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람들의 관심은 언론기관 뉴스에 따라 쏠리고 있습니다.
수능전에는 킬러문항 운운하더니, 정기국회는 예산타령이고
뒷전에서는 내년 4월총선 선거제도 협상에 골몰하나 봅니다.
내년 총선을 목표로 숱한 인물들이 이름과 얼굴을 알리기에 나섰다네요.
정당에서는 인재영입과 혁신공천을 앞세우고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고육지책과 궁여지책도 마련 중이라는데요.
'-지책'을 내놓기에 앞서
정치인들이 하는 짓거리가 얼마나 보기 싫었으면 국민이 등을 돌릴까를 먼저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선거 때는 국민의 심부름꾼이니 종이니 하면서 떠벌리다가
막상 선거만 끝나면 국민을 발가락의 때만큼도 생각하지 않는 그런 의원들을 보고
어느 국민이 투표할 마음이 생길까요?
몇몇 일 하시는 국회의원들은 몹시 억울할 것도 같습니다.
내로라하시는 분들이 모여 공연하게 '고육지책'이라는 고사성어를 쓰지는 않았을 겁니다.
최고위든 혁신위든 내 놓은 정책을 보고 언론에서 '고육지책' 또는 '궁여지책'이라고 썼을테고
그런데 이것은 잘못된 겁니다.
고육지책은 쓸 고(苦), 고기 육(肉), 갈 지(之), 꾀 책(策) 자를 쓰는데 삼국지에 나옵니다.
그 내용은
오나라가 조조의 대군을 격파하기 위해 불공격을 계획했는데
그 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황개라는 장수가 머리를 쓰죠.
황계가 자기군 대장에게 대들어 죽도록 얻어터진 후,
이를 비관해 조조에게 투항하는 것처럼 꾸며 조조에게 다가가게 됩니다.
이른 본 조조는 황계가 정말로 자기군 대장에게 꾸중들은 것에 반발해서 자기에게 오는 것으로 알고
대비를 소홀히 하다 결국 불공격을 당하게 됩니다.
바로 여기서 나온 말이 고육지책입니다.
곧, 장수 황계가 제 몸을(肉) 괴롭혀서라도(苦)(일부러 대들어 죽도록 얻어터져서라도)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려는(之) 계책(計)이라는 뜻의 고사성어가 '고육지책'입니다.
따라서, 고육지책은 힘들게 머리를 짜서 만들어낸 방법이 아니라,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먼저 희생하는 경우에 쓸 수 있는 말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고육지책/고육지계를 '적을 속이기 위하여 자신의 괴로움을 무릅쓰고 꾸미는 계책'이라 풀어놨습니다.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정치인들이 머리를 싸매고 고민해서 만들어낸 한 가지 방법이라면
그것은 고육지책이 아닙니다.
'궁한 나머지 생각다 못하여 짜낸 계책.'이므로 궁여지책(窮餘之策)이 맞다고 봅니다.
언론에서 어떤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고사성어를 쓰는 것은 좋으나 상황에 맞게 써야합니다.
이번 여러 정책을 보고 '고육지책'이라고 쓰면,
대부분의 사람은,
'아, 깊은 고민을 해서 내 놓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게 아니잖아요?
이런 상황에서 '고육지책'이라고 쓴 것은,
사회의 여론을 만들어 간다는 언론이 큰 잘못을 하고 있는 겁니다.
고육지책이라는 고사성어를 쓰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의 희생이 있어야 합니다.
틀린 기사 한 줄이 수천 수만 명의 눈을 멀게 할 수 있고,
잘못 뽑은 의원, 시장 하나가 지역 살림을 거덜내고 나라를 망칠 수도 있습니다.
꼼꼼히 따져보시고 내년 총선에서 투표를 잘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