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업기를 장착, 견인 또는 구동하여 작업하는 농업용 트랙터로써 운전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는 기종에 적용한다.
취급설명서를 숙독하여 트랙터의 기능, 사용상의 주의사항, 안전장치의 사용 및 위험회피 방법 등에 대해 잘 알아둔다. 동시에 트랙터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 표식을 확인해 둔다. 취급설명서는 일정한 보관 장소에 보관하여 필요시 언제라도 꺼내 읽을 수 있도록 한다.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작업기의 동력 차단 방법, 엔진의 정지 방법을 가족이나 작업자 모두가 알아 두도록 한다
몸 상태가 나쁠 때는 가급적 농업기계를 운전하지 않으며, 피로를 느낄 때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악천후일 때는 사고의 위험이 높으므로 무리하여 작업하지 않는다.
트랙터의 정비 불량은 중대한 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운전하기 전에는 반드시 점검 정비를 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정비할 때까지 사용하지 않는다.
※ 표 40 트랙터의 속도별 정지시간 및 제동거리
속 도(km/h) | 2m 도달시간(초) | 정지시간(초) | 제동거리(m) |
---|---|---|---|
8 | 0.90 | 1.6 | 3.7 |
16 | 0.45 | 3.2 | 9.1 |
24 | 0.30 | 4.8 | 14.6 |
32 | 0.23 | 6.4 | 19.5 |
40 | 0.18 | 8.0 | 25.6 |
48 | 0.15 | 9.6 | 33.8 |
연료를 보급할 때는 화재의 우려가 있으므로 엔진을 정지시킨 다음 엔진이 식은 후 보급한다. 급유 중에는 화기를 가까이하지 말고 트랙터에서 떠나지 않는다. 연료캡은 확실하게 잠그고 흘러나온 연료는 깨끗이 닦는다.
트럭 등으로 트랙터를 하차, 운반할 때에는 전도, 추락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운반시에는 운반용 차량의 급출발, 급정지, 급선회 등을 피한다.
비닐하우스 등 실내에서는 엔진 배출가스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의 우려가 있으므로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업을 한다.
운전자가 후방으로 하는 작업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하면서 작업하고, 목이나 허리에 무리가 되기 쉬우므로 자주 휴식을 취한다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작업할 경우에는 가급적 옵셑측을 산 쪽으로 하여 작업한다.
운전일지, 점검·정비일지 등을 기록하고 기록에 근거하여 적정하게 관리한다.
트랙터를 대여할 때는 적절하게 정비하고 트랙터의 사용방법, 안전 상의 주의를 충분히 설명하고 취급설명서를 잘 읽은 후 작업할 것을 지시한다
모든 트랙터 운전자는 최초 조작시 그리고 그 이후 매년 안전 조작 과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 9가지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체크리스트는 트랙터 운전자가 스스로 트랙터를 점검 정비할 수 있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표 41). 합당한 자격을 갖춘 트랙터 운전자가 되는 것은 트랙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부상이나 사망의 원인이 되거나 트랙터나 장비 혹은 수확물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들은 인적, 물적으로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트랙터 사고는 보다 안전한 트랙터 및 운전자를 투입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트랙터뿐만 아니라 다른 농업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소그룹이나 개별 지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트랙터 운전자를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중요한 안전 실습이나 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관리인을 두는 것도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는 농업기계 관련 교육기관 또는 트랙터 운전자 각자가 사용할 수 있다.
조작자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면 “예”란에 ○표, 그럴 수 없다 면 “아니오”란에 ○표, 해당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없음”란에 Ⅹ표를 하시오.
트랙터 제조회사 :
모 델 :
행동/상황 | 예 | 아니오 | 해당 없음 |
---|---|---|---|
1. 개인의 안전에 대하여 주의한다 | |||
2.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다룬다 | |||
3. 몸에 맞는 의류와 적절한 신발을 착용한다 | |||
4. 적당히 먹고 마시며, 음주했거나 약물을 복용한 경우 트랙터를 운전하지 않는다 | |||
5. 기본적인 수신호를 사용한다 | |||
6. 보다 더 안전한 조작을 위해서 트랙터와 장비를 준비한다 | |||
7. 가급적 외부와 차단된 건물 안에서는 트랙터를 조작하지 않는다 | |||
8. 소화기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9. 구급상자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10. 트랙터에 부착된 인쇄물을 읽고 이해한다 | |||
11. PTO와 그 외 부품의 보호장치가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한다 | |||
12. 발판과 신발의 먼지나, 기름, 진흙 등을 제거한다 | |||
13. 조명이 바로 들어오는지 체크한다 | |||
14. 공구 및 예비 부품들을 점검한다 | |||
15. 창문은 깨끗이 닦는다 | |||
16. 모든 조절장치를 읽고 이해하고 있다 | |||
17. 타이어의 상태와 압력을 체크한다 | |||
18. 오일 레벨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19. 냉각수 양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20. 뜨거운 경우 라디에이터 캡을 제거하지 않는다 | |||
21. 배터리 액를 점검하고 필요시 보충한다 | |||
22. 배터리 근처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
23. 베터리 연결부위를 점검, 청소, 칠하고 조여준다 | |||
24. 그리스 주입구를 청소한 후 주유한다 | |||
25. 엔진이 차가울 때만 연료를 보충하고 근처에서 금연한다 | |||
26. 무게를 더하거나 줄인다 | |||
27. 장비가 제대로 고쳐지고 맞춰져 있는지 점검한다 | |||
28. 트랙터의 출발, 작동, 정지시에 주변에 사람, 애완동물 등 방해물이 없는지 확인한다 | |||
29. 좌석 및 핸들을 조정한다 | |||
30. 트랙터를 시동한다 | |||
31. 각종 게이지를 점검한다 | |||
32. 이상한 소음이 들리는지 살펴보고 소음 발생 시 엔진을 정지한다 | |||
33. 브레이크를 점검한다 | |||
34. 드로우바를 올리고 내려본다 | |||
35. PTO축과 Spline을 청소하고 기름칠한다 | |||
36. 유압 라인을 청소하고 연결했다 떼었다 해 본다 | |||
37. 전기 연결부위를 연결했다 떼었다 해본다 | |||
38. 올바른 조작을 위해 유압 컨트롤을 점검한다 | |||
39. PTO를 천천히 작동시켜 올바른 작동 여부를 점검한다 | |||
40. 적당한 전진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1. 적당한 PTO 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2. 장비를 자세히 관찰하고 소리도 들어 본다 | |||
43. 이상 징후가 보이면 엔진을 정지시킨다 | |||
44. 트랙터 작동 중에는 장해물을 없애거나 고치지 않는다 | |||
45. 도로주행 시에는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 |||
46. 각종 등화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살펴본다. | |||
47. 변속기어를 올바르게 조작한다 | |||
48. 논밭에 있는 장해물을 잘 살핀다 | |||
49. 후진시 천천히 움직이고 뒤를 잘 살핀다 | |||
50.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경우 뒤로 나오거나 트랙터를 잡아 끌어낸다 | |||
51. 경사지를 내려가는 경우 변속기어를 저단에 두고 운전한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 특정한 체크리스트를 더해도 된다. |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작업기의 동력 차단 방법, 엔진의 정지 방법을 가족이나 작업자 모두가 알아 두도록 한다
몸 상태가 나쁠 때는 가급적 농업기계를 운전하지 않으며, 피로를 느낄 때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악천후일 때는 사고의 위험이 높으므로 무리하여 작업하지 않는다.
트랙터의 정비 불량은 중대한 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운전하기 전에는 반드시 점검 정비를 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정비할 때까지 사용하지 않는다.
※ 표 40 트랙터의 속도별 정지시간 및 제동거리
속 도(km/h) | 2m 도달시간(초) | 정지시간(초) | 제동거리(m) |
---|---|---|---|
8 | 0.90 | 1.6 | 3.7 |
16 | 0.45 | 3.2 | 9.1 |
24 | 0.30 | 4.8 | 14.6 |
32 | 0.23 | 6.4 | 19.5 |
40 | 0.18 | 8.0 | 25.6 |
48 | 0.15 | 9.6 | 33.8 |
연료를 보급할 때는 화재의 우려가 있으므로 엔진을 정지시킨 다음 엔진이 식은 후 보급한다. 급유 중에는 화기를 가까이하지 말고 트랙터에서 떠나지 않는다. 연료캡은 확실하게 잠그고 흘러나온 연료는 깨끗이 닦는다.
트럭 등으로 트랙터를 하차, 운반할 때에는 전도, 추락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운반시에는 운반용 차량의 급출발, 급정지, 급선회 등을 피한다.
비닐하우스 등 실내에서는 엔진 배출가스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의 우려가 있으므로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업을 한다.
운전자가 후방으로 하는 작업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하면서 작업하고, 목이나 허리에 무리가 되기 쉬우므로 자주 휴식을 취한다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작업할 경우에는 가급적 옵셑측을 산 쪽으로 하여 작업한다.
운전일지, 점검·정비일지 등을 기록하고 기록에 근거하여 적정하게 관리한다.
트랙터를 대여할 때는 적절하게 정비하고 트랙터의 사용방법, 안전 상의 주의를 충분히 설명하고 취급설명서를 잘 읽은 후 작업할 것을 지시한다
모든 트랙터 운전자는 최초 조작시 그리고 그 이후 매년 안전 조작 과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 9가지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체크리스트는 트랙터 운전자가 스스로 트랙터를 점검 정비할 수 있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표 41). 합당한 자격을 갖춘 트랙터 운전자가 되는 것은 트랙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부상이나 사망의 원인이 되거나 트랙터나 장비 혹은 수확물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들은 인적, 물적으로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트랙터 사고는 보다 안전한 트랙터 및 운전자를 투입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트랙터뿐만 아니라 다른 농업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소그룹이나 개별 지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트랙터 운전자를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중요한 안전 실습이나 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관리인을 두는 것도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는 농업기계 관련 교육기관 또는 트랙터 운전자 각자가 사용할 수 있다.
조작자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면 “예”란에 ○표, 그럴 수 없다 면 “아니오”란에 ○표, 해당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없음”란에 Ⅹ표를 하시오.
트랙터 제조회사 :
모 델 :
행동/상황 | 예 | 아니오 | 해당 없음 |
---|---|---|---|
1. 개인의 안전에 대하여 주의한다 | |||
2.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다룬다 | |||
3. 몸에 맞는 의류와 적절한 신발을 착용한다 | |||
4. 적당히 먹고 마시며, 음주했거나 약물을 복용한 경우 트랙터를 운전하지 않는다 | |||
5. 기본적인 수신호를 사용한다 | |||
6. 보다 더 안전한 조작을 위해서 트랙터와 장비를 준비한다 | |||
7. 가급적 외부와 차단된 건물 안에서는 트랙터를 조작하지 않는다 | |||
8. 소화기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9. 구급상자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10. 트랙터에 부착된 인쇄물을 읽고 이해한다 | |||
11. PTO와 그 외 부품의 보호장치가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한다 | |||
12. 발판과 신발의 먼지나, 기름, 진흙 등을 제거한다 | |||
13. 조명이 바로 들어오는지 체크한다 | |||
14. 공구 및 예비 부품들을 점검한다 | |||
15. 창문은 깨끗이 닦는다 | |||
16. 모든 조절장치를 읽고 이해하고 있다 | |||
17. 타이어의 상태와 압력을 체크한다 | |||
18. 오일 레벨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19. 냉각수 양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20. 뜨거운 경우 라디에이터 캡을 제거하지 않는다 | |||
21. 배터리 액를 점검하고 필요시 보충한다 | |||
22. 배터리 근처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
23. 베터리 연결부위를 점검, 청소, 칠하고 조여준다 | |||
24. 그리스 주입구를 청소한 후 주유한다 | |||
25. 엔진이 차가울 때만 연료를 보충하고 근처에서 금연한다 | |||
26. 무게를 더하거나 줄인다 | |||
27. 장비가 제대로 고쳐지고 맞춰져 있는지 점검한다 | |||
28. 트랙터의 출발, 작동, 정지시에 주변에 사람, 애완동물 등 방해물이 없는지 확인한다 | |||
29. 좌석 및 핸들을 조정한다 | |||
30. 트랙터를 시동한다 | |||
31. 각종 게이지를 점검한다 | |||
32. 이상한 소음이 들리는지 살펴보고 소음 발생 시 엔진을 정지한다 | |||
33. 브레이크를 점검한다 | |||
34. 드로우바를 올리고 내려본다 | |||
35. PTO축과 Spline을 청소하고 기름칠한다 | |||
36. 유압 라인을 청소하고 연결했다 떼었다 해 본다 | |||
37. 전기 연결부위를 연결했다 떼었다 해본다 | |||
38. 올바른 조작을 위해 유압 컨트롤을 점검한다 | |||
39. PTO를 천천히 작동시켜 올바른 작동 여부를 점검한다 | |||
40. 적당한 전진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1. 적당한 PTO 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2. 장비를 자세히 관찰하고 소리도 들어 본다 | |||
43. 이상 징후가 보이면 엔진을 정지시킨다 | |||
44. 트랙터 작동 중에는 장해물을 없애거나 고치지 않는다 | |||
45. 도로주행 시에는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 |||
46. 각종 등화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살펴본다. | |||
47. 변속기어를 올바르게 조작한다 | |||
48. 논밭에 있는 장해물을 잘 살핀다 | |||
49. 후진시 천천히 움직이고 뒤를 잘 살핀다 | |||
50.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경우 뒤로 나오거나 트랙터를 잡아 끌어낸다 | |||
51. 경사지를 내려가는 경우 변속기어를 저단에 두고 운전한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 특정한 체크리스트를 더해도 된다. |
비닐하우스 등 실내에서는 엔진 배출가스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의 우려가 있으므로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업을 한다.
운전자가 후방으로 하는 작업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하면서 작업하고, 목이나 허리에 무리가 되기 쉬우므로 자주 휴식을 취한다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작업할 경우에는 가급적 옵셑측을 산 쪽으로 하여 작업한다.
운전일지, 점검·정비일지 등을 기록하고 기록에 근거하여 적정하게 관리한다.
트랙터를 대여할 때는 적절하게 정비하고 트랙터의 사용방법, 안전 상의 주의를 충분히 설명하고 취급설명서를 잘 읽은 후 작업할 것을 지시한다
모든 트랙터 운전자는 최초 조작시 그리고 그 이후 매년 안전 조작 과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 9가지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체크리스트는 트랙터 운전자가 스스로 트랙터를 점검 정비할 수 있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표 41). 합당한 자격을 갖춘 트랙터 운전자가 되는 것은 트랙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부상이나 사망의 원인이 되거나 트랙터나 장비 혹은 수확물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들은 인적, 물적으로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트랙터 사고는 보다 안전한 트랙터 및 운전자를 투입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트랙터뿐만 아니라 다른 농업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소그룹이나 개별 지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트랙터 운전자를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중요한 안전 실습이나 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관리인을 두는 것도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는 농업기계 관련 교육기관 또는 트랙터 운전자 각자가 사용할 수 있다.
조작자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면 “예”란에 ○표, 그럴 수 없다 면 “아니오”란에 ○표, 해당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없음”란에 Ⅹ표를 하시오.
트랙터 제조회사 :
모 델 :
행동/상황 | 예 | 아니오 | 해당 없음 |
---|---|---|---|
1. 개인의 안전에 대하여 주의한다 | |||
2.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다룬다 | |||
3. 몸에 맞는 의류와 적절한 신발을 착용한다 | |||
4. 적당히 먹고 마시며, 음주했거나 약물을 복용한 경우 트랙터를 운전하지 않는다 | |||
5. 기본적인 수신호를 사용한다 | |||
6. 보다 더 안전한 조작을 위해서 트랙터와 장비를 준비한다 | |||
7. 가급적 외부와 차단된 건물 안에서는 트랙터를 조작하지 않는다 | |||
8. 소화기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9. 구급상자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10. 트랙터에 부착된 인쇄물을 읽고 이해한다 | |||
11. PTO와 그 외 부품의 보호장치가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한다 | |||
12. 발판과 신발의 먼지나, 기름, 진흙 등을 제거한다 | |||
13. 조명이 바로 들어오는지 체크한다 | |||
14. 공구 및 예비 부품들을 점검한다 | |||
15. 창문은 깨끗이 닦는다 | |||
16. 모든 조절장치를 읽고 이해하고 있다 | |||
17. 타이어의 상태와 압력을 체크한다 | |||
18. 오일 레벨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19. 냉각수 양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20. 뜨거운 경우 라디에이터 캡을 제거하지 않는다 | |||
21. 배터리 액를 점검하고 필요시 보충한다 | |||
22. 배터리 근처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
23. 베터리 연결부위를 점검, 청소, 칠하고 조여준다 | |||
24. 그리스 주입구를 청소한 후 주유한다 | |||
25. 엔진이 차가울 때만 연료를 보충하고 근처에서 금연한다 | |||
26. 무게를 더하거나 줄인다 | |||
27. 장비가 제대로 고쳐지고 맞춰져 있는지 점검한다 | |||
28. 트랙터의 출발, 작동, 정지시에 주변에 사람, 애완동물 등 방해물이 없는지 확인한다 | |||
29. 좌석 및 핸들을 조정한다 | |||
30. 트랙터를 시동한다 | |||
31. 각종 게이지를 점검한다 | |||
32. 이상한 소음이 들리는지 살펴보고 소음 발생 시 엔진을 정지한다 | |||
33. 브레이크를 점검한다 | |||
34. 드로우바를 올리고 내려본다 | |||
35. PTO축과 Spline을 청소하고 기름칠한다 | |||
36. 유압 라인을 청소하고 연결했다 떼었다 해 본다 | |||
37. 전기 연결부위를 연결했다 떼었다 해본다 | |||
38. 올바른 조작을 위해 유압 컨트롤을 점검한다 | |||
39. PTO를 천천히 작동시켜 올바른 작동 여부를 점검한다 | |||
40. 적당한 전진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1. 적당한 PTO 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2. 장비를 자세히 관찰하고 소리도 들어 본다 | |||
43. 이상 징후가 보이면 엔진을 정지시킨다 | |||
44. 트랙터 작동 중에는 장해물을 없애거나 고치지 않는다 | |||
45. 도로주행 시에는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 |||
46. 각종 등화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살펴본다. | |||
47. 변속기어를 올바르게 조작한다 | |||
48. 논밭에 있는 장해물을 잘 살핀다 | |||
49. 후진시 천천히 움직이고 뒤를 잘 살핀다 | |||
50.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경우 뒤로 나오거나 트랙터를 잡아 끌어낸다 | |||
51. 경사지를 내려가는 경우 변속기어를 저단에 두고 운전한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 특정한 체크리스트를 더해도 된다. |
비닐하우스 등 실내에서는 엔진 배출가스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의 우려가 있으므로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업을 한다.
운전자가 후방으로 하는 작업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하면서 작업하고, 목이나 허리에 무리가 되기 쉬우므로 자주 휴식을 취한다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작업할 경우에는 가급적 옵셑측을 산 쪽으로 하여 작업한다.
운전일지, 점검·정비일지 등을 기록하고 기록에 근거하여 적정하게 관리한다.
트랙터를 대여할 때는 적절하게 정비하고 트랙터의 사용방법, 안전 상의 주의를 충분히 설명하고 취급설명서를 잘 읽은 후 작업할 것을 지시한다
모든 트랙터 운전자는 최초 조작시 그리고 그 이후 매년 안전 조작 과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 9가지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체크리스트는 트랙터 운전자가 스스로 트랙터를 점검 정비할 수 있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표 41). 합당한 자격을 갖춘 트랙터 운전자가 되는 것은 트랙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부상이나 사망의 원인이 되거나 트랙터나 장비 혹은 수확물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들은 인적, 물적으로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트랙터 사고는 보다 안전한 트랙터 및 운전자를 투입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트랙터뿐만 아니라 다른 농업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소그룹이나 개별 지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트랙터 운전자를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중요한 안전 실습이나 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관리인을 두는 것도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는 농업기계 관련 교육기관 또는 트랙터 운전자 각자가 사용할 수 있다.
조작자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면 “예”란에 ○표, 그럴 수 없다 면 “아니오”란에 ○표, 해당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없음”란에 Ⅹ표를 하시오.
트랙터 제조회사 :
모 델 :
행동/상황 | 예 | 아니오 | 해당 없음 |
---|---|---|---|
1. 개인의 안전에 대하여 주의한다 | |||
2.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다룬다 | |||
3. 몸에 맞는 의류와 적절한 신발을 착용한다 | |||
4. 적당히 먹고 마시며, 음주했거나 약물을 복용한 경우 트랙터를 운전하지 않는다 | |||
5. 기본적인 수신호를 사용한다 | |||
6. 보다 더 안전한 조작을 위해서 트랙터와 장비를 준비한다 | |||
7. 가급적 외부와 차단된 건물 안에서는 트랙터를 조작하지 않는다 | |||
8. 소화기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9. 구급상자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10. 트랙터에 부착된 인쇄물을 읽고 이해한다 | |||
11. PTO와 그 외 부품의 보호장치가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한다 | |||
12. 발판과 신발의 먼지나, 기름, 진흙 등을 제거한다 | |||
13. 조명이 바로 들어오는지 체크한다 | |||
14. 공구 및 예비 부품들을 점검한다 | |||
15. 창문은 깨끗이 닦는다 | |||
16. 모든 조절장치를 읽고 이해하고 있다 | |||
17. 타이어의 상태와 압력을 체크한다 | |||
18. 오일 레벨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19. 냉각수 양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20. 뜨거운 경우 라디에이터 캡을 제거하지 않는다 | |||
21. 배터리 액를 점검하고 필요시 보충한다 | |||
22. 배터리 근처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
23. 베터리 연결부위를 점검, 청소, 칠하고 조여준다 | |||
24. 그리스 주입구를 청소한 후 주유한다 | |||
25. 엔진이 차가울 때만 연료를 보충하고 근처에서 금연한다 | |||
26. 무게를 더하거나 줄인다 | |||
27. 장비가 제대로 고쳐지고 맞춰져 있는지 점검한다 | |||
28. 트랙터의 출발, 작동, 정지시에 주변에 사람, 애완동물 등 방해물이 없는지 확인한다 | |||
29. 좌석 및 핸들을 조정한다 | |||
30. 트랙터를 시동한다 | |||
31. 각종 게이지를 점검한다 | |||
32. 이상한 소음이 들리는지 살펴보고 소음 발생 시 엔진을 정지한다 | |||
33. 브레이크를 점검한다 | |||
34. 드로우바를 올리고 내려본다 | |||
35. PTO축과 Spline을 청소하고 기름칠한다 | |||
36. 유압 라인을 청소하고 연결했다 떼었다 해 본다 | |||
37. 전기 연결부위를 연결했다 떼었다 해본다 | |||
38. 올바른 조작을 위해 유압 컨트롤을 점검한다 | |||
39. PTO를 천천히 작동시켜 올바른 작동 여부를 점검한다 | |||
40. 적당한 전진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1. 적당한 PTO 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2. 장비를 자세히 관찰하고 소리도 들어 본다 | |||
43. 이상 징후가 보이면 엔진을 정지시킨다 | |||
44. 트랙터 작동 중에는 장해물을 없애거나 고치지 않는다 | |||
45. 도로주행 시에는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 |||
46. 각종 등화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살펴본다. | |||
47. 변속기어를 올바르게 조작한다 | |||
48. 논밭에 있는 장해물을 잘 살핀다 | |||
49. 후진시 천천히 움직이고 뒤를 잘 살핀다 | |||
50.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경우 뒤로 나오거나 트랙터를 잡아 끌어낸다 | |||
51. 경사지를 내려가는 경우 변속기어를 저단에 두고 운전한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 특정한 체크리스트를 더해도 된다. |
.
비닐하우스 등 실내에서는 엔진 배출가스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의 우려가 있으므로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업을 한다.
운전자가 후방으로 하는 작업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하면서 작업하고, 목이나 허리에 무리가 되기 쉬우므로 자주 휴식을 취한다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작업할 경우에는 가급적 옵셑측을 산 쪽으로 하여 작업한다.
운전일지, 점검·정비일지 등을 기록하고 기록에 근거하여 적정하게 관리한다.
트랙터를 대여할 때는 적절하게 정비하고 트랙터의 사용방법, 안전 상의 주의를 충분히 설명하고 취급설명서를 잘 읽은 후 작업할 것을 지시한다
모든 트랙터 운전자는 최초 조작시 그리고 그 이후 매년 안전 조작 과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 9가지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체크리스트는 트랙터 운전자가 스스로 트랙터를 점검 정비할 수 있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표 41). 합당한 자격을 갖춘 트랙터 운전자가 되는 것은 트랙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부상이나 사망의 원인이 되거나 트랙터나 장비 혹은 수확물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들은 인적, 물적으로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트랙터 사고는 보다 안전한 트랙터 및 운전자를 투입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트랙터뿐만 아니라 다른 농업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소그룹이나 개별 지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트랙터 운전자를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중요한 안전 실습이나 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관리인을 두는 것도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는 농업기계 관련 교육기관 또는 트랙터 운전자 각자가 사용할 수 있다.
조작자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면 “예”란에 ○표, 그럴 수 없다 면 “아니오”란에 ○표, 해당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없음”란에 Ⅹ표를 하시오.
트랙터 제조회사 :
모 델 :
행동/상황 | 예 | 아니오 | 해당 없음 |
---|---|---|---|
1. 개인의 안전에 대하여 주의한다 | |||
2.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다룬다 | |||
3. 몸에 맞는 의류와 적절한 신발을 착용한다 | |||
4. 적당히 먹고 마시며, 음주했거나 약물을 복용한 경우 트랙터를 운전하지 않는다 | |||
5. 기본적인 수신호를 사용한다 | |||
6. 보다 더 안전한 조작을 위해서 트랙터와 장비를 준비한다 | |||
7. 가급적 외부와 차단된 건물 안에서는 트랙터를 조작하지 않는다 | |||
8. 소화기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9. 구급상자의 위치와 상태를 점검한다 | |||
10. 트랙터에 부착된 인쇄물을 읽고 이해한다 | |||
11. PTO와 그 외 부품의 보호장치가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한다 | |||
12. 발판과 신발의 먼지나, 기름, 진흙 등을 제거한다 | |||
13. 조명이 바로 들어오는지 체크한다 | |||
14. 공구 및 예비 부품들을 점검한다 | |||
15. 창문은 깨끗이 닦는다 | |||
16. 모든 조절장치를 읽고 이해하고 있다 | |||
17. 타이어의 상태와 압력을 체크한다 | |||
18. 오일 레벨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19. 냉각수 양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 |||
20. 뜨거운 경우 라디에이터 캡을 제거하지 않는다 | |||
21. 배터리 액를 점검하고 필요시 보충한다 | |||
22. 배터리 근처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
23. 베터리 연결부위를 점검, 청소, 칠하고 조여준다 | |||
24. 그리스 주입구를 청소한 후 주유한다 | |||
25. 엔진이 차가울 때만 연료를 보충하고 근처에서 금연한다 | |||
26. 무게를 더하거나 줄인다 | |||
27. 장비가 제대로 고쳐지고 맞춰져 있는지 점검한다 | |||
28. 트랙터의 출발, 작동, 정지시에 주변에 사람, 애완동물 등 방해물이 없는지 확인한다 | |||
29. 좌석 및 핸들을 조정한다 | |||
30. 트랙터를 시동한다 | |||
31. 각종 게이지를 점검한다 | |||
32. 이상한 소음이 들리는지 살펴보고 소음 발생 시 엔진을 정지한다 | |||
33. 브레이크를 점검한다 | |||
34. 드로우바를 올리고 내려본다 | |||
35. PTO축과 Spline을 청소하고 기름칠한다 | |||
36. 유압 라인을 청소하고 연결했다 떼었다 해 본다 | |||
37. 전기 연결부위를 연결했다 떼었다 해본다 | |||
38. 올바른 조작을 위해 유압 컨트롤을 점검한다 | |||
39. PTO를 천천히 작동시켜 올바른 작동 여부를 점검한다 | |||
40. 적당한 전진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1. 적당한 PTO 속도로 장비를 조작한다 | |||
42. 장비를 자세히 관찰하고 소리도 들어 본다 | |||
43. 이상 징후가 보이면 엔진을 정지시킨다 | |||
44. 트랙터 작동 중에는 장해물을 없애거나 고치지 않는다 | |||
45. 도로주행 시에는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 |||
46. 각종 등화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살펴본다. | |||
47. 변속기어를 올바르게 조작한다 | |||
48. 논밭에 있는 장해물을 잘 살핀다 | |||
49. 후진시 천천히 움직이고 뒤를 잘 살핀다 | |||
50.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경우 뒤로 나오거나 트랙터를 잡아 끌어낸다 | |||
51. 경사지를 내려가는 경우 변속기어를 저단에 두고 운전한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52. 시동을 끄고 키를 빼둔다 | |||
※ 특정한 체크리스트를 더해도 된다. |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