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영 묘
주소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부곡리 가마골 교구 의정부교구
황사영 알렉시오 순교자 (1775~1801)
황사영 순교자는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불리웠으며, 16세의 어린 나이로 진사에 합격하였습니다. 진리를 향한 진지한 학문탐구의 길에서 천주교의 오묘한 진리에 깊이 매료되어 입교하였고, 그 후 활짝 열려 있던 출세의 길을 마다하고 고난과 박해만이 기다리는 신앙의 길을 흔들림 없이 걸어가시다가 마침내 1801년에 순교하셨습니다. 순교자가 혹독한 박해 속에서 북경 주교에게 보내려고 준비했던 ‘백서’는 귀중한 교회사적 자료이고, 순교에 이르기까지 보여 준 순교자의 굳건한 신앙은 오늘날 우리에게 큰 신앙의 귀감이 됩니다.
황사영 순교자의 세레명은 '알렉시오'
황사영 순교자의 세례명은 통상적으로 "알렉산델"로 알려져 있었으나, 교회사가들의 연구에 의하여 알렉시오임이 밝혀졌습니다.
최초의 문제제기는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서한"을 번역하던 최승룡신부에 의해서 였습니다. 최승룡신부는 너무도 잘 알려진 황사영 순교자의 본명을 김대건 신부님이 다르게 표기하는 것에 대해 이상하게 생각하면서도, 번역문에는 통상적으로 "알렉산델'로 하고 원문에는 "sic"(원문 그대로 표기)을 표기해 두었다고 합니다. 이는 사료 해독과 번역 사이의 중대한 차이를 놓치지 않기 위함이었습니다.
이러한 의문은 최근에 발견된 여러 사료에 의하여 풀리게 되었습니다. 리용판 파리외방선교회 사목지 "Annales de la Proragation de la Foi"에서 조선교구 초대교구장인 브뤼기에르주교가 황사영의 세례명을 "알렉시오"라고 밝히는 등 여러 사료들에 의하여 입증된 바, 현재 황사영 순교자의 세례명은 알렉시오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회관련 서적 중에는 아직도 황사영 순교자의 세례명을 알렉산델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우리 교구 신자들만이라도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할 것입니다.
황사영 백서란?
두 자 가량 되는 명주천에 썼기 때문에 ‘백서(帛書)’라고 하는데, 깨알같이 작은 1만 3311자나 되는 방대한 내용의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대략 3부분으로 되어 있다. 먼저 당시의 천주교 교세와 중국인 주문모(周文謨) 신부의
활동, 신유박해 사실과 이때 죽은 순교자들의 약전을 기록하고, 다음에는 주문모 신부의 자수와 처형 사실, 끝으로 당시 조선 국내의 실정과 이후 포교하는 데 필요한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외세를 끌어들이려 했다는 점에서 <황사영 백서>는 민족 감정에서 나오는 공격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한편 교회의 평등주의라는 원칙과 당시 조선사회에 미친 혁명적인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 일부 사가(史家)들의 주장 이기도 하다.
황사영은 이 백서가 관변측에 압수됨으로써 1801년 대역죄인(大逆罪人)이 되어 능지처참을 당하였다. 원본은 당시 서울 주교로 있던 뮈텔(한자명 閔德孝)이 1925년 한국 순교복자 79위의 시복(諡福) 때 교황 피우스(11세)에게 바쳤는데, 현재 로마 교황청 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교황청에서는 이를 200부 영인(影印)하여 세계 주요 가톨릭국에 배포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