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雲 09:27 새글
건록격은 식재관이 용신이고 甲 상관이 파손되면 戊 정관이 용신으로 잘 작용하는데, 왜 꼭 甲을 용신으로 보려 하는지요?
제가 볼 때는 辛酉 재성 대운에 보석 장식으로 돈을 벌은 것이 제대로 잘 나와 있네요.
松栢 조흔 09:38 새글
건록격이 아무리 신강한들 관살을 이길 수 있을까요? 특히 음간 일주인데요.
松栢 조흔 09:39 새글
제가 신뢰하는 자평진전에는 子月 癸水 일주에 대한 많은 사례가 나오는데, 하나같이 木식상이 용신이라고 합니다.
♣ 祿劫取運. 卽以祿劫所成之局. 分而配之.
녹겁격의 행운법은 녹겁격이 구성된 형국에 맞춰서 배합하여 본다.
# 아래 해설은 제가 戊子년 즈음에 자평진전을 해설할 때 제가 해설한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년 전에 해설한 것이니 틀린 풀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산음 심효첨 선생은 매 격국별로 명조의 모양새를 잘 보고서 운을 보라고 한다. 松栢이 생각하기에 어쩌면 원문을 강의한 공책에서는 각명조별로 운을 설명했는지도 모르는데 그 명조는 쏙 빠진 채 책이 나온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은 격국별로 운을 보는 법에 대해서 일반론을 얘기하는 것같지만, 해당 명조에만 국한되는 이론을 전개하는 경우도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아래 예문에서 확인해 보자.
-> 녹겁격은 월지 격신인 비겁을 용신으로 쓸 수는 없으니 관재식으로 용신을 잡는데, 관재식으로 용신을 잡고나면 관재식격의 용신법을 따른다. 1순위 용신법은 관살이요. 2순위 용신법은 재화요. 3순위 용신법은 식상이다. 편관을 쓸 경우는 식상으로 제살한 뒤에 써야 한다.
♣ 祿劫用官. 印護者喜財. 怕官星之逢合. 畏七煞之相乘. 傷食不能爲害. 劫比未卽爲凶.
녹겁격에서 정관을 쓰는 경우에 인수가 정관을 보호하면 재화가 좋고, 정관을 합하는 것을 꺼리며, 칠살이 더해지는 것을 꺼리며, 식상은 해를 끼치지 못하고, 비겁은 흉하다 할 수 없다.
♣ 財生喜印. 宜官星之植根. 畏傷食之相侮. 逢財愈見其功. 雜煞豈能無碍.
녹겁격에서 정관을 쓰는 경우에 재화가 生官생관하면 인수를 좋아하며, 정관이 뿌리를 내려야 하고, 식상이 업신여김을 두려워하고, 재화를 만나면 더욱 그 공을 보는데, 칠살과 섞이면 어찌 무난하겠는가?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 壬 丁 丙 丁 : 이지부 명조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 寅 巳 午 酉
# 본명은 丙火가 투간하여 음간 일주이지만 양간 일주로 가름합니다.
# 이 이론은 제가 개발한 이론이니 따르고 따르지 않고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 丁 癸 戊 庚 : 왕소사 명조
申 未 午 巳 辰 卯 寅 丑 --- 巳 卯 子 午
# 아래 해설은 제가 戊子년 즈음에 자평진전을 해설할 때 제가 해설한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년 전에 해설한 것이니 틀린 풀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본명은 癸水 일주가 신약하여 戊土가 칠살 작용을 한다. 하여 戊土 정관을 인수로 설기시키고 식상으로 쳐줘야 한다. 火재화운이 좋은 좋은 것은 火生土로 정관을 도와주기 때문이 아니고 조후 차원에서 좋은 것이다. 즉, 본명은 金白水淸格이다.
♣ 祿劫用財而帶傷食. 財食重. 則喜印綬. 而不忌比肩. 財食輕. 則宜肋財. 而不喜印比. 逢煞無傷. 遇官非福.
녹겁격에 재화를 쓰는데 식상을 띠고 있을 때, 재화와 식상이 중하다면 인수가 있어야 좋고 비겁을 꺼리지 않으며, 재화와 식상이 경미하다면 마땅히 재화를 도와야 하고 인수와 비겁을 좋아하지 않는다. 칠살을 만나면 상해가 없으나 정관을 만나면 복되지 않다.
甲 癸 壬 辛 庚 己 戊 丁 --- 丙 癸 丙 甲 : 장도통 명조
申 未 午 巳 辰 卯 寅 丑 --- 辰 丑 子 子
# 아래 해설은 제가 戊子년 즈음에 자평진전을 해설할 때 제가 해설한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년 전에 해설한 것이니 틀린 풀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본명은 얼핏 보면 신강한 명조에 甲木을 설기시키는 용신으로 쓰는 녹겁용식상격으로 보기 쉽다.(丙火를 용신으로 보지 않는 것은 丙火는 단지 조후로만 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명은 한겨울 子月에 얼어붙은 癸水가 신약한데 丑辰土가 약한 子水를 묶고 입묘시키면서 극해서 더욱 신약하게 하니 甲木 식상으로 제살하면서 金인수로 생조해주어야 하는 명조이다.
-> 본명은 金白水淸格금백수청격으로 木이 약신이고 丙火가 조후 희신이 되다 보니 마치 신강 명조에 식상생재를 쓰는 명조처럼 보인다. 천간만 놓고 보면 식상생재 형국이다. 그러나 녹겁격에 칠살을 쓰는 일지 칠살격에 신약하여(不弱불약) 식신으로 제살하는 식상제살격이다. 겨울생이므로 火는 조후로 쓰인다.
-> 운이 동남방운으로 흘러가니 발전한 것인데, 혹시나 본명이 동지 이후에 출생했다면 대운이 역행하니 서남방으로 흘러가서 발전하 것이다.
♣ 祿劫用煞以食制. 食重煞輕. 則運宜助煞. 食輕煞重. 則運喜助食.
녹겁격에 칠살을 쓰면서 식상으로 제살하는 경우에, 식상이 강하고 칠살이 약하면 칠살을 돕는 운이 마땅하고, 식상이 약하고 칠살이 강하면 식상을 돕는 운이 좋다.
♣ 若用煞而帶財. 命中合煞存財. 則傷食爲宜. 財運不忌. 透官無慮. 身旺亦亨. 若命中合財存煞. 而用食制. 煞輕則助煞. 食輕則助食而已.
녹겁용살격에 재화가 있을 때, 원국에서 칠살을 합거하고 재화를 존속시켰다면 식상운으로 가야 하고, 재운도 꺼리지 않으며, 정관이 투출해도 걱정 없고, 신왕운 역시 형통하게 된다. 원국에서 재화를 합거하고 칠살을 존속시키면서 식상으로 제살하는 경우는 칠살이 미약하다면 칠살을 도와야 하고, 식상이 미약하다면 식상을 도와주기만 하면 된다.
-> 칠살과 재화가 조합되면 왕따1호 命이다. 재화든 칠살이든 하나가 사라져야 한다. 이때 칠살을 합거하면 재화격으로 간주하고 푼다. 재화를 합거하면 칠살격으로 간주하고 푼다. 두 경우 모두 식신으로 제살하는데, 합살존재의 경우는 식상이 제살하면서 생재하는 명이 되고, 합재존살의 경우는 식신으로 제살하는 명이 된다.
72 62 52 42 32 22 12 02
庚 己 戊 丁 丙 乙 甲 癸 --- 己 癸 壬 戊 : 누참정 명조 - 동지 세수설 적용 명조
申 未 午 巳 辰 卯 寅 丑 --- 未 卯 子 午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 己 癸 壬 丁 : 누참정 명조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 未 卯 子 巳
# 아래 해설은 제가 戊子년 즈음에 자평진전을 해설할 때 제가 해설한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년 전에 해설한 것이니 틀린 풀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서락오 평주에서는 酉申金의 인수운은 좋으나 丙丁火의 재화운은 흉하다고 보고 있는데, 丁未대운은 대운수가 커도 50세이니 본명은 40대에 높은 벼슬을 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과연 그러한가 의심이 든다. 본명은 식신제살격에 木을 용신으로 보지만, 신약 命명에 칠살이 기신이므로 인수 金이 희신이고 식상 木은 약신으로 본다. 申酉대운은 신강운이라서 좋았고 남방운은 조후상 좋았다고 본다.
-> 어떤 명조이든 천간에 財殺재살이 조합되면 웬만큼 신강하지 않고서는 대흉하다. 壬水가 합재존살해주는 가장 긴요한 자로 보아서 壬水를 용신으로 본다면 金水木運이 좋을 것이다. 본명은 金白水淸格이므로 금백수청격 행운법으로 푸는 것이 편하다. 금백수청격에 대해서는 다음 과정인 난강망 과정에서 공부하게 된다.
♣ 祿劫而用傷食. 財運最宜. 煞亦不忌. 行印非吉. 透官不美. 若命中傷食太重. 則財運固利. 而印亦不忌矣.
녹겁격에 식상을 쓰는 경우는 재화운이 가장 길하고, 칠살운 역시 꺼리지 않으나, 인수운은 불길하고, 정관이 투간하는 운도 불미하다. 만약 사주 원국에서 식상이 태과하다면 재화운이 확고히 유리하고 인수운 역시 꺼리지 않는다.
-> 식상은 거의 항상 재화운을 좋아한다. 부지런함을 재물로 환산하기 때문인데, 불약하면 식상을 설기시켜서 좋고, 신강하다면 식상을 보호해줘서 좋다. 신약 사주에서 재화운은 신약하게 하니 흉할 것인데 좋은 이유는 식상이 설기시켜서 일주가 약해지는 것보다 재화가 신약하게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덜하기 때문이다. 재화가 식상을 설기시키면 식상의 설기력이 떨어지니 좋은 것이다.
-> 녹겁용식상격은 녹겁격이기도 하지만 식상격이기도 하다. 식상격은 재화가 용신이다. 재화를 보호해주는 관살이 좋은데, 정관은 식상견관의 흉해가 있기 때문에 흉하다. 식상이 격국이거나 용신일 때 정관운은 관재 구설수 등 명예 손상을 가져다 주기에 항상 흉하다.
첫댓글 양간 일주 건록격과 음간 일주 건록격은 차이가 있습니다.
양간 일주는 관살을 쓸 때도 있지만, 음간 일주는 관살을 쓰지 못합니다.
이건 제 간법입니다. 믿고 따르느냐 쓰지 않느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심효첨 선생님은 우리가 알고있는 저평진전과는 다른 말씀을 하셨을거에요. 자평진전은 후대에서 첨삭된 부분이 너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