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E FRANCIS ANGELUS, SOLEMNITY OF MARY, THE HOLY MOTHER OF GOD
WORLD DAY OF PEACE, Saint Peter's Square. Sunday, 1st January 2023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day and Happy New Year!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is entrusted to Mary Most Holy whom we celebrate today as Mother of God. At this time, let us invoke her intercession especially for Pope emeritus Benedict XVI who left this world yesterday morning. Let us all join together, with one heart and one soul, in thanking God for the gift of this faithful servant of the Gospel and of the Church. We saw recently on TV, the “Sua Immagine” program, all that he did and the life of Pope Benedict.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세계 평화의 날, 성 베드로 광장, 2023년 1월 1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새해의 첫 날은 오늘 우리가 하느님의 어머니로 경축하는 지극히 거룩하신 성모님께 봉헌됩니다. 이 시간에 특별히 어제 이 세상을 떠나신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위해 성모님의 전구를 청합시다. 복음과 교회의 이 충실한 종을 선물로 주신 하느님께 한 마음과 한 영혼으로 다 함께 감사드립시다. 우리는 최근 TV의 "수아 이마지네" 프로그램을 통하여 교황 베네딕토께서 하신 일과 그분의 삶에 대해서 보았습니다.
As we contemplate Mary in the stable where Jesus was born, we can ask ourselves: What languages does the Holy Virgin use to speak to us? How does Mary speak? What can we learn from her for this year that is dawning? We can say, “Our Lady, teach us what we need to do this year”.
예수님이 탄생하신 마구간에 계신 성모님을 묵상하면서 우리는 이렇게 자문해 볼 수 있습니다. 거룩하신 동정 마리아는 우리에게 말씀하기 위해 어떤 언어를 사용하시나요? 마리아는 어떻게 말씀하십니까? 동이 트고 있는 올해를 위해 우리는 그분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우리는 “성모님, 저희가 금년에 할 일을 가르쳐주십시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In reality, if we observe the scene that today’s Liturgy presents to us, we note that Mary does not speak. She welcomes the mystery she is experiencing with awe, she cherishes everything in her heart and, above all, she is concerned about the Child whom, as the Gospel says, was “laid in a manger” (cf. Lk 2:16). This verb “to lay” means to carefully place, and this tells us that the language proper to Mary is maternal: she tenderly takes care of the Child. This is Mary’s greatness. As the angels celebrate, the shepherds come running and everyone praises God with a loud voice for what has happened, Mary does not speak, she does not entertain her guests explaining everything that had happened to her, she does not steal the show – to us who like to steal the show! – she does not steal the show. On the contrary, she puts the Child in the centre, she lovingly takes care of him. A poet once wrote that Mary “even knew how to be solemnly mute, […] because she did not want to lose sight of her God” (A. Merini, Corpo d’amore. Un incontro con Gesù, Milano 2001, 114).
사실, 오늘의 전례가 우리에게 제시하는 장면을 관찰하면 마리아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리아는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신비를 경외심을 갖고 맞이하고 모든 것을 마음에 소중히 여기며 무엇보다도 복음서에서 말하는 것처럼 “구유에 누운”(루카 2,16 참조) 아기를 염려합니다. 이 동사 "놓다"는 조심스럽게 눕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마리아에게 적절한 언어는 모성의 언어라고 말해줍니다. 그는 아기를 따뜻하게 돌봅니다. 이것이 마리아의 위대함입니다. 천사들이 축하하고, 목자들이 달려오고, 모든 사람들이 방금 일어난 일에 대해 큰 소리로 찬양합니다. 마리아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에게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해 설명하면서 손님을 접대하지도 않습니다. 그는 관심을 독차지 하지 않습니다. – 쇼를 독차지하기 좋아하는 우리에게 - 그녀는 인기를 독차지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는 아기를 중심에 두고 아기를 사랑스럽게 돌봅니다. 어느 시인이 마리아는 “[....] 그의 하느님이 자신의 시야에서 벗어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어떻게 엄숙하게 벙어리가 되는 것까지 알았다.” (A. Merini, Corpo d'amore. Un incontro con Gesù, Milano 2001, 114).라고 썼습니다.
This is typically maternal language: the tenderness of taking care of. In fact, after having borne the gift of a mysterious prodigy in their wombs for nine months, mothers constantly put their babies at the centre of their attention: they feed them, they hold them in their arms, they tenderly lay them down in the crib. To take care of – this is the language of the Mother of God, a language of mothers: to take care of.
이것이 전형적인 모성의 언어입니다: 돌봄의 애정입니다. 사실, 9개월 동안 자궁에 품었던 신비한 영재의 선물을 낳은 후에 어머니들은 끊임없이 그들의 아기를 관심의 중심에 둡니다. 그들은 아기를 먹이고, 그들은 아기를 품에 안고, 그들은 아기를 잠자리에 조심스럽게 눕힙니다. 돌보는 것 - 이것은 하느님의 어머니의 언어이고, 돌보는 것은 어머니들의 언어입니다.
Brothers and sisters, like all mothers, Mary bore life in her womb and thus, she talks to us about our future. But at the same time, she reminds us that, if we truly want the New Year to be good, if we want to reconstruct hope, we need to abandon the language, those actions and those choices inspired by egoism and learn the language of love, which is to take care of. To take care of is a new language that counters these languages of egoism. This is the commitment: to take care of our lives – each one of us needs to take care of our own life – to take care of our time, of our souls; to take care of creation and the environment we live in; and even more, to take care of our neighbour, of those whom the Lord has placed alongside us, as well as our brothers and sisters who are in need and who call for our attention and our compassion. Looking at Our Lady with the Child, there taking care of her Child, let us learn to take care of others, even of ourselves, caring for our interior health, our spiritual life, charity.
형제자매 여러분, 모든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마리아는 태중에 생명을 잉태하였고, 그래서 우리에게 우리의 미래에 대해 얘기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녀는 우리가 진정으로 새해가 좋기를 바란다면, 희망을 재구성하고 싶다면, 이기주의에서 영감을 받은 언어, 행동들, 선택들을 버리고 사랑의 언어 즉 돌보는 것을 배워야 한다고 일깨워 줍니다. 돌보는 것은 이러한 이기주의의 언어에 대항하는 새로운 언어입니다. 이것은 책무입니다. 우리의 삶을 돌봐야 합니다. - 우리 각자는 우리자신의 삶을 돌보아야 합니다. - 우리의 시간과 우리의 영혼을 돌보고, 피조물과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을 돌보고, 나아가 우리의 이웃을, 주님께서 우리 곁에 두신 사람들, 도움이 필요하고 우리의 관심과 연민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형제자매를 돌보아야 합니다. 아기예수와 함께 계신, 그곳에서 아기예수를 돌보고 계신 성모님을 바라보며,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법을 배웁시다. 심지어 우리의 내적 건강, 우리의 영적 삶, 그리고 사랑을 돌보며, 우리자신을 돌보는 법을 배웁시다.
Celebrating today the World Day of Peace, let us regain awareness of the responsibility that has been entrusted to us to construct the future – in the face of the personal and social crises we are living, in the face of the tragedy of the war, “we are called to confront the challenges of our world in a spirit of responsibility and compassion” (Message for the 56th World Day of Peace, 5). And we can do this if we take care of each other and if, all of us together, take care of our common home.
오늘 세계 평화의 날을 기념하며, 미래건설을 하도록 우리에게 맡겨진 책임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합시다. - 우리가 살고 있는 개인적, 사회적 위기에 직면하여, 전쟁의 비극에 직면하여, “우리는 책임감과 연민의 정신으로 세상의 도전에 맞서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제56차 세계 평화의 날 담화, 5항). 우리가 서로를 돌보고, 우리 모두 함께 우리의 공동의 집을 돌본다면, 우리는 이것을 할 수 있습니다.
Let us implore Mary Most Holy, the Mother of God, so that in this epoch, polluted by diffidence and indifference, she might make us capable of being compassionate and providing care – capable of being compassionate and providing care – capable of “looking more closely and sympathetically at others whenever necessary” (Apos. 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169).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지극히 거룩하신 마리아께 간청합시다. 소심과 무관심으로 오염된 이 시대에 우리가 동정심을 갖고 돌봄을 베풀 수 있게 해주시도록, - “필요할 때마다 다른 사람들을 더 가까이 그리고 동정심을 가지고 볼 수 있도록 (Apos. 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169). 해주시도록 청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