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계산없는 자료해석] 2024 PSAT 윤진원 자료해석
 
 
 
카페 게시글
5급/외교 기출문제 PRACTICE BOOK
멍뭉이 추천 0 조회 195 21.01.25 16:48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1.01.28 16:27

    첫댓글 1. 2005년 B기업의 서비스품질지수는 70.0입니다. 각주1)을 통해 대응성, 확신성, 유형성의 가중치는 서로 0.2로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대응성과 확신성의 가중치가 동일하므로 이 둘의 평균은 70.0입니다. 만약 신뢰성과 공감성의 가중치가 동일하다면 이 둘의 평균도 역시 70.0이 됩니다. 이를 통해 유형성을 제외한 4가지 항목의 평균은 70.0이 됩니다. 그러나 유형성의 경우 65.0이므로 이는 전체평균을 70.0이하로 만들게 되어 모순이 됩니다. 따라서 확정되지 않은 신뢰성과 공감성의 가중치 중 점수가 높은 신뢰성의 가중치가 더 커야 70.0이라는 평균을 달성할 수 있게 됩니다.

  • 작성자 21.01.31 15:32

    답 감사드립니다. 다만 신뢰성과 공감성의 가중치가 동일하다면 이 둘의 평균도 70이 된다는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75가 되는것 아닌가요? ㅠㅠ 그럼 그 뒤의 과정이 어떻게 되는거죠

  • 작성자 21.01.31 15:48

    중간에 아마 A로 잘못 보신게 아닐까싶은데 답이 공감성이 더 크다고 나와있습니다. 가중평균 계산을 하면 그렇게 나오는데 A,B,C 중 편한 계산을 정하는 기준과 그 계산을 어떻게 하셨는지 한번만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 작성자 21.01.31 15:54

    B로 잡아서 계산할 경우 대응성 확신성 유형성의 평균은 68보다 조금 크고 가중치 0.6, 공감성과 신뢰성의 가중치 같은 경우 0.4 가중치에 평균이 75인데 68과 75의 가중평균 계산시 70보다 크므로 공감성의 가중치가 더 커져야함 -> 이렇게밖에 생각이 안드는데 이게 최선인가요?

  • 21.01.28 16:35

    2. 단순히 존재여부만을 묻고 있으므로 매출액이 501억원 이상인 기업은 최소 3개에서 최대 6개입니다. 이때, 수출실적이 있는 기업수는 11개이므로 교집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