卯月 丁火
庚甲
편인 당령. 사주 천간 어디든, 을목이 투출하면, 乙목 편인이 최우선 성격되므로, 필히 庚辛金 財가 잇어야 한다. 을경은 合金하므로, 辛金 써도 된다. 편인격은 역용격국이라, 편재로 극해야 好命이다.
인월이든, 묘월이든 일단, 印 당령인 경우, 사주가 신약한게 좋다. 일반적으로 다른 격국들은 신강한 것이 좋으나, 印 달령인 오행은 신강을꺼린다. 印격은 신강을 꺼린다. 신약해야 좋다. 잘 기억하라. 신약이면 당령인 印을 用하므로, 眞神得用이라 그렇다. 印당령 인데, 신강이면 母慈滅子 될 수 있다. 즉, 木盛火塞 된다. 인월이든 묘월이든 간에 정화가 신강이면, 어느 격국이든 간에 무조건 경금이 있어야 한다. 이 경금은, 만약 인월 정화라면, 정인격인 경우 파격된다. 그러나, 경금은 조후 용신 字이므로, 파격을 꺼리지 않는다.
辰月 丁火
조후 용신은 甲庚
辰월 정화는 상관 당령. 사주에 戊土가 투출하면, 상관격으로, 정인 甲木 있어야 한다. 정인은 甲으로 戊를 극하기 때문이고, 또한 정화를 생해주기 때문이다. 丙丁화가 失令인데다가 신약인 경우는 甲木이 없으면 안된다. 갑목이 없으면 사주 별로다. 단, 反弱爲强인 경우는 예외
庚金은, 신강이고, 甲이 忌神일 때 쓴다. 戊土는 水旺 할 때 쓴다. 辰월은 水庫라, 신자진 水局이 이루어 질 수 있다. 水旺 할 때만 무토 쓰지, 아니면 무토 쓰는 법 없다. 수왕해서 무토 쓰는 사주도 흔치 않다.
辛丁庚庚 이 사주는 어떤가. 종격으로 볼수도 있다. 그러나, 병정화는 종하기 힘들다.
丑未辰申 일단 뿌리만 있으면 종하지 않는다. 설사 丑未 충 되었다 하나, 辰중 을목이 있 다. 亥월 병화는, 印劫없고 뿌리 없어도 종하지 않는다. 火는 이처럼 독특하다. 丁火도 마찬가지. 정화는 뿌리가 암장에만 있어도, 즉 뿌리가 있기만 하면 不從한다. 이런 命은 甲운에 발달한다. (庚辛金이 回剋하는데두요?) 回剋은 상관없다. 진월에 庚辛, 甲 모두 조후 용신이다. 따라서, 庚甲兩透면 富貴定然 이라 했다.
윤창역술원 쌍문역 01098503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