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추 하면 보은, 보은 하면 대추’라 했는데, 2008년 가을 보은의 대추가 날개를 달았다. 우리나라는 ‘축제의 천국’이라고 할 만큼 전국 각지에서 온갖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지난 10월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구병산이 바라보이는 충북 보은군 탄부면 임한리 솔밭 일원에서 열린 보은 대추축제는 아주 별났다. ‘달걀만한 크기의 대추를 생산했다’는 언론보도의 덕이었을까. 축제 첫날부터 축제장에는 차량 행렬이 줄을 이었고, 축제장은 인산인해였다. 해질 무렵 대추 판매장에는 산더미처럼 쌓여 있던 대추가 동이 나 대추 없는 대추축제장이 될 정도였으니 이 날의 보은 대추 인기도는 가히 폭발적이었다.
보은땅은 밤낮의 일교차가 커 최상의 당도를 자랑한다. 얇은 껍질, 단단하고 많은 과육의 생대추 맛은 다른 지역 대추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것이다. 조선조 왕실에 진상되던 보은의 전통 약대추가 ‘2007년 농업인 으뜸농산물 전시회’에서는 금상을 수상하고, 2008년 1월에는 청와대에 납품까지 했다.
‘비야 비야 오지 마라 / 대추꽃이 떨어지면 / 청산보은 색시가 / 시집 못가 눈물 낸다’
옛부터 보은에서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노래다. 삼복중에 피는 대추꽃이 비를 맞고 떨어지면 대추농사를 망치게 되어 혼인비용을 마련하는 일이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보은에서 대추가 차지했던 경제적인 비중을 잘 말해 주는 노래였는데, 이제는 달걀 크기의 대추가 보은경제에 큰 효자노릇을 하게 되겠다. 보잘것없는 크기의 자연산 대추를 메추리알만한 크기, 나아가서 달걀만한 크기의 대추로 재배하여 같은 맛과 같은 당도를 내게 한 우리의 농업기술은 경이롭다. 보은 대추축제를 둘러보며 달걀 크기의 대추를 재배해내는 우리 농업기술의 앞날에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
아름마을 지킴이 병암 할아버지
백운산장
구병산 북쪽 자락 속리산면 구병리 아름마을은 구병산 정상에서 가장 가까운 마을이다. 사람 발길이 뜸한 깊은 산골이던 이 마을이 충북알프스의 매우 중요한 위치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자 외지사람들의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졌고 이들이 이용해야 할 먹거리집과 숙박시설들이 문을 열게 된 것이다. 이 마을에는 통나무로 잘 지은 펜션이 있는가 하면 나이 든 사람들이 어린시절에 살던 고향집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집들이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
이곳에서 가장 오래 살았다는 병암(屛岩) 이원준(李元準) 할아버지의 집 ‘백운산장식당(043-542-5335)’은 음식을 먹을 수 있고 민박도 가능한 집이다. 외지에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는데, 할아버지는 이곳에서 3대째 살아오는 터줏대감이시다. 병암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께서 구병 마을이 정감록 십승지의 한 곳이라 여기에 터를 잡았다고 한다. 이정자(李正子) 할머니와 내외분이 손님들을 친자식처럼 따뜻하게 맞아 준다는 소문으로 단골들이 백운산장 홍보요원 역할을 한다고 했다.
충북알프스 시발점 산꾼들의 캠프
청솔가든
구병산에서 속리산, 관음봉, 상학봉으로 이어지는 43.9km 능선 상의 산군이 충북알프스로 불린다. 보은군에서는 1999년 이 능선 상의 산들을 하나로 묶어 ‘충북알프스’로 지정, 특허청에 업무표장등록을 했다. 자손만대로 이어질 이 이름을 창안한 사람은 당시의 보은군 정중환(鄭重煥) 부군수였다. 10년 전의 일인데, 구병산 자락에 살고 있는 많은 분들이 지금 이 분의 공덕을 칭송하고 있다.
-
종주의 시발점으로 삼고 있는 장안면 서원리에는 종주팀들이 캠프로 이용할 수 있는 ‘청솔가든(043-544-2525)’이 있다. 황토 숙박시설 5동에는 장작불로 온돌을 덮히는데 60명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규모. 주인 신국범(53)씨는 종주팀들에게는 각별한 배려를 하는 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군청이나 한번씩 다녀간 많은 산꾼들로부터 격려를 받기도 한다고 했다.
구병산 자락에서 남도맛 즐긴다
송현가든
김길자. 1959년 전남 순천생. 대도시 객지에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건실한 총각을 만나 사내결혼을 했다. 결혼 후 직장생활 보다는 자영업이 좋을 것 같아 식당을 개업하게 되었다. 맛의 고장 남도땅이 고향인지라 어릴 적부터 음식 만드는 일에는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자랐다고 한다. 대도시의 번화가에서 시작한 식당에, 감칠 맛 나는 음식을 차려내는 업소라 손님들의 발길이야 당연히 이어지게 마련. 식당은 승승장구했다.
-
‘딸 아들 구별 말고 하나만 낳아 잘 기르자’는 캠페인에 맞추어서 아들 하나만 낳았다는데, 그 아들이 잘 자라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가장 선호한다는 직장에 취업하고 나니 여인의 마음에 변화가 오더라고 한다. 그래서 ‘도시탈출’을 구호로 삼고 명산 자락, 안주할 곳을 찾아 헤매다가 발길 닿은 곳이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송현리, 구병산 정상이 1시 방향으로 바라보이는 지금의 자리, 25번 국도변, 200평 땅 위에 지난해 말 동네 이름을 딴 ‘송현가든(043-542-4430)’을 개점했다는 것이다. 확보한 땅 넓이에 비해, 집을 작게 짓고 마당을 크게 잡았다. 마당에는 온갖 꽃들을 심었다. 물이 고이는 작은 웅덩이도 만들었다. 이런 모습의 집이 자신의 ‘소녀적 꿈’이었다고 한다. 식당은 새로 지은 집이라 전체적인 분위기가 깔끔한데 식탁 12개로 버스 한 대의 인원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규모다.
맛자랑경연대회 대상 수상업소
길손식당
구병산은 충북알프스 종주의 일환으로 오르는 경우가 많다. 속리산 산행과 연계를 시킨다는 것이다. 천하의 명산 속리산에 천년고찰 법주사, 자연스럽게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은 일년 사계 끊이지 않는다. 따라서 법주사 가는 큰 길가는 먹거리 집으로 하나의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76개 업소가 어느 때나 문을 열어 놓고 손님들을 맞고 있다. 어느 집을 찾아 가야 하나. 산악회 총무들이 고심하는 사항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