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권 오온을 위주로 한 가르침 (Khandha-vagga)
제22주제 무더기(존재의 다발)[蘊] 상윳따 제10장 꽃 품
쇠똥 경(S22:96)
Gomaya-sutta
1. <사왓티의 아나타삔디까 승원(급고독원)에서>
2. 그때 어떤 비구가 세존께 찾아갔다. 가서는 절을 올린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는 세존께 이렇게 여쭈었다.
3. “세존이시여,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기 마련이며 영원 그 자체인 것처럼 확고부동하게 존속할 그런 물질이 있습니까? 세존이시여,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기 마련이며 영원 그 자체인 것처럼 확고부동하게 존속할 그런 느낌이 … 인식이 … 형성이 … 의식이 있습니까?”
4. “비구여,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기 마련이며 영원 그 자체인 것처럼 확고부동하게 존속할 그런 물질은 없다. 비구여,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기 마련이며 영원 그 자체인 것처럼 확고부동하게 존속할 그런 느낌은 … 인식은 … 형성은은 … 의식은 없다.”
5. 그때 세존께서는 작은 쇠똥 덩어리를 손에 들고 비구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여, 이 쇠똥 덩어리 만큼이라도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기 마련이며 영원 그 자체인 것처럼 확고부동하게 존속할 그런 자기 존재란 것은 결코 있지 않다. 비구여, 만일 이 쇠똥 덩어리 만큼이라도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기 마련인 그런 자기 존재란 것이 있다면 바르게 괴로움을 멸진하기 위해서 청정범행을 닦는 것을 천명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이 쇠똥 덩어리 만큼이라도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기 마련인 그런 자기 존재란 있기 않기 때문에 바르게 괴로움을 멸진하기 위해서 청정범행을 닦는 것을 천명하는 것이다.”
6. “비구여, 먼 옛날에 나는 관정(灌頂)의 대관식을 거행한 끄샤뜨리야 왕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4천의 도시가 있었나니 수도 꾸사와띠가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4천의 궁전이 있었나니 담마 궁전이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4천의 중각강당이 있었나니 대장엄 중각강당이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침상이 있었나니 황금으로 된 것, 은으로 된 것, 상아로 된 것, 향나무로 된 것, 다리에 동물 형색을 새긴 것, 긴 술을 가진 덮개가 깔린 것, 천 조각을 덧댄 이불이 깔린 것, 영양 가죽 깔개를 가진 것, 차양으로 가린 것, 붉은 베개와 붉은 발 받침을 가진 것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코끼리가 있었나니 황금으로 장식되고 황금의 깃발을 가지고 황금의 그물로 덮였으며 우뽀사타 코끼리 왕이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말이 있었나니 황금으로 장식되고 황금 깃발을 가지고 황금의 그물로 덮였으며 왈하라까 말의 왕이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마차가 있었나니 사자 가죽으로 덮인 것, 호랑이 가죽으로 덮인 것, 표범 가죽으로 덮인 것, 황색 천으로 덮인 것, 황금으로 장식된 것, 황금의 깃발을 가진 것, 황금의 그물로 덮인 것들이며 웨자얀따 마차가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보배가 있었나니 보배보가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여인들이 있었나니 수밧다 왕비가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장자가 있었나니 장자보가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끄샤뜨리야 가신(家臣)들이 있었나니 주장신보(국무대신)가 최상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암소들이 있었나니 황마로 된 끈을 가졌으며 은으로 된 우유통을 가졌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옷이 있었나니 섬세한 아마로 된 것, 섬세한 면으로 된 것, 섬세한 비단으로 된 것, 섬세한 모직으로 된 것이었다.
관정한 끄샤뜨리야 왕인 나에게는 8만 4천의 탈리바까(밥 보시)가 있었나니 저녁과 아침에 밥을 원하는 자가 먹었다.”
7. “비구여, 그러나 그들 8만 4천의 도시 가운데 내가 살았던 곳은 오직 한 곳이었으니 수도 꾸사와띠였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궁전 가운데 내가 머물렀던 곳은 오직 한 곳이었으니 담마 궁전이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중각강당 가운데서 내가 머물렀던 곳은 오직 한 곳이었으니 대장엄 중각강당이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침상 가운데 내가 사용했던 것은 오직 하나뿐이었으니 그것은 금으로 만든 것이었거나, 은으로 만든 것이었거나, 상아로 만든 것이었거나, 혹은 향나무로 만든 것이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코끼리 가운데 내가 탔던 것은 오직 우뽀사타 코끼리 왕뿐이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말 가운데서 내가 탔던 것은 오직 왈라하까 말의 왕뿐이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마차 가운데서 내가 탔던 것은 웨자얀따 마차 오직 하나뿐이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여인들 가운데 끄샤뜨리야 여인이나 웰라미까 여인 한 사람만이 시중을 들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옷 가운데 내가 입었던 것은 오직 하나 뿐이었으니 그것은 섬세한 아마로 된 것이거나, 섬세한 면으로 된 것이거나, 섬세한 비단으로 된 것이거나, 혹은 섬세한 모직으로 된 것이었다.
비구여, 그들 8만 4천의 탈리빠까(밥 보시) 가운데 내가 먹었던 것은 오직 하나였나니 한 날리까 분량의 쌀밥과 그 안에 부은 국(카레)이 전부였다.”
8. “보라, 비구여. 그 형성된 것들[行] 모두 지나갔고 소멸하였고 변해버렸다. 비구여, 이와 같이 형성된 것들은 무상하다. 비구여, 이와 같이 형성된 것은 견고하지 않다. 비구여, 이와 같이 형성된 것들은 안식(安息)을 주지 못한다. 비구여, 그러므로 형성된 것들은 모두 싫어하여 떠나야 마땅하며 그것에 대한 탐욕이 사라지도록 해야 마땅하며 해탈해야 마땅하다.”
Saṃyutta Nikāya 22
10. Pupphavagga
96. Gomayapiṇḍasutta
Sāvatthinidānaṃ. Ekamantaṃ nisinno kho so bhikkhu bhagavantaṃ etadavoca: “atthi nu kho, bhante, kiñci rūpaṃ yaṃ rūpaṃ niccaṃ dhuvaṃ sassataṃ avipariṇāmadhammaṃ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ati? Atthi nu kho, bhante, kāci vedanā yā vedanā niccā dhuvā sassatā avipariṇāmadhammā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ati? Atthi nu kho, bhante, kāci saññā yā saññā … pe … atthi nu kho, bhante, keci saṅkhārā ye saṅkhārā niccā dhuvā sassatā avipariṇāmadhammā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anti? Atthi nu kho, bhante, kiñci viññāṇaṃ, yaṃ viññāṇaṃ niccaṃ dhuvaṃ sassataṃ avipariṇāmadhammaṃ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atī”ti? “Natthi kho, bhikkhu, kiñci rūpaṃ, yaṃ rūpaṃ niccaṃ dhuvaṃ sassataṃ avipariṇāmadhammaṃ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ati. Natthi kho, bhikkhu, kāci vedanā … kāci saññā … keci saṅkhārā … kiñci viññāṇaṃ, yaṃ viññāṇaṃ niccaṃ dhuvaṃ sassataṃ avipariṇāmadhammaṃ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atī”ti.
Atha kho bhagavā parittaṃ gomayapiṇḍaṃ pāṇinā gahetvā taṃ bhikkhuṃ etadavoca: “ettakopi kho, bhikkhu, attabhāvapaṭilābho natthi nicco dhuvo sassato avipariṇāmadhammo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ati. Ettako cepi, bhikkhu, attabhāvapaṭilābho abhavissa nicco dhuvo sassato avipariṇāmadhammo, nayidaṃ brahmacariyavāso paññāyetha sammā dukkhakkhayāya. Yasmā ca kho, bhikkhu, ettakopi attabhāvapaṭilābho natthi nicco dhuvo sassato avipariṇāmadhammo, tasmā brahmacariyavāso paññāyati sammā dukkhakkhayāya.
Bhūtapubbāhaṃ, bhikkhu, rājā ahosiṃ khattiyo muddhāvasitto.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nagarasahassāni ahesuṃ kusāvatīrājadhāni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pāsādasahassāni ahesuṃ dhammapāsāda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kūṭāgārasahassāni ahesuṃ mahābyūhakūṭāgāra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pallaṅkasahassāni ahesuṃ dantamayāni sāramayāni sovaṇṇamayāni goṇakatthatāni paṭikatthatāni paṭalikatthatāni kadalimigapavarapaccattharaṇāni
sauttaracchadāni ubhatolohitakūpadhānāni.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nāgasahassāni ahesuṃ sovaṇṇālaṅkārāni sovaṇṇaddhajāni hemajālapaṭicchannāni uposathanāgarāja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assasahassāni ahesuṃ sovaṇṇālaṅkārāni sovaṇṇaddhajāni hemajālapaṭicchannāni valāhakaassarāja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rathasahassāni ahesuṃ sovaṇṇālaṅkārāni sovaṇṇaddhajāni hemajālapaṭicchannāni vejayantaratha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rañño sato khattiyassa muddhāvasittassa caturāsītimaṇisahassāni ahesuṃ maṇiratana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 pe … caturāsītiitthisahassāni ahesuṃ subhaddādevi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 pe … caturāsītikhattiyasahassāni ahesuṃ anuyantāni pariṇāyakaratanappamukhāni. Tassa mayhaṃ, bhikkhu … pe … caturāsītidhenusahassāni ahesuṃ dukūlasandānāni kaṃsūpadhāraṇāni. Tassa mayhaṃ, bhikkhu … pe … caturāsītivatthakoṭisahassāni ahesuṃ khomasukhumāni koseyyasukhumāni kambalasukhumāni kappāsikasukhumāni. Tassa mayhaṃ, bhikkhu … pe … caturāsītithālipākasahassāni ahesuṃ; sāyaṃ pātaṃ bhattābhihāro abhihariyittha.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nagarasahassānaṃ ekaññeva taṃ nagaraṃ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ajjhāvasāmi—kusāvatī rājadhānī.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pāsādasahassānaṃ ekoyeva so pāsādo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ajjhāvasāmi—dhammo pāsādo.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kūṭāgārasahassānaṃ ekaññeva taṃ kūṭāgāraṃ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ajjhāvasāmi—mahābyūhaṃ kūṭāgāraṃ.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pallaṅkasahassānaṃ ekoyeva so pallaṅko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paribhuñjāmi—dantamayo vā sāramayo vā sovaṇṇamayo vā rūpiyamayo vā.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nāgasahassānaṃ ekoyeva so nāgo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abhiruhāmi—uposatho nāgarājā.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assasahassānaṃ ekoyeva so asso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abhiruhāmi—valāhako assarājā.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rathasahassānaṃ ekoyeva so ratho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abhiruhāmi—vejayanto ratho.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itthisahassānaṃ ekāyeva sā itthī hoti yā maṃ tena samayena paccupaṭṭhāti—khattiyānī vā velāmikā vā.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vatthakoṭisahassānaṃ ekaññeva taṃ vatthayugaṃ hoti yamahaṃ tena samayena paridahāmi—khomasukhumaṃ vā koseyyasukhumaṃ vā kambalasukhumaṃ vā kappāsikasukhumaṃ vā. Tesaṃ kho pana, bhikkhu, caturāsītiyā thālipākasahassānaṃ ekoyeva so thālipāko hoti yato nāḷikodanaparamaṃ bhuñjāmi tadupiyañca sūpeyyaṃ. Iti kho, bhikkhu, sabbe te saṅkhārā atītā niruddhā vipariṇatā. Evaṃ aniccā kho, bhikkhu, saṅkhārā. Evaṃ addhuvā kho, bhikkhu, saṅkhārā. Evaṃ anassāsikā kho, bhikkhu, saṅkhārā. Yāvañcidaṃ, bhikkhu, alameva sabbasaṅkhāresu nibbindituṃ, alaṃ virajjituṃ, alaṃ vimuccitun”ti.
Saṃyutta Nikāya 22
Connected Discourses on the Aggregates
96. A Lump of Cowdung
At Savatthi. Then a certain bhikkhu … Sitting to one side, that bhikkhu said to the Blessed One:
“Venerable sir, is there any form that is permanent, stable, eternal, not subject to change, and that will remain the same just like eternity itself? Is there, venerable sir, any feeling … any perception … any volitional formations … any consciousness that is permanent, stable, eternal, not subject to change, and that will remain the same just like eternity itself?”
“Bhikkhu, there is no form that is permanent, stable, eternal, not subject to change, and that will remain the same just like eternity itself. There is no feeling … no perception … no volitional formations … no consciousness that is permanent, stable, eternal, not subject to change, and that will remain the same just like eternity itself.”
Then the Blessed One took up a little lump of cowdung in his hand and said to that bhikkhu: “Bhikkhu, there is not even this much individual existence that is permanent, stable, eternal, not subject to change, and that will remain the same just like eternity itself. If there was this much individual existence that was permanent, stable, eternal, not subject to change, this living of the holy life for the complete destruction of suffering could not be discerned. But because there is not even this much individual existence that is permanent, stable, eternal, not subject to change, this living of the holy life for the complete destruction of suffering is discerned.
“In the past, bhikkhu, I was a head-anointed khattiya king. I had 84,000 cities, the chief of which was the capital Kusavati. I had 84,000 palaces, the chief of which was the palace named Dhamma. I had 84,000 halls with peaked roofs, the chief of which was the hall named the Great Array. I had 84,000 couches made of ivory, of heartwood, of gold and silver, decked with long-haired coverlets, embroidered with flowers, with choice spreads made of antelope hides, with red awnings overhead and red cushions at both ends.
“I had 84,000 bull elephants with golden ornaments and golden banners, covered with nets of golden thread, the chief of which was the royal bull elephant named Uposatha. I had 84,000 steeds with golden ornaments and golden banners, covered with nets of golden thread, the chief of which was the royal steed named Valahaka. I had 84,000 chariots with golden ornaments and golden banners, covered with nets of golden thread, the chief of which was the chariot named Vejayanta.
“I had 84,000 jewels, the chief of which was the jewel-gem. I had 84,000 women, the chief of whom was Queen Subhadda. I had 84,000 vassals of the khattiya caste, the chief of whom was the commander-gem. I had 84,000 cows with tethers of fine jute and milk pails of bronze. I had 84,000 koṭis of garments made of fine linen, of fine silk, of fine wool, of fine cotton. I had 84,000 plates on which my meals were served both in the morning and in the evening.
“Of those 84,000 cities, bhikkhu, there was only one city in which I resided at that time: the capital Kusavati. Of those 84,000 palaces, there was only one palace in which I resided at that time: the palace named Dhamma. Of those 84,000 halls with peaked roof, there was only one hall with peaked roof in which I resided at that time: the hall named the Great Array. Of those 84,000 couches, there was only one couch that I used at that time, one made either of ivory or of heartwood or of gold or of silver.
“Of those 84,000 elephants, there was only one elephant that I rode at that time, the royal bull elephant named Uposatha. Of those 84,000 steeds, there was only one steed that I rode at that time, the royal steed named Valahaka. Of those 84,000 chariots, there was only one chariot that I rode in at that time, the chariot named Vejayanta.
“Of those 84,000 women, there was only one woman who waited on me at that time, either a khattiya maiden or a velamika maiden. Of those 84,000 koṭis of garments, there was only one pair of garments that I wore at that time, one made either of fine linen or of fine silk or of fine wool or of fine cotton. Of those 84,000 plates, there was only one plate from which I ate at most a measure of rice with a suitable curry.
“Thus, bhikkhu, all those formations have passed, ceased, changed. So impermanent are formations, bhikkhu, so unstable, so unreliable. It is enough, bhikkhu, to feel revulsion towards all formations, enough to become dispassionate towards them, enough to be liberated from them.”
잡아함경 제10권
264. 소토단경(小土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어떤 비구가 선정에 들어 사색[思惟]하다가 이렇게 생각하였다.
'혹 영원하고 변하여 바뀌지 않으며 정녕코 머물러 있는 그런 색(色)이 있을까? 이와 같이 영원하고 변하여 바뀌지 않으며 정녕코 머물러 있는 그런 수·상·행·식이 있을까?'
이 비구는 해질 무렵에 선정에서 일어나 부처님 계신 곳으로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앉아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선정에 들어 사유하다가 '혹 영원하고 변하거나 바뀌지 않으며 바르게 머무르는 색이 있을까? 이와 같이 영원하고 변하거나 바뀌지 않으며 바르게 머무르는 수·상·행·식이 있을까?' 하고 그렇게 생각하였습니다. 이제 세존께 여쭈옵니다. 혹 영원하고 변하여 바뀌지 않으며 정녕코 머물러 있는 그런 색이 있습니까? 이와 같이 영원하고 변하여 바뀌지 않으며 정녕코 머물러 있는 그런 수·상·행·식이 있습니까?"
그 때 세존께서 손으로 조그만 흙덩이를 집어 들고 그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내 손안의 흙덩이가 보이느냐?"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입니다. 세존이시여."
"비구야, 이와 같은 조그만 흙도 나는 얻지 못했다. 만일 내가 얻을 수 있다면 그것은 곧 영원하고 변하거나 바뀌지 않으며 바르게 머무르는 법일 것이다."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내 스스로 전생[宿命]을 기억해보면, 나는 오랜 세월 동안 복을 닦아 훌륭하고 미묘하며 사랑할 만한 모든 과보(果報)를 다 얻었었다. 일찍이 7년 동안 자애로운 마음[慈心]을 닦고 익혀 7겁의 성겁(成劫)과 괴겁(壞劫) 동안 이 세상에 돌아오지 않았었다. 7겁 중 괴겁일 때는 광음천(光音天)에 태어났고, 7겁 중 성겁일 때는 범천의 세계에 다시 태어나 하늘 궁전에서 대범왕(大梵王)이 되어, 이길 자도 없고 위도 없는 이로써 1천 세계를 다스렸었다.
그 뒤로 다시 36번이나 천제석(天帝釋)이 되었었고, 다시 백천 번은 전륜성왕이 되어 4천하를 거느리면서 바른 법으로 다스려 교화하고 7보(寶)를 두루 갖추었으니, 이른바 윤보(輪寶)·상보(象寶)·마보(馬寶)·마니보(摩尼寶)·옥녀보(玉女寶)·주장신보(主藏臣寶)·주병신보(主兵臣寶)였으며, 1천 명의 아들을 갖추고 있었는데 모두 용맹스럽고 건장하였다. 4해(海) 안의 땅은 편편하였고 어떤 독한 가시도 없었으며, 위협하지도 않고 핍박하지도 않고 법으로써 다루어 항복 받았느니라.
관정왕(灌頂王)의 법에 8만 4천 마리 큰 코끼리[龍象]가 있었다. 모두 온갖 보배로 장엄하고 꾸몄으며 보배 그물로 그 위를 덮고 보배 깃대를 세웠는데, 포살상왕(布薩象王)5)이 그 우두머리가 되어 아침과 저녁 두 차례 스스로 알아서 궁전 앞에 모였었다. 그 때 나는 생각하였다.
'이 많은 코끼리 떼가 날마다 두 차례를 왕래하면서 무수한 중생들을 밟아 죽이니, 4만 2천 코끼리들은 백 년에 한 번만 오게 했으면 좋겠다.'
그러자 곧 소원대로 8만 4천 코끼리 중 4만 2천 코끼리는 백 년에 한 번씩만 오게 되었느니라.
관정왕의 법에는 또 8만 4천 마리의 말이 있었다. 또한 순금으로 온갖 탈 기구를 만들었고 금 그물을 그 위에 덮었는데 바라마왕(婆羅馬王)이 그 우두머리였느니라.
관정왕의 법에는 8만 4천 대의 네 가지 보배 수레가 있었으니, 금(金)수레·은(銀)수레·유리(琉璃)수레·파리(?璃)수레였다. 사자·호랑이·표범의 가죽과 갖가지 색깔의 흠바라(欽婆羅)6)로 그 덮개를 만들었는데 발구비사야난제(跋求毘?耶難提) 소리가 나는 수레가 그 우두머리였느니라.
관정왕의 법에는 8만 4천 개의 성을 가졌었다. 그곳은 안온하고 풍성하고 즐거워 인민들이 들끓었는데 구사바제성(拘舍婆提城)이 그 우두머리였느니라.
관정왕의 법에는 8만 4천 개의 궁전이 있었다. 이른바 금·은·유리·파리로 만들어졌는데 마니유리로 된 유하(由訶)7)궁전이 제일이었었느니라.
비구야, 관정왕의 법에는 8만 4천 개의 네 가지 보배 평상이 있었다. 이른바 금·은·유리·파리로 만들어진 것이었고, 갖가지 비단 요에 모직물과 담요가 있었는데, 가릉가(迦陵伽)8) 침구를 그 위에 깔고 붉은 목침을 두었었느니라.
또 비구야, 관정왕의 법에는 8만 4천 벌의 네 가지 의복이 있었으니, 이른바 가시세(迦尸細)9)로 만든 옷·추마(芻摩)10)로 만든 옷·두구라(頭鳩羅)11)로 만든 옷·구첨바(拘沾婆)12)로 만든 옷이었느니라.
또 비구야, 관정왕의 법에는 8만 4천 명의 옥녀(玉女)가 있었다. 그들은 찰리 여자와 찰리에 가까운 여자들이었으니 하물며 다른 여자들이겠느냐?
또 비구야, 관정왕의 법에는 8만 4천 가지 음식이 있었으니 온갖 맛을 골고루 갖추었었느니라.
비구야, 8만 4천의 옥녀 가운데서 오직 한 여자에게만 시중을 들게 하였고, 8만 4천의 보배 옷 가운데 오직 한 벌만 입었으며, 8만 4천의 보배 평상 가운데 오직 한 평상에만 누웠고, 8만 4천의 궁전 가운데 오직 한 궁전에서만 살았다. 8만 4천의 성 가운데 오직 구사바제(拘舍婆提)라는 한 성에서만 살았고, 8만 4천의 보배 수레 가운데 오직 비사야나제구사(毘?耶難提瞿沙)라는 수레만 타고 성을 나가 유람하였으며, 8만 4천의 보배 말 가운데 오직 털과 꼬리가 검푸른 빛깔인 바라하(婆羅訶)라는 말 한 마리만 탔고, 8만 4천의 큰 코끼리 가운데 포살타(布薩陀)라는 한 코끼리만을 타고 성을 나가 유람하였느니라.
비구야, 이것은 어떤 업의 과보로 이와 같은 위덕(威德)의 자재(自在)함를 얻게 된 것인가? 이것은 세 가지 업의 과보(果報) 때문이었느니라. 무엇이 그 세 가지인가? 첫째는 보시(布施)요, 둘째는 조복(調伏)이며, 셋째는 수도(修道)이니라.
비구야, 마땅히 알아야 한다. 범부는 5욕에 물들어 만족할 줄 모르지만, 성인은 지혜가 원만히 이루어져 언제나 만족할 줄 아느니라. 비구야, 일체의 모든 행은 과거에 소멸해 다하였고 과거에 변해 바뀌었으며, 그 온갖 기구와 이름들도 다 닳아 없어졌느니라. 그러므로 비구야, 영원히 모든 행을 쉬고, 싫어하여 여의며, 탐욕을 끊어 해탈해야 하느니라.
비구야, 색은 영원한 것인가, 무상한 것인가?"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무상한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무상한 것이라면 그것은 괴로운 것인가?"
비구가 세존께 아뢰었다.
"괴로운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비구야, 만일 무상하고 괴로운 것이라면 그것은 변하고 바뀌는 법이다. 거룩한 제자들이 과연 그런 것에 대해 '이것은 나다. 나와 다른 것이다. 나와 나 아닌 것이 함께 있는 것이다'라고 헤아리겠느냐?"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이 수(受)·상(想)·행(行)·식(識)은 영원한 것인가, 무상한 것인가?"
비구가 부처님께 대답하였다.
"무상한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무상한 것이라면 그것은 괴로운 것인가?"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것은 괴로운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비구야, 만일 무상하고 괴로운 것이라면 그것은 변하고 바뀌는 법이다. 거룩한 제자들이 과연 그런 것에 대해 '이것은 나다. 나와 다르다. 나와 나 아닌 것이 함께 있는 것이다'라고 헤아리겠느냐?"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존재하는 모든 색(色)은 과거에 속한 것이건 미래에 속한 것이건 현재에 속한 것이건, 안에 있는 것이건 밖에 있는 것이건, 거칠건 미세하건, 아름답건 추하건, 멀리 있는 것이건 가까이 있는 것이건, 그 일체는 다 나가 아니요, 나와 다른 것도 아니며, 나와 나 아닌 것이 함께 있는 것도 아니다. 이와 같이 수·상·행·식도 과거에 속한 것이건 미래에 속한 것이건 현재에 속한 것이건, 안에 있는 것이건 밖에 있는 것이건, 거칠건 미세하건, 아름답건 추하건, 멀리 있는 것이건 가까이 있는 것이건, 그 일체는 나가 아니요, 나와 다른 것도 아니며, 나와 나 아닌 것이 함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비구야, 색에 대해서 마땅히 싫어해 여읠 마음을 내고 싫어해야 하며, 탐욕을 여의고 해탈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상·행·식에 대해서도 마땅히 싫어하는 마음을 내고, 탐욕을 여의어 해탈해야 하며, 해탈지견(解脫知見)을 얻어 '나의 생(生)은 이미 다하였고 범행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을 이미 다 마쳐 후세의 몸을 받지 않는다'라고 스스로 알아야 하느니라."
이 때 그 비구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뛸 듯이 기뻐하면서 예배하고 물러갔다. 그는 언제나 흙덩이로 비유하여 가르치신 것을 기억하며, 홀로 어느 고요한 곳에서 열심히 노력하여 사유하면서 방일(放逸)하지 않게 지냈다. 방일하지 않게 지낸 뒤에는 '선남자(善男子)가 수염과 머리를 깎고, 바른 믿음으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하여 도를 배우는 까닭은, 위없는 범행을 완전히 이루고 법을 보아 스스로 알고 몸소 증득하여 (나의 생은 이미 다하였고 범행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을 이미 다 마쳐 후세의 몸을 받지 않는다'라고 스스로 알기 위함이다'라고 사유하였다13)"
이 때 그 존자도 또 스스로 법을 알아 마음이 해탈하였고 아라한이 되었다.
*
5) 팔리어로는 Uposatha-nagaraja이고 코끼리왕 이름이다.
6) 팔리어로는 kambala이고 일종의 모직물이다.
7) 팔리어로는 by ha이고 장엄(莊嚴)이라는 뜻이며, 궁전이름이다.
8) 팔리어로는 kadalimiga이고 사슴의 일종이다.
9) 팔리어로는 koseyya이고 비단을 말한다.
10) 팔리어로는 khoma이고 아마(亞麻)를 말한다.
11) 팔리어로는 kappasika이고 솜을 말한다.
12) 팔리어로는 kambala이고 모직물을 말한다.
13) 고려대장경 원문에는 '사유하였다'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다. 그러나 동일한 문장이 많은 경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문장들에 의거할 때 '사유하였다'가 생략된 것으로 파악되므로 '사유(思惟)'라는 단어를 넣어 번역하였다.
雜阿含經
SA 264 (二六四) 小土塼
如是我聞:
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有異比丘於禪中思惟,作是念:「頗有色常、恒、不變易、正住耶?如是受、想、行、識,常、恒、不變易、正住耶?」
是比丘晡時從禪起,往詣佛所,頭面禮足,却住一面,白佛言:「世尊!我於禪中思惟,作是念:『頗有色常、恒、不變易、正住耶?如是受、想、行、識,常、恒、不變易、正住耶?』今日世尊,頗有色常、恒、不變易、正住耶?頗有受、想、行、識,常、恒、不變易、正住耶?」
爾時,世尊手執小土摶,告彼比丘言:「汝見我手中土摶不?」
比丘白佛:「已見。世尊!」
「比丘!如是少土,我不可得。若我可得者,則是常、恒、不變易、正住法。」
佛告比丘:「我自憶宿命,長夜修福,得諸勝妙可愛果報之事。曾於七年中,修習慈心,經七劫成壞,不還此世。七劫壞時生光音天,七劫成時還生梵世,空宮殿中作大梵王,無勝、無上,領千世界。從是已後,復三十六反,作天帝釋。復百千反,作轉輪聖王,領四天下,正法治化,七寶具足,所謂輪寶、象寶、馬寶、摩尼寶、玉女寶、主藏臣寶、主兵臣寶;千子具足,皆悉勇健;於四海內,其地平正,無諸毒刺,不威、不迫,以法調伏。
「灌頂王法有八萬四千龍象,皆以眾寶莊嚴而挍餝之,寶網覆上,建立寶幢,布薩象王最為導首,朝、晡二時自會殿前。我時念言:『是大群象,日日再反往來,蹈殺眾生無數,願令四萬二千象百年一來。』即如所願,八萬四千象中,四萬二千象百年一至。
「灌頂王法復有八萬四千匹馬,亦以純金為諸乘具,金網覆上,婆羅馬王為其導首。
「灌頂王法有八萬四千四種寶車,所謂金車、銀車、琉璃車、頗梨車,師子、虎、豹皮、雜色欽婆羅以為覆襯,跋求毗闍耶難提音聲之車為其導首。
「灌頂王法領八萬四千城,安隱豐樂,人民熾盛,拘舍婆提城而為上首。
「灌頂王法有八萬四千四種宮殿,所謂金、銀、琉璃、頗梨、摩尼琉璃,由訶而為上首。
「比丘!灌頂王法有八萬四千四種寶床,所謂金、銀、琉璃、頗梨,種種繒褥、氍氀、毾[登*毛]、迦陵伽臥具以敷其上,安置丹枕。
「復次,比丘!灌頂王法復有八萬四千四種衣服,所謂迦尸細衣、芻摩衣、頭鳩羅衣、拘沾婆衣。
「復次,比丘!灌頂王法有八萬四千玉女,所謂剎利女、似剎利女,況復餘女。
「復次,比丘!灌頂王法有八萬四千飲食,眾味具足。比丘!八萬四千玉女中,唯以一人以為給侍;八萬四千寶衣,唯著一衣;八萬四千寶床,唯臥一床;八萬四千宮殿,唯處一殿;八萬四千城,唯居一城,名拘舍婆提;八萬四千寶車,唯乘一車,名毘闍耶難提瞿沙,出城遊觀;八萬四千寶馬,唯乘一馬,名婆羅訶,毛尾紺色;八萬四千龍象,唯乘一象,名布薩陀,出城遊觀。
「比丘!此是何等業報,得如是威德自在耶?此是三種業報,云何為三?一者布施,二者調伏,三者修道。比丘當知,凡夫染習五欲,無有厭足,聖人智慧成滿,而常知足。比丘!一切諸行,過去盡滅、過去變易,彼自然眾具及以名稱,皆悉磨滅。是故,比丘!永息諸行,厭離、斷欲、解脫。比丘!色為常?無常?」
比丘白佛言:「無常。世尊!」
「若無常者,是苦耶?」
比丘白佛言:「是苦。世尊!」
「比丘!若無常、苦,是變易法,聖弟子寧復於中計我、異我、相在不?」
比丘白佛:「不也,世尊!」
「如是受、想、行、識,為常、為無常。」
比丘白佛言:「無常。世尊!」
「若無常者,是苦耶?」
比丘白佛言:「是苦。世尊!」
「比丘!若無常、苦,是變易法,聖弟子寧復於中計我、異我、相在不?」
比丘白佛:「不也,世尊!」
佛告比丘:「諸所有色,若過去、若未來、若現在,若內、若外,若麤、若細,若好、若醜,若遠、若近,彼一切非我、不異我、不相在。如是受、想、行、識,若過去、若未來、若現在,若內、若外,若麁、若細,若好、若醜,若遠、若近,彼一切非我、不異我、不相在。比丘!於色當生厭離、厭、離欲、解脫。如是於受、想、行、識,當生厭、離欲、解脫,解脫知見:『我生已盡,梵行已立,所作已作,自知不受後有。』」
時,彼比丘聞佛所說,踊躍歡喜,作禮而去。常念土摶譬教授,獨一靜處,精勤思惟,不放逸住;不放逸住已:「所以善男子剃除鬚髮,正信非家,出家學道,為究竟無上梵行,見法自知身作證:『我生已盡,梵行已立,所作已作,自知不受後有。』」
時,彼尊者亦自知法,心得解脫,成阿羅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