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노을 / 유경환 작시 / 박판길 작곡 / 테너 김호중
오페라떼Operatte'(대구오페라하우스)
https://youtu.be/4cuaLv4Ht2s
[오늘의 사건]
2000년 10월 23일
노사정위원회 ‘주 40시간 근무’ 합의
민주노총과 전교조가 실시한 ‘주 5일 근무 직장인 찬반투표’에서 점심시간을 이용해
외출한 직장인들이 ‘찬성’ 칸에 빽빽하게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노사정위원회가 2000년 10월 23일 김창성 경총 회장, 이남순 한국노총
위원장, 김호진 노동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본회의를 열고
현행 주 44시간인 법정근로시간을 빠른 시간 내에 주 40시간으로 단축하고,
업종과 기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실시한다는 내용의 주 5일 근무제에 대한 노사정 합의문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1989년 법정근로시간이 주 44시간으로 단축된 이래
11년 만에 선진국 수준인 주 40시간으로 단축되게 됐다.
그러나 노사정위는 주 40시간 근무제도의 구체적인 시행시기와 휴일-휴가
제도 개선 등 핵심 쟁점사항은 추후 논의키로 했다.
노사정위는 또 근로자의 생활수준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휴가제도 등을 개선하고
정부에 학교 수업 주 5일제, 교육훈련 및 여가시설의 확충 등 사회적 정비방안을 마련토록 촉구했다.
노사정위는 이를 골자로 한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올해 내에 정부안으로 국회에 제출키로 했다.
[오늘의 인물]
1996년 10월 23일
백범 김구 암살범 안두희 피살
백범 김구 선생 살해범 안두희 씨가 백범 사건 진상규명 위에 붙잡혀
검찰에 넘겨졌던 당시의 사진(1961년). 백범
김구 선생 살해범 안두희 씨가 백범 사건 진상규명 위에 붙잡혀 검찰에 넘겨졌던
당시의 사진(1961년). 백범 김구 선생 암살범 안두희 씨가 1996년 10월 23일 오전 11시 30분쯤
인천 자신의 집에서 버스운전기사로 일하는 박기서 씨에 의해 피살됐다.
범인 박기서 씨는 경찰 조사에서 “평소 백범 선생을 존경했다.
지난 6월 백범 추모식 이후 살해를 계획했다. 후회는 안 한다”라고 밝혔다.
박기서 씨는 1997년 11월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수감생활을 하던 중 1998년 3월 특별사면으로 석방됐다.
이날 피살된 안두희 씨는 백범 김구 선생을 살해한 1949년 6월 26일
이후 47년 동안 테러와 협박의 공포에 시달리며 피신생활을 해왔다.
1949년 당시 32세의 포병 소위였던 안 씨는 징역 15년을 선고받고
육군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 1950년 6·25가 터져 포병장교로 복귀했다.
전투 중 부상, 1951년 군복을 벗은 후 1956년 6월부터 강원도 양구에 군납 공장을 지어
많은 돈을 벌었으나 4·19 후 테러 위협이 계속되자 사업을 중단, 서울로 돌아와 잠행을 시작했다.
안 씨가 첫 테러를 당한 것은 1965년 12월의 일로, 29세의 청년 곽태영 씨로부터
칼로 목을 두 군데나 찔렸으나 극적으로 살아났다.
안 씨는 이후 수차례 미국 이민을 시도했으나 국민의 비난여론으로 여권을 발급받지 못해 좌절됐다.
안 씨가 두 번째 테러를 당한 것은 1987년 3월 27일의 일로, 서울 마포에서
권중희 씨에게 각목으로 맞아 병원에 입원했다.
그해 7월에는 잠을 자다 27세의 노송구 씨에게 각목으로 폭행당해
또 병원에 입원해야 했다.
이후 1988년부터 인천에서 살던 안 씨는 1991년 8월부터 중풍에 걸려 거동이 불편한 가운데
1992년 2월 28일 권중희 씨 등의 강권에 못 이겨 백범 묘소를 참배하기도 했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41건
ㆍ2009년 · 삼성전자, ‘LTE 단말기’ 세계 첫 공급 계약 성사
ㆍ2009년 · 정명환 전(前) 향군 사무총장 별세
ㆍ2009년 · 정명세 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총장 별세
ㆍ2004년 · 일본 니가타(新潟) 현 강진 발생 - 33명 사망, 2100여 명 부상
ㆍ2003년 · 장제스(蔣介石) 전 대만 총통의 부인 송미령 여사 사망
ㆍ2002년 · 체첸 반군, 모스크바 극장서 인질극
ㆍ2000년 · 울브라이트 미국 국무장관, 북한 방문
ㆍ2000년 · 노사정위원회 ‘주 40시간 근무’ 합의
ㆍ1998년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영토-평화 교환협정`에 서명
ㆍ1996년 · 백범 김구 암살범 안두희 피살
ㆍ1991년 · 캄보디아 내전 종식 평화협정
ㆍ1990년 · 남북통일 축구대회 서울서 2차 경기
ㆍ1989년 · 헝가리, 40년간의 공산통치 종식하고 공화제 선언
ㆍ1983년 · 제22회 세계 양궁대회 여자 단체 개인종합 우승
ㆍ1983년 · 레바논 주둔 미국, 프랑스 군사령부 폭파
ㆍ1982년 · 하크 파키스탄 대통령 북한 방문
ㆍ1982년 · 영국, 소련 KGB 거물 요원 쿠지 치킨 (전 테헤란 주재 부영사)의 망명을 발표
ㆍ1980년 · 코시킨 소련 수상 사임. 후임에 니콜라이 티호노프 임명
ㆍ1978년 · 일본-중국, 평화 우호조약 비준서 교환
ㆍ1973년 · 1차 석유파동. 메이저들의 30% 유가인상으로 세계경제 큰 혼란
ㆍ1973년 · 스페인의 첼리스트 파블로 카살스 사망
ㆍ1969년 ·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준공
ㆍ1963년 · 여주 나룻배 참사. 49명 익사
ㆍ1958년 · 소련, 애 스완 댐 건설에 1억 달러 원조 발표
ㆍ1958년 · 러시아 작가 파스테르나크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
ㆍ1956년 · 헝가리 반소(反蘇) 봉기
ㆍ1956년 · 국제 원자력기구 설립
ㆍ1954년 · 미국-영국-프랑스-소련, 독일 점령 종식 위한 파리협정 조인
ㆍ1954년 · 국제 팬클럽 한국본부 발족
ㆍ1951년 · 동독 경찰, 서베를린서 철수
ㆍ1946년 · 유엔총회 뉴욕서 개막
ㆍ1945년 · 조선신문기자협회 결성
ㆍ1945년 · 독립 촉성 중앙협의회 결성
ㆍ1942년 · 몽고메리가 롬멜을 제압한 엘 알라메인 전투
ㆍ1936년 · 한강 인도교 두 번째 개통식
ㆍ1926년 · 레온 트로츠키, 소련 정치국에서 추방
ㆍ1923년 · 김약수 등 사회주의자 160여 명 서울에서 건설사 조직
ㆍ1919년 · 대한 정의단 임시 군정부, 대한 정의 군정부(大韓正義軍政府)로 개칭
ㆍ1893년 · 창랑 장택상 출생
ㆍ1868년 · 최초의 영국 자동차를 만든 란체스터 출생
ㆍ0930년 · 일본 제60대 천황 다이고 사망
[출처 : 조선닷컴]
첫댓글 어제는 어느 문학회 시화전
개막식이 있어 종일 들어오지 못했답니다
귀한 자료 게시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아름다운 오늘 되시기 바랍니다^^
그러셨군요
요즘 계절이 계절인 만큼
시화전에도 분주하시제요
바쁜 일정들이 아름다운 가을에 화답이지요
이 게시물엔
안두희의 피살의 역사가 남은 날이네요
한주도
행복 하입시다
시인 님
호중이 노랜 들어도 좋아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