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통(Menstrual Cramps)
[월경곤란증(Dysmenorrhea)]
> 월경통이란 무엇인가?
월경통은 여성의 생리주기에 즈음하여
복부와 골반부위에 생기는 통증을 말한다.
지속적인 과정처럼 이 두 질병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하더라도
월경통은 월경전증후군에서 생기는 불편한 증세와는 같지 않다.
많은 여성들이 월경전증후군과 월경통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다.
월경통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할 수 있다.
경증인 월경통의 경우엔 기간도 짧고, 거의 두드러지지 않으며
증상도 단지 아랫배가 묵직한 정도이다.
심한 월경통의 경우에는 너무 고통스러워서
몇일 동안 정상적 활동도 못할 정도이다.
> 월경통은 얼마나 흔한가?
50%라고 예측되는 것 이상의 여성이 다소간의 월경통을 경험하며
이들 중 15%정도는 심한 경우이다.
> 월경곤란증이란 무엇인가?
월경통의 의학적인 용어는 월경곤란증이다.
월경곤란증에는 원발성과 속발성의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원발성 월경곤란증의 경우에는
통증을 유발하는 다른 부인과적인 원인이 없다.
이 유형은 대개
소녀들이 생리를 시작하는 초경때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속발성 월경곤란증은 (대개 여성 생식기계에 관련되어 있는)
비정상적인 원인이 있어 월경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이다.
속발성 월경곤란증도 초경시에 나타날 수 있으나
대개는 그 후에 발생한다.
> 무엇이 월경통을 유발하는가?
매달 자궁의 내막은 임신에 대해 준비가 되어있다.
만약 난자가 정자에 의해 수정이 되지 않으면
자궁의 내막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여성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혈중치는 감소하며
자궁 내피 세포들은 팽윤되어 죽게 된다.
그 후에 퇴출이 일어나고
다음 월경주기에 새로운 내막으로 대치될 것이다.
이렇게 오래된 자궁내막의 퇴축이 일어날 때
프로스타글란딘이란 분자가 방출된다.
특히 프로스타글란딘 F2α(PGF2α)는 자궁근의 수축을 유발한다.
자궁근이 수축할 때 자궁내막으로 공급되는 혈류를 수축하게 된다.
이 수축은 내막 조직에 산소 공급을 차단하게 되어
자궁내막의 퇴축이 일어나고 죽게되는 것이다.
이 조직의 괴사 후에 자궁수축은
옛 자궁내막 조직을 자궁경부와 질을 통해 체외로 방출시킨다.
> 통증은 왜 생기는가?
월경통은 자궁수축에 의해 생긴다.
혈흔 조직의 성분 등이 자궁내막으로부터 자궁경부를 통해 지나가면서
특히 자궁경관이 작을 경우에 통증이 생기게 된다.
월경통의 통증이 크고 적음의 차이는
여성에서 방출되어 나오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양과 관계가 있다.
월경통이 있는 여성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혈중치는
그렇지 않는 여성에 비해 5-13배 가량 높게 나온다.
월경통은
임신한 여성이 분만유도약물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투여받을 때
느끼는 통증과 매우 비슷하다.
> 월경통을 측정할 수 있는가?
있다.
월경통은 자궁내의 압력과 자궁수축의 횟수와 빈도를 측정함으로써
과학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정상적인 월경주기 동안에는 평균 수축압력이 50-80 mmHg이고
매 10분당 1-4회의 수축이 15-30초 정도 나타난다.
월경통이 있을 경우에는
자궁수축압은 올라가고 (400mmHg를 초과할 수 있다)
90초 이상 지속되며 종종 15초 이하로 나올 때도 있다.
> 월경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는 무엇인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통 좁은 자궁경관은
월경통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월경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해부학적 인자는 후방형 자궁이다.
운동부족도 월경통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정신적인 요소도 작용할 수 있다고 오래전부터 생각해 왔다.
예를 들면 감정적 스트레스가 월경통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카페 게시글
풍경산방 산방의원(전문의 운영)
안녕하세요
월경통(Menstrual Cramps) ; [월경곤란증(Dysmenorrhea)]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