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에는 하나의 조직, 회사, 기관 내에 스타가 있으면
조직에 이롭기보다 해롭다는 내용의 글을 가지고
영어훈련하겠습니다.
글쓴이가 그러한 주장을 하게 된 계기는
영국 왕실의 아웃사이더인 해리 왕자가
자서전을 통해 영국 왕실의 치부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故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둘째 아들인 해리 왕자는
비백인 이혼녀인 영화배우 메건 마클과 결혼하는 등 전통과 배치되는 행동으로
세계적인 이목을 끌고 있는 스타이지만,
영국 왕실에게는 왕실 권위를 떨어뜨리는 골칫거리입니다.
경제학자인 글쓴이는 그러한 현상을 individual branding이라는 용어로 설명하고 있고,
그것이 조직이나 회사에 해악을 끼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근무했던 이익훈어학원에서도 스타 강사를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했었는데
그에 대한 얘기도 들어보시고,
글쓴이의 논리를 감상하면서 고급스러운 글쓴이의 영작 솜씨도 감상하시죠.

The perils of superstar culture in industries
One of the reasons the public is obsessed with Harry and Meghan is that they represent an important economic trend that resonates well beyond the British royal family: the rising tension between individual branding and the power and prestige of being part of an institution. And it’s not just the royals; it’s an issue for all industries.
In the past, if money and security and status were what you craved, your path was clear: You got a job at the most prestigious institution you could and became a valuable team player. This meant giving up some part of your identity. You wouldn’t be well-known to people outside your field, or probably even within the company. To a large extent, this was the relic of the last stage of industrialization. Back then, stars were for the movies, and office work involved keeping your head down and dedicating yourself to the advancement of the institution. In exchange for your fealty, you received a small share of the institution’s success and prestige.
This has reversed in our current economy. There are fewer movie stars but more high-profile people in all the other industries. For the film industry, it was a symbiotic relationship that relied on stars to pull people into theaters. But the dynamic is causing problems for other industries because it creates tension between being a star and being a good team player.
중략...........
--------------------------------------------------------------------------------------------------
※ 시사영어 공부의 효과
1. 영어 훈련
잘못 알고 있는 단어 뜻을 익히며, 주요 문법과 주요 표현들의 반복 숙달
복잡한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 연습
된장 냄새 나지 않는 영작 훈련
글쓴이의 창의적 표현 감상
2. 논리력 향상
글쓴이의 논리 전개를 감상하며 자신의 논리력을 향상시킵니다.
3. 시사 상식 확대
한국인이 미국인과 대화할 때 대화가 길게 이어지지 않는 것은
영어 실력이 부족해서이기도 하지만
사실, 시사 상식 부족으로 할 얘기가 없어서인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