寅월 갑목
인월 갑목은 雨水(中氣)를 경계로 구분한다. 中氣전에는 조후가 필요하고 중기 후에는 조후가 필요 없다. 雨水 이전에 태어난 갑목은, 火氣 즉 丙火가 투출해야 하다. 인월 갑목은 水 정인이 투출하고 극당하지 않은 경우, 신강이 된다. 이때, 우수 전 생이면 필히 丙火가 투출해야 좋은 사주다. but, 갑목 비견이 또 투출하면 매우 나쁘다 파격이 된다. 왜냐면, 격국상으로 인월이면 건록격인데, 견록격은 재관이 투출하는 것을 좋아한다. 戊己土가 財. 재관이 투출해야 성격인데 甲木이 투출하면 파격이 된다.
甲木이 투출하면, 우수 전에는 필히 丙火가, 우수 후에는 필히 庚金이 투출해야 한다. 寅월 갑목은 갇 태어난 나무로, 매우 연약하니, 春木은 극하면 안되고, 설기시키는 用法이 좋다. 그러나, 궁통보감 책에서는 왜 설기해야 하는지, 어느시기에 설기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다. 우수를 경계점으로 우수 전에는 설기시켜야한다.
예를들어, 갑목 비견이 투출하면, 가장 쓸모 없는 것이 투출한 것. 왜냐하면, 비견은 나의 재를 뺏아 가는 것이다. 따라서, 견겁이 투출하면, 나의 재를 파괴시킨다. 따라서, 우수 이후에는 필히 경금을 써서 갑목을 制하는 것이 좋고, 우수 전이라면, 연약한 나무를 큰 도끼 庚金으로 制하는 것은 마땅치 앟으니, 병화를 써서 설기시키는 것이 명격이 더 높다.
따라서, 寅월 갑목은 필히 우수 전 生인가 後생인가를 가려, 이 사주가 좋은 사주인지 나쁜 사주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우수 후에는 사주의 신강 신약을 따진다. 신강 신약을 가리는 방법은, 전에 말했듯이 본기 중기 여기 이 3개의 점수로 따진다. 그러나, 이것은 절대 불변의 원칙은 아니다. 대개 70-80% 정도가 맞고, 많은 사주를 보고 경험해야지 더 정확하게 볼 수 있다. 신강 신약이 틀리면, 論命도 대운도 틀린다. 좋은 대운에는 승진하고 돈벌어야 하는데, 맞지 앉는다. 신강 신약을 잘 따질려면 사주를 많이 봐라. 오술은 전부 딱 정해진 원칙이 없다.
우수전에 병화가 투출하면 좋은 사주. 그러나 火水는 나란히 붙어있으면 안된다. 隔位 떨어져 있어야 한다. 우수전 갑목이 壬癸水가 투출하면 안된다. 우수 전은 매우 한습한데, 수가 투출하면 더 추워진다. 따라서, 우수전의 사주는 지지에만 있어야지 투출하면 안된다. 우수 후의 갑목은 상관 없다. 이 사항은 매우 중요하다.
신약인데, 계수가 투출하면 用神이 된다. 신강인데 계수가 투출하면 忌神이다.
우수 후에는 庚金 쓸 수 있으나, 우수 전에는 庚金 쓸 수 없다. 신강인 경우, 우수 前 生인데, 경금을 용신으로 한다면 좋은 용신이 아니다. 병화가 없어 부득이 용한 것 제일 용신은 병화이다. 계수가 투출한 경우에는 절대로 병화를 극하면 안된다. 병화가 극당하면 끝장난 사주.
인월, 우수 후의 갑목이 또 갑목이 투출하고 경금이 없으면 파격이다. 나쁜 사주다. 견겁이 투출했으니 가난하다. 경금--관살, 貴氣--이 투출하면 견겁을 制하니, 富해진다. 관살은 견겁으로부터 재를 보호한다. 따라서, 富貴雙全해진다.
갑목이 財 무기토를 만나면...
甲甲戊庚 편재격이고 건록격인데, 건록격은 재관이 투출안하면 어떤 건록격이든 간에 파
○○寅○ 격이다. 古曰 建祿喜見財官 이라 했다. 건록은 비견 당령이니, 모든 건록격은..신강일 때, --중요하다-- 退祖의 상황있다. 즉, 祖業을 계승하지 않고, 설사 부친이 유산을 남겨도 다 날려버린다. 다시 돈을 벌 수 있는가는, 천간에 救濟함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즉, 신강일 때, 甲 비견을 제하는 관살이 있어야 한다. 관살이 년주에 있으니 격국이 좋다. 親蔭이 있다. 조상의 덕있었고, 유년시절에 가정 환경이 좋았다. 그러나, 出身이 좋은 것 보다는 말년에 좋은 것이 더 좋다.
년간에 갑목 있었다면, 시간의 갑목보다, 무토를 더 잘 극한다. 이런 사주라면, 봉급 생활자면 보증 조심하고, 돈 빌려주는 것 조심하면, 大破財 같은 건 겪지 않는다. 스스로도 돈 잘 쓰는 경향있다. 친구 형제 등에 돈 빌려주면 떼인다. 밖에 나가서 식사하면 자기가 돈 낸다. 돈은 버나 돈이 줄어든다.
(戊土가 투출했으나, 극을 당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 경우에도 부친의 조력이 있다고 보나요?) 조력 있다. 그러나, 감소된다.
寅월에는 무병갑이 있는데, 지장간이 투출해서 용신이 되면 이를 眞神得用이라 하다. 眞神得用은 대부대귀한데, 단, 용신이 극당하면 안된다.
寅월 갑목을 비록한 모든 건록격은 견겁의 투출을 싫어한다. 견겁이 투출하면, 필히 制 되어야 한다. 즉 관살이 투출해야 한다. 그런데, 관이 좋을까 殺이 좋을까. 확실한 답을 주겠다.
陽干은 七殺!! 陰干은 正官이 투출되어야 좋다.
따라서, 陽干은 신강일 때, 칠살을 조후 용신으로 한다. 戊土無甲木不靈이란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양간이 신강이면 칠살이어야 制할 수 있다. 즉 갑목은 辛금으로 制할수 없다.(펌)
윤창역술원 쌍문역 01098503787
첫댓글 인월 갑목생으로 월간 시간 견겁투출입니다. 제 명조에 대해 많은 이해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