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치科 Trichiuridae
◎ 갈치 : Trichiurus lepturus (Linnaeus)
► 방 언 : 갈치, 빈쟁이, 풀치(어린 것), 도어(刀魚), 군대어(裙帶魚), 갈치어, 갈티
► 외국명 : (영) Largehead hairtail, (일) Tachiuo (タチウオ, 太刀魚), (스) Pez sable, (프) Poisson-sabre, (독) Haarschwanz, (러) Volosokhvost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2.4m, 체중 5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m 정도이다. 몸이 아주 길고 측편되었고 꼬리 쪽은 띠 모양으로 꼬리 끝은 긴 끈과 같다. 비늘이 없으며, 몸빛은 은백색이다. 입은 크고 양 턱과 구개골에는 크고 억센 이빨이 있다. 양 턱 앞쪽에 있는 송곳니의 끝은 갈고리같이 되어 있다. 두 눈 사이는 평탄하다. 등지느러미는 1기로서 140연조이고 머리 뒤에서 거의 끝까지 전 등쪽을 차지하고 있다. 배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가 없다. 뒷지느러미의 연조는 약간 나와 있어 손으로 만져서 깔깔함을 느낄 정도다. 뒷지느러미 기부에는 비늘 모양의 돌기가 없고 요골도 없다. 옆줄은 가슴지느러미 위에서 비스듬히 되어 있다.
크기는 몸길이 1m 정도로 매우 길며 납작하고 끝으로 갈수록 뾰족해진다. 입은 크고 각 턱의 끝에는 피부돌기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비교적 높으나 뒷지느러미는 축소되어 피부에 묻혀 있다. 가슴지느러미 가시의 앞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없다. 배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없다. 옆줄은 아가미뚜껑의 위에서 시작하여 가슴지느러미의 끝까지 비스듬히 달리다가 배 쪽 윤곽을 따라 직선으로 달린다. 신선할 때는 은색 광택을 띠는 금속성 청색이다. 죽은 후에는 균일한 은회색을 띤다.
► 설 명 : 서식 수심 범위는 0~589m이다. 일반적으로 얕은 연안의 진흙 바닥에 살며 종종 내만으로 들어온다. 치어는 주로 작은 유영성 갑각류와 작은 어류를 먹으며, 성어는 주로 어류를 먹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징어나 갑각류를 먹기도 한다. 소형어는 어금니 모양의 이빨로 부유성 갑각류를 많이 먹지만 갈고리 모양의 이빨을 갖춘 대형어는 어류나 오징어를 포식한다. 휴식을 취할 때는 머리를 위로 해서 서서 유영하지만 전력 유영시에는 수평으로 헤엄친다. 낮에는 표층 근처로 부상하고, 야간에는 저층에는 내려간다. 우리 나라 동남서 연해 중 특히 서남해에 많이 나는 주요 어종이다.
비교적 원해성어이나 8~9월경에 산란기가 되면 다소 얕은 곳으로 이동해 온다. 알은 부유성이고 직경은 1.35~1.80mm이다. 유구는 0.36~0.42mm로 연한 등색이다. 치어는 전장이 10mm까지는 몸의 폭이 넓으나 짧고 머리는 크며 띠 모양이 아니다. 전장이 7~8mm부터는 뒤꼬리부가 연장되기 시작하고 등지느러미 앞쪽에 크고 억센 가시가 생기지만 20mm 내외가 되면 퇴화되어서 거의 연조와 같게 된다. 뒷지느러미도 처음에는 강한 1가시와 그 뒤쪽에 발달된 연조가 출현하였다가 그 후에 전부 살갗 속에 묻히게 된다. 같은 종의 꼬리를 잘라먹는 습성이 있다. 빠른 것은 1년에 두동장(頭胴長,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20㎝로 성숙한다. 3년에 두동장 30㎝ 이상으로 자라서 그 중에서 반 정도가 산란한다. 소형어에는 수컷이 많고, 대형어에서는 암컷이 많다. 저인망, 연승 등으로 어획하며, 여름에 맛이 좋고, 소금구이, 튀김, 찌개, 국거리 등으로 이용한다. 어린 것을 풀치라 부르며, 연제품의 원료로 사용한다.
살이 부드럽고 담백한 감칠맛이 돌아 식용으로 매우 맛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살이 통통하게 오른 갈치의 경우 뱃살도 별미로 꼽히는데, 전체적으로 가벼운 맛인 갈치에서 유일하게 지방으로 인한 진한 맛이 느껴지는 부위이다. 갈치는 고등어와 같이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그 자체로 영양식품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음식과 궁합이 좋은데, 특히 목이버섯과 함께 먹으면 목이버섯의 성분과 갈치의 성분이 만나 효능이 극대화되어 혈액이 맑아지고 피부를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식용으로 매우 맛이 좋으며, 표피의 구아닌 성분은 모조진주의 재료로 쓰인다. 몸을 덮고 있는 은가루에 들어있는 구아닌은 진주에 광택을 내는 원료 및 립스틱의 성분으로 사용된다.
제철은 1~10월이지만 연중 거의 맛이 좋다. 산란기에 생식소가 커져도 맛이 좋다. 여름철에 비교적 맛이 안정되고 기름진 개체가 많다. 비늘은 없으며, 몸의 표면은 구아닌(은색)이 덮고 있는데 이는 무미무취이다. 뼈는 비교적 연하다. 살은 백색으로 가열하면 적당히 조여지며, 뼈와 잘 분리된다. 생선회나 초무침으로 이용하기도 하지만 소금구이, 국, 조림 등으로 주로 이용한다. 반쯤 말린것을 구우면 더욱 맛이 진해진다. 산지에서는 내장을 갈치속젓으로 제조한다.
► 분 포 : 한국(서해안, 남해안, 동해안), 일본, 중국, 타이완, 필리핀, 동인도 제도, 호주, 인도양, 홍해와 아프리카 동쪽 연안인 대서양의 난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북극과 남극을 제외한 전세계 온대 및 열대 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 비 고 : 갈치는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 각국에서 즐겨 먹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플로리다에서 루지애나에 이르는 지역에서 오타트롤로 조업하고 있으나 그 규모는 작다. 갈치(cutlass fish)와 근연종인 갈치류(scabbard fish, black scabbard : Aphanopus carbo)는 대서양, 태평양 및 인도양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갈치는 전장 100㎝, 체중 1kg 정도이고 이빨이 매우 날카로와서 가벼운 그물은 찢어 버린다. 대서양에서 어획되는 가장 일반적인 갈치는 본종(T. lepturus)으로 미주대륙에서는 메사츄세츠 남부에서 아르헨티나 남부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지만 상업적인 조업은 주로 멕시코만에서 이루어 진다. 근연종인 T. nitens는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한다. 갈치류(scabbard fish)는 갈치보다 맛있는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모로코 서쪽 800Km 해상인 Maderia에서의 조업은 수익성이 좋은데 이곳에서는 수심 1,000m에서 연승으로 조업하고 있다. 갈치류(scabbard fish)는 전장 1.5m까지 자라며, Madeira 북쪽에 주로 서식하나 노르웨이 원양, 그린랜드, 캐나다 북부 등지에도 양은 많지 않지만 분포하고 있다. 갈치류(scabbard fish)의 다른 종인 은빛갈치꼬치(Lepidopus caudatus)는 white scabbard fish로 불리며, Madeira 주변 해역과 유럽 원양, Cape Cod 북부 등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Black scabbard의 체표가 검은데 반해 이들은 은백색이며, 가슴지느러미가 보다 작다. 갈치와 갈치류(scabbard fish)의 어육은 어체의 전반부에 많으며, 백색이고 지방 함량이 높다. 다양한 요리법이 있으나 Spanish mackeral이라 불리는 요리법이 많이 사용된다. 중국과 포르투갈에서는 수 세기 동안 많은 요리에 이용해 오고 있다.
► 참 고 : 『역어유해』에서는 군대어(裙帶魚)라 하고 한글로 ‘갈티’라고 하였다. 『자산어보』에도 군대어라 하고 속명을 갈치어(葛峙魚)라고 하였다. 또는 칼치·도어(刀魚)라고도 한다. 갈치란 이름은 형태가 칼과 같이 생긴 데에서 유래된 것으로, 정문기(鄭文基)는 신라시대에는 ‘칼’을 ‘갈’이라고 불렀으므로, 옛 신라 지역에서는 지금도 갈치라 부르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칼치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난호어목지』와 『임원십육지』에서는 가늘고 길어 칡의 넌출과 같으므로 갈치(葛侈)라 한다고 하였으나, 갈(葛)자는 차자(借字)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학명은 Trichiurus lepturus L.이다.
갈치는 길이가 150㎝ 정도로 매우 길며 측편(側扁)하다. 비늘은 없고, 몸빛은 선명한 은백색이다. 아래턱이 돌출하고 있으며, 양턱과 구개골에는 크고 억센 이빨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하나로, 거의 등 전부에 걸쳐 있다. 배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없다. 비교적 원해성이나 산란기인 8, 9월경에는 얕은 곳으로 이동해 온다. 알은 부유성이고 연한 등색이다. 치어는 몸의 폭이 넓고 머리가 크며 띠 모양이 아니다. 갈치는 굶주리면 제 꼬리를 뜯어먹으며 같은 종의 꼬리를 잘라먹는 습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여러 곳에서 잡히며, 특히 서남해에서 많이 잡힌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경기도와 충청도에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지방에서 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치는 옛날부터 많이 잡히는 다획성 대중어로 우리 민족이 즐겨 먹어온 바닷물고기이다. 『난호어목지』에서도 갈치는 염건하여 서울로 보내는데, 맛이 좋을 뿐 아니라 값이 싸다고 하였다. 『한국수산지』에 의하면 모심기를 할 때 가장 많이 소비된다고 한다.생선을 그대로 먹기도 하고 말려서 먹기도 하였으나, 주로 구이나 조림으로 먹는데, 경상도 지방에서는 국을 끓이기도 한다.
1997년의 어획고는 원양어업으로 11,567t을, 연안어업으로 67,170t을 올렸다. 최근에 이와 같이 많이 잡히는 것은 어장이 확대되고 어획기술이 발달한 결과이며, 연안의 갈치자원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 갈치의 기능성 및 부작용
► 성장 발달 : 갈치는 메티오닌, 리신, 페닐알라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리신 함량이 높아 성장기 아이들의 발육에 도움을 준다. 또한, 갈치에 포함된 트립토판 성분은 세로토닌을 자극하여 숙면을 돕는다. 잠자는 동안 세포가 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 골다공증 예방 : 칼슘이 풍부한 대표적인 생선으로, 칼슘 성분은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주어 골밀도를 증진시키므로 골절과 골다공증 위험 감소에 좋은 식품이다.
► 혈액순환 : 현대인들의 불규칙한 식습관과 인스턴트식품의 섭취로 건강을 위협하는 당뇨,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의 위험으로부터 노출되기 쉬운데 갈치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춰주고 우리 몸에 유익한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체내 중성 지방을 제거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돕는다.
► 나트륨 배출 : 체내에 쌓여 나트륨이 과하면 삼투압 농도를 증가하여 만성 부종의 원인이 된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나트륨을 흡수해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갈치가 다량의 칼륨으로 체내의 나트륨을 소변으로 배출하여 삼투압 농도를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
► 두뇌발달 및 기억력 증진 : 갈치에 함유된 지방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으로 DHA, EPA, 리놀렌산과 같은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성장기 아이들의 두뇌 발달에 좋다. 또한,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도와 기억력 증진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수험생관 노인들에게 좋은 식품이다.
► 갈치의 부작용 : 갈치의 은빛 구아닌 성분은 섭취 시 두드러기 및 복통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갈치를 손질 시 잘 긁어내어 제거해 주어야 하며, 특히 신선도 높은 갈치를 회로 섭취할 경우 구아닌을 잘 제거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