한국 사회의 상황을 제대로 모르는 무식함에서 오는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단지 이번 선거 때에 내거는 공약들을 보고 선택하겠다는 발상도
상당히 무식한 행동이라고 나는 본다.
왜냐면... 우리가 그동안 늘상 보아와서 잘 아는 일이지만...
한국의 정치인놈들의 공약들은 그야말로 헛소리 공약들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 개인적으로는... 인물이니, 능력이니, 경력이니, 학벌이니 또는
공약들이니 등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그 자의
소속 당만 보고 표를 던질 것이다.
왜냐면... 그 자의 개인적 성향이 어떠하든... 그 자의 당의 평소의 정강 정책들을
결코 뛰어넘지 못 할 것이기 때문이다.
즉, 나의 선정 기준은 오로지 각 당의 평소의 정강 정책들인데...
문제는... 각 정당들이 내건 평소의 정강 정책들이... 그저 표들만 얻기 위해 내건
번드르르한 대국민 사기질인지 아닌지를... 그들이 그동안 해온 짓들에 비추어
판단해 볼 것이다.
다만... “
전략적인 투표 행위”라는 것이 있다.
그것이 무엇인가 하면.... 내가 정말로 표를 던지고 싶은 정당은 다른 정당이지만
그러나... 내가 지지하고자 하는 정당의 후보가 소수 표를 얻을 가능성 때문에
도리어 최악의 정당의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어 당선되어 버리는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
할 수 없이 눈물을 머금고... 최악보다는 차악의 정당을 선택하는 경우이다.
그래서... “광역 지자체 장” 선거들에서는 나는 그런 “
전략적” 투표를 하고
나머지 덜 중요한 적은 규모의 선거들에 있어서는
나의 소신대로 지지 정당에 표를 던질 것이다.
첫댓글 헐...
내가 과거 그런 글을 쓴 적도 있군요.
그렇지 않아도.....선거에 즈음하여 오늘 관련 글을 하나 쓰려고 생각 중이었는데...
글이 잘 안써지네요.
그래서...그냥 위 글로 대신 하고자 합니다.
옛날 글을 잊지 않고 시의적절하게 퍼와준 [나는 사랑...]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아주 잘 쓰셨고 상당히 잘 써진 가장 좋은 글입니다!
글 솜씨도 좋았고, 운도 좋았습니다.
저의 daum blog로 퍼 가서 잘 간직해 두고 선거 때마다 잘 써 먹어 오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솜씨가 좋아야 잘 하고, 운이 좋아야 잘 됩니다.
솜씨가 좋아야 잘 할 수 있는 것이고, 운이 좋아야 잘 됩니다.
솜씨가 좋아야 잘 할 수 있는 것이고, 운이 좋아야 잘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솜씨가 좋아야 잘 하(ㄹ 수 있는 것이)고, 운이 좋아야 잘 되((ㄹ 수 있는 것이))ㅂ니다.
잘 하려면 솜씨가 좋아야 합니다. 그리고.
잘 되려면 운이 좋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