戌月 을목
조후 용신은 辛金, 癸水. 술월은 乾土이고 정재이다. 술월은 乙의 財富之地이다. 지지에 申금 또는 亥水 있어야 좋은 사주다. 정재격이므로 癸水 쓰면, 토극수 당하니, 辛金을 用해 통관해야 한다. 따라서, 조후 용신은 辛金과 癸水. 왜 庚金 壬水가 아닌 辛金 癸水를 쓰는가? 乙木은 陰木으로, 음목은 절대 임수 쓰는 법 없다. 화초지목은 너무 물이 많아선 안된다. 따라서, 을목은 신약하면 반드시 계수를 쓴다. 辛金은 월령에 당령이다. 음간이 신약해서 用印할 때, 계수를 쓰는데, 계수 역시 음간이니 음간의 오행으로 생해 주어야 한다. 즉, 辛金으로 생해주어야 한다. 乙木의 음간 印은 계수이다. 음간중에서, 己土만 예외. 무기토는 모두 丙火로 用印한다.
일단, 토가 투출하면, 필히 辛金이 투출해야 한다. 土가 투출하면, 격국 旺神이 조후 용신 癸水를 극할수 있다. 이렇게 되면 구제 방법이 없다. 따라서, 토가 투출하면 辛金이 투출해야 한다. 印이 太弱하면, 殺로 生印해야 한다 (살인상생). 술월을목은 격국면에서, 財格이면 用印하는데, 계수가 투출했다면, 무토가 투출해 癸水를 극하지 않는다면, 이 사주는 좋은 사주다.
戊土가 연간에 있고, 계수가 時干에 있는 경우, 가을의 물이긴 하나, 土當令인 때의 水이다. 이때, 水는 戌土에 絶地다. 혼자 몸도 보전하기 어려운데, 어찌 生木 하겠는가. 따라서, 辛癸를 並用한다. 辛金은 을목을 극하나, 水가 있으면 轉化되어 을목을 극하지 못한다. 금생수, 수생목 되게 한다. 이래야만 일주가 財를 감당할 수 있다. 財 當令이므로, 이 사람은 기본적으로 富命이다. 그러나 富할 수 있는지 여부는 辛癸가 있는지에 달려있다. 辛金이 없으면, 계수는 제대로 작용하지 못한다. 필히 印이 庚辛金 운으로 가야하낟. 만약, 계수가 없고, 辛금만 있다면 辛金은 을목을 극한다. 따라서, 술월 을목은 癸水가 없으면 절대 안된다.
술월 을목 중, 가장 좋은 生時는, 갑신時, 藤蘿繫甲이니 可秋可冬 이다. 만약, 時干이 壬 또는 癸라면, 임오 계미時로 둘다 절지에 앉았으니, 힘이 없다. 그러나, 갑신시는, 申금에 長生之水가 있으니, 癸水가 투출하면 申에 長生의 水源이 있다. 따라서, 술월 을목은 갑신時가 가장 좋은 時干이다.
癸 壬乙○○ 단, 生時가 임오, 또는 계미 時인데, 년지가 申 또는 亥인 경우는 괜찮다. 어쨌
未 午○戌申(亥) 든, 계수를 用하면, 필히 申亥 두 글자가 있어야 한다. 왜 子수는 언급을 안하
時는가. 子에는 을목의 뿌리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亥水는 子水보다 좋은 용신이다. 만약 이 사주가 乙亥일 생이라면 아주 좋다.
○乙○○ 묘술 合火 될 소지가 있다. 寅이 있어도 合火 될 위험이 있다.
○卯戌卯 만약 병술월이라면 火局과 같게 보고, 상관생재가 된다. 戌은 財庫이고 火庫이다. 신약인데, 정화가 투출하면 식신생재다. 신약인데 水가 없으면 이런 식신은 財를 생할 수가 없다. 즉 일주가 재를 감당할 수 없다는 뜻이다. 대운이 도움이 되는가는, 사주에 水氣가 있는지에 달려 있다. 어쨌든 명격의 좋고 나쁨을 먼저 판별해야 한다. 술월 을목의 좋고 나쁨은 계수를 본다. 계수가 있으면, 辛金이 있는지 본다. 둘다 잇으면 부귀쌍전하고, 辛金 없으면 富而不貴. 계수 없고 辛金만 투출해 있으면, 財黨殺하니 가장 꺼리는 것이다.
-(재는 투출하지 않았는데요) 辛金, 칠살이 투출한다면, 년간 또는 시간에서 가능한데,
辛乙○辛 어쨋든 매우 강한 殺이다. 년간에 투출하면 年上七殺, 照年一場凶이 된다. 早年
○○戌○ 뿐만 아니라, 평생동안 흉하다. 이것을 「財黨殺攻身」이라 한다. 여명이면 남자에게 업신여김 당하기 쉽다. 신약인데 년간에 辛金이 투출하면, 매일 남편에게 두들겨 맞는다.
(선생님이 좀 전에 말한 可秋可冬은 무슨 뜻인가요?) 甲申시생을 의미한다. 갑신시 생이면, 가을 겨울을 막론하고 可秋可冬하다는 뜻. 가을생이 갑신시면, 申금에 임수 장생지수가 있어, 운에서 水氣만 보면 가추가동하다는 뜻. 왜냐하면, 술월은 을목의 정재로 戊土, 厚土이다. 을목은 厚土를 극할 수 없다.
○壬戊○ 만약 壬水 일주이고, 무술월생이고, 무토 칠살이 기신이라면, 용신은 필히 갑목
○○戌○ 을 써야 한다. 을목으로 극해야 厚土는 꼼짝도 안한다. 이처럼, 을목은 戊土를 극하지 못하므로, 왕한재는 감당 못한다.
어느 오행이든, 양간을 극하려면, 양의 오행으로 극해야 한다.
○乙戊○ 이 경우는, 乙木 戊戌(財)를 剋不動 (극해도 꿈쩍 안함) 하므로, 재를 쓰지 못한
○○戌○ 다. 즉, 재왕신약하니 富屋貧人이다. 따라서, 술월 을목은 무토가 투출함을 가장 꺼린다. 무토가 투출하면 조후 용신 계수를 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가 투출하면, 필히 辛金이 투출해야 이 水가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계수가 투출할 때, 土水가 나란히 있으면, 財破印 즉 토극수 당한다. 이 경우, 男命은 그의 처와 모친 간에 필히 불화한다. 論命할 때, 이런 사주를 보면, 핵가족으로 살아야지, 모친 모시고 살면 가정이 화목하지 못한다고 이야기 해주어야 한다.
○乙壬○ 월간이 임수여도 母妻간에 불화한다. 壬은 모친인데, 재가 모친 宮位에 앉아 있
○○戌○ 고, 印이 財를 깔고 있어, 재가 위로 印을 극하고 있다. 따라서, 모처간에 불화한 다.
-(女命에 財破印 되면 어떤가요?) 印이 용신이라면, 印은 모친이므로, 모친 걱정을 많이 한다. 모친의 건강도 안 좋을 것이다. 剋母의 형상이므로...
윤창역술원 쌍문역 01098503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