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yonshin.yonsei.ac.kr%2Fimages%2Funiv_curriculum_1000.gif)
THE1101 |
구약성서의 세계(The World of the Old Testament) |
구약성서 각 책의 내용을 소개, 설명하며 이스라엘의 역사와 관련하여 구약을 전체적으로 이해시킨다. 구약성서를 정독하는 것이 이 과목의 중요한 과제이다 |
THE1201 |
신약성서의 세계(The World of the New Testment) |
신약성서의 배경이 되는 신약사와 정경사와 신약성서의 각 권의 신학적, 사회학적 특징을 규명한다. |
THE1001 |
신학실천(1)(Field Education (1)) |
교회봉사활동, 신과대 채플, 신앙수련회, 신학공개강좌, 남은 강좌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신앙공동체의 감각을 익힌다. |
THE1002 |
신학실천(2)(Field Education(2)) |
교회봉사활동, 신과대 채플, 신앙수련회, 신학공개강좌, 남은강좌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신앙공동체의 감각을 익힌다.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yonshin.yonsei.ac.kr%2Fimages%2Funiv_curriculum_2000.gif)
|
THE2003 |
신학개론(Introduction to Theology) |
신학의 개념, 연구대상, 근거와 규범, 신학의 과제가 무엇이며 신학의 필요성과 학문성, 신앙과 신학, 신학과 철학, 신학과 종교학의 관계를 공부한다. |
THE2004 |
신앙과 정신건강(Faith and Mental Health) |
이 과목은 다원화되는 시대적 정황속에서 우리들 삶의 정체성을 물으며, 동시에 건강한 삶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기 위한 정신건강의 문제들을 심리학적 성서적 신학적 맥락에서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심리적 건강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개괄해 본다. 또한 건강한 심리적 자의식에 대한 문제들을 다루어 보고 우리는 어떻게 스스로의 전인성(Wholeness)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를 우리 삶의 이야기와 여러 학문적 연구결과들과 비교하며 연구해 본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현대의 다원사회 속에서 우리 자신의 정신건강의 문제를 지켜나갈 뿐 아니라 신앙과 정신건강의 이슈들에 대한 통찰과 지혜를 얻는다.
|
THE2008 |
주니어세미나(Junior Seminar) |
|
THE2302 |
현대신학사(History of Modern Theology) |
19세기의 신학사조, 특히 Schleiermacher, Hegel, Ritschl, Kaehler, Harnack, Troeltsch의 신학과 Barth, Bultmann, Tilli를 중심한 20세기 초반기의 신학사조를 고찰한다. |
THE2101 |
예언서해석(Interpretation of Prophets) |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사명과 직분을 밝히며, 그들이 활동하던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관련하여 그들의 신학을 연구한다, 또한 예언자들의 신학과 이스라엘의 신학전승과의 관계를 탐구한다. |
THE2303 |
초대교회사(Early Church History) |
희랍.로마세계의 문화를 구조적으로 분석한 후, 그 배경을 타고 자라나는 기독교를 아울러 취급한다. 특히 초대 교회 형성 과정에 있어 신학, 조직, 생활면을 다룬다 |
THE2001,2002 |
경건훈련(1),(2)(Pastoral Field Visitation and Piety Practicum(1),(2)) |
선배 목회자들의 목회현장, 수도원, 사회복지시설, 양로원, 고아원, 장애자 보호시설 등을 방문하여 목회실천의 실제를 관찰 학습하고 경건훈련을 현장 체험해 봄으로써 미래 목회자로서의 구체적 준비를 갖춘다. |
THE2601 |
기독교교육사(The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
히브리시대, 유대주의시대, 초대, 중세, 근세 그리고 20세기 이후의 기독교교육의 형태를 역사학적, 사상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현대기독교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다. |
THE2901 |
기초희랍어(Basic New Testament Greek) |
신약성서의 원문을 연구하기 위한 입문으로 코이네 희랍어의 문법을 습득하게 한다. |
THE2202 |
신약원전강독(Greek New Testament Reading) |
기초 희랍어를 문법적으로 공부한 후 신약성서의 희랍어 원전을 강독하여 신약학 연구의 기반을 다지게 한다 |
THE2007 |
종교심리학(Psychology of Religion) |
종교 경험의 심층심리학적 해석, 발달심리학적 이해 및 신학적 해석을 시도하며, 회심, 성장, 예배, 기도, 교육, 선교 및 목회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 검토한다 |
THE2904 |
이스라엘역사(History of Ancient Israel) |
족장 시대로부터 시작하여 마카비 혁명에 이르기까지의 이스라엘의 역사를 개관한다. 고대근동의 역사적 배경과 고고학적 연구의 결과도 아울러 고찰한다. |
THE2101 |
성서고고학(Biblical Archaeology) |
성서고고학은 성서시대의 성서와 관련된 장소에 관한 고고학으로서 오늘날의 이스라엘 고고학과 연구 분야가 대부분 일치한다. 나아가 성서고고학은 성서에 등장하는 여러 사건들의 구체적인 역사적 배경과 성서시대 주인공들의 일상생활을 조명하기 위하여 발굴을 통해 드러난 유적과 유물들을 분석함으로써 좀 더 종합적인 관점에서 성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THE2201 |
공관복음서해석(The Synoptic Gospels) |
예수의 생애와 교훈의 기본 자료가 되는 마태, 마가, 누가의 세 복음서에 나타난 신앙과 신학사상을 각 공동체의 삶과 밀접히 관련시켜 해석한다. 합하여 오늘의 기독교 교육이론을 정립한다.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yonshin.yonsei.ac.kr%2Fimages%2Funiv_curriculum_3000.gif)
THE3501 |
기독교윤리학(Christian Ethics) |
일반 윤리와 기독교 윤리의 특수성을 고찰하고 그리스도교의 신앙을 근거로 하는 개인 윤리와 사회윤리를 검토한다. |
THE3302 |
종교개혁사(Renaissance & Reformation) |
문예부흥기의 문학, 철학, 사학 및 과학면에서 변천된 모습들의 공통점을 찾아 종교면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받았는가를 검토한다. |
THE3601 |
기독교교육학(Christian Education) |
기독교교육의 목적설정, 내용선정과 조직, 교수-학습과정 및 교육행정체제 등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고, 그 실천을 위한 다양한 방법에 관해 연구한다. |
THE3001,3002 |
목회실습(1),(2)(Pastoral Practicum(1),(2)) |
자신들이 활동하고 봉사하는 현장의 경험들을 한 학기 최소 6번씩 선배 목회자들로 구성되는(일년 12번 이상)목회 지도감독자(Supervisor)와 만나 자신들의 활동과 경험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된다. |
THE3401,3402 |
조직신학(1),(2)(Systematic Theology(1),(2)) |
오늘의 시대적 상황속에서 기독교의 기본사상과 이론들을 연구하며 교의학 전체를 개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THE3204 |
아동및 청소년 상담(Pastoral Counseling with Children and Youth) |
성인위주의 목회현장에서 쉽게 도외시되는 아동들과 청소년들을 위한 돌봄 목회와 상담의 필요성과 효율성을 다각도로 성찰하고, 그들과 대화하고 상담하는 기법에 대한 이론 탐구와 실습을 병행한다. |
THE3205 |
선교학 개론(Introduction to Missiology) |
기독교 선교의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원리를 연구하고 복음과 문화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번역의 역사를 통하여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이해하며 교회의 역할과 사명, 그리고 현대적 선교의 주제를 연구한다. |
THE3101 |
구약원전 강독(Hebrew Text Reading) |
구약성서 연구의 기초가 되는 히브리어를 습득하기 위하여 구약원전을 강독한다. 텍스트는 Biblica Hebraica Stuttgartensia이다. |
THE3901 |
기초히브리어(Elementary Hebrew) |
구약원어인 히브리어의 기초문법을 습득한다. 독해력에 중점을 두어, 구약원전을 읽을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
THE3006 |
비교종교학(Comparative Religion) |
세계의 제종교의 체험구조 및 사상, 의식, 조직 등의 표현현상을 분석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종교현상에 대한 이해와 종교간의 대화를 모색한다. |
THE3201 |
바울서신해석(Pauline Literature) |
바울서신 중 순수한 일곱편을 중심으로 그 사회학적, 신학적 의미를 밝힌다. |
THE3701 |
교회와 사회(Church and Society) |
세계화 속에서 오늘날 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제반 사회문제를 분석하면서 교회와 사회와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검토 및 연구한다. |
THE3005 |
세계종교사(History of World Religions) |
원시종교를 비롯하여 고대의 제 종교, 인도교, 불교, 유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의 역사적 제 종교현상을 종교해석학적으로 다룬다. |
THE3803 |
선교사(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
교회를 선교 공동체로 보고 그 교회가 처음부터 현대까지 비유대화, 로마화, 서구화, 동양에의 선교등의 과정을 통해서 겪은 선교 형태의 변천을 다룬다. |
THE3202 |
시편해석(Interpretation of the Psalms) |
구약시편과 이스라엘의 예배의식과의 관계를 밝히고, 시편들을 문학유형과 내용에 따라서 분류하고 해석한다. 시편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신앙도 아울러 고찰한다. |
THE3301 |
중세교회사(Medieval Church History) |
중세의 신성로마제국을 중심으로 종교면과 세속면을 골고루 다룬다. 특히 중세 교회의 수도원을 중심으로 하여 교계, 학계 및 정치에 이르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
THE3203 |
요한복음서해석(Interpretation of the Gospel According to St.John) |
제4복음서의 배경과 형성과정을 검토하면서 요한신학의 특이한 그리스도 이해를 요한공동체와의 관련속에서 연구한다. |
THE3902 |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and Counseling) |
이 과목은 서구전통에서 출현한 현대 발달 심리학의 중요 이론들을 집중적으로 개괄해 봄으로써 인간발달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연관성을 이해하는 과목이다. 또한 모든 이론들의 출현배경과 인간 이해, 연구방법론의 차이 등을 조망해 보고 현대 사회에 있어서의 인간이해와 그리고 목회상담에 적용등을 추구해 본다. |
THE3604 |
기독교 교육의 사회학적 기초(The Sociological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 |
기독교 교육의 현장이 되는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이론적, 실제적으로 살펴보고, 기독교교육과 사회와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
THE3805 |
설교학(Introduction to Homiletics) |
설교학의 역사를 살펴보고 설교에 필수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과정을 가질 것이며, 주제설교, 강해설교 등을 분류하여 설교를 작성하고 어떻게 전달하는가를 살펴본다. 실제로 설교를 작성하여 설교하고 비디오와 비평을 통해 실질적인 설교전달의 능력향상도 목적으로 한다. |
THE3815 |
종교교재연구 및 지도법 |
공교육제도 아래 실시되는 종교교육을 위한 교재, 자료 연구 및 사용방법을 지도한다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yonshin.yonsei.ac.kr%2Fimages%2Funiv_curriculum_4000.gif)
THE4102 |
구약신학(Old Testament Theology) |
계약신학의 관점에서 이스라엘의 신학전승을 개관하며, 구약성서에 나타난 하나님, 인간, 세계를 상호간의 관계에서 신학적으로 규명 연구한다. |
THE4201 |
신약신학(New Testament Theology) |
신약의 각 문서가 가진 다양한 신앙표현과 신학사상을 다양한 신앙공동체와의 관련속에서 규명한다. |
THE4001,4002 |
목양훈련(1),(2)(Pastoral Care Practicum(1),(2)) |
목회실습 현장에서 겪게되는 각종 돌봄의 경험들(가정위기, 인간관계갈등, 사별 등의 문제)을 목양돌봄의 자격을 갖춘 지도 감독자(Supervisor)들로부터 지도를 받고 실습보고서를 제출한다. |
THE4801 |
목회상담학 (Pastoral Ciunseling) |
이 과목은 기독교 교회의 목회 전통이 역사적으로 인간의 돌봄의 요청에 어떠한 형태로 응답해 왔는가를 조망해 보고 현대 사회에 있어서의 개인과 가정의 위기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집중 조명해 본다. 이를 위해 목회 상담학의 이론을 심리학적, 신학적 그리고 역사적으로 개괄해 보며 동시에 수강생들이 목회상담의 이론들을 교회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해 나갈 수 있는가를 함께 추구해 본다. |
THE4501 |
사회윤리의 신학적배경(Theological Background of Social Ethics) |
기독교 사회윤리의 성서 및 신학적인 배경과 정치경제적인 사상을 연구하며, 다른 학문적 분야와의 다원적 연구(inter-disciplinary study)를 시도한다. |
THE4301 |
최근의 신학(Current Theology) |
20세기 후반기 이후 최근의 신학적 동향을 고찰한다. 특히 Pannenberg의 역사신학, Moltmann의 희망의 신학을 위시한 오늘의 종말론적 신학을 전반적으로 공부한다. |
THE4302 |
현대교회사(History of Modern Church) |
웨스트팔리아 평화조약(1648년)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세계교회의 역사, 신학의 역사, 복음주의 운동 및 선교의 역사,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 에큐메니칼 운동 등을 다룬다. |
THE4906 |
철학적신학(Philosophical Theology |
고대 그리스철학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적 사조와 기독교 신학 사이의 만남을 중심으로 연구하면서, 특히 헤겔과 폴틸리히의 철학적 신학을 연구한다. |
THE4505 |
신학적인간학(Theological Anthropology) |
신학에서는 신앙성찰과 방법론적 반성을 위한 자기이해의 토대를 위해 인간의 문제에 초점 을 맞추어 연구한다 |
THE4909 |
신학영어강독(English Reading in Theology) |
신학연구영역 전반에 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영어로 저술된 최근의 논문으로 학제간의 교류를 시도한다. |
THE4503 |
기독교윤리와 여성해방(Christian Ethics & Feminism) |
페미니즘의 신학적 표명인 여성해방신학에 관한 전반적 이해와, 그리스도인의 삶의 문제를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조명하는 기독교 여성해방윤리에 관한 이해를 도모한다. |
THE4905 |
생태신학생명신학(Ecological Theology Theology of Life) |
오늘날 전 세계에 걸쳐 일어나고 있는 생태계의 위기에 직면하여 이 위기의 원인을 분석하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재정립함으로써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
THE4804 |
예배학(Introduction to Worship) |
예배의식의 전통과 역사를 살펴보고 예배신학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현대 목회에 있어서 예배의 요소가 무엇이고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예배를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목적을 둔다. |
THE4907 |
희랍어문법(Greek Grammar) |
본 수업은 신약성서 그리스어(희랍어) 기초문법을 배우는 수업이다. 그리스어를 전혀 배우지 않았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기에, 그리스어 알파벳부터 시작한다. 본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한 학기 후에는 사전을 찾아보면서 신약성서의 기본 문장들을 스스로 해석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이다. |
THE4908 |
히브리어문법(Hebrew Grammar) |
본 수업의 목표는 성서히브리어의 기본문법을 배우고 히브리 성경에 자주 나오는 단어를 익히는데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