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작년 PB를 풀다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 게시글 검색을 못한 문제들입니다ㅠㅠ
1.
08년 37번 문제인데 마지막 ㄹ선지에서 가중평균의 가평균을 구하지않고 신뢰성&대응성 영역의 가중치를 구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A,B,C중 어느것을 기준으로 어떻게 간단하게 구하는지 한번만 알려주세요!
2. 2번 선지가 잘 해결되지 않습니다 ㅠㅠ 3 + 11을 어떻게 조작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11이 3안에 들어갈수있어서 공급업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는 것 맞나요?
첫댓글 1. 2005년 B기업의 서비스품질지수는 70.0입니다. 각주1)을 통해 대응성, 확신성, 유형성의 가중치는 서로 0.2로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대응성과 확신성의 가중치가 동일하므로 이 둘의 평균은 70.0입니다. 만약 신뢰성과 공감성의 가중치가 동일하다면 이 둘의 평균도 역시 70.0이 됩니다. 이를 통해 유형성을 제외한 4가지 항목의 평균은 70.0이 됩니다. 그러나 유형성의 경우 65.0이므로 이는 전체평균을 70.0이하로 만들게 되어 모순이 됩니다. 따라서 확정되지 않은 신뢰성과 공감성의 가중치 중 점수가 높은 신뢰성의 가중치가 더 커야 70.0이라는 평균을 달성할 수 있게 됩니다.
답 감사드립니다. 다만 신뢰성과 공감성의 가중치가 동일하다면 이 둘의 평균도 70이 된다는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75가 되는것 아닌가요? ㅠㅠ 그럼 그 뒤의 과정이 어떻게 되는거죠
중간에 아마 A로 잘못 보신게 아닐까싶은데 답이 공감성이 더 크다고 나와있습니다. 가중평균 계산을 하면 그렇게 나오는데 A,B,C 중 편한 계산을 정하는 기준과 그 계산을 어떻게 하셨는지 한번만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B로 잡아서 계산할 경우 대응성 확신성 유형성의 평균은 68보다 조금 크고 가중치 0.6, 공감성과 신뢰성의 가중치 같은 경우 0.4 가중치에 평균이 75인데 68과 75의 가중평균 계산시 70보다 크므로 공감성의 가중치가 더 커져야함 -> 이렇게밖에 생각이 안드는데 이게 최선인가요?
2. 단순히 존재여부만을 묻고 있으므로 매출액이 501억원 이상인 기업은 최소 3개에서 최대 6개입니다. 이때, 수출실적이 있는 기업수는 11개이므로 교집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