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증가하는 흉악범죄의 증가로 사형집행에 대한 논쟁이 커지고 있습니다.
더구나 무기징역형을 받고 감형되어 출소될 수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법전문가들은 유럽과의 외교문제, 국제 애네스티 때문에 사형재개는 어렵다고 합니다.
대안으로 그들이 가성방없는 종신형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범죄자들이 사회에 나오지 못하게 연간 3천만원이상의 예산을 쓰는 것은 아이러니입니다.
Recurrence of violent crimes reignites debate over death penalty
강력범죄 재발로 사형제도에 대한 논쟁을 재점화
By Jun Ji-hye 전지혜 기자
Posted : 2023-08-21 16:58 Updated : 2023-08-21 19:47
Korea Times
Criminologists say death penalty would not have deterrent effect
범죄학자들은 사형제도가 억지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Brutal stabbings and the violent rape of a school teacher on her way to work in a residential area of Seoul in recent weeks have not only escalated fears among the public, but also reignited a fierce debate over resuming the executions of convicted criminals in Korea, which were halted 26 years ago.
최근 몇 주 동안 서울의 한 주택가에서 학교 선생님에 대한 잔인한 칼부림과 그녀의 출근길에 발생한 폭력적인 강간은 대중들의 두려움을 증폭시켰을 뿐만 아니라, 26년전에 중단되었던 한국의 유죄판결을 받은 범죄자들의 사형을 재개하는 것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After Cho Seon, 33, went on a stabbing spree killing one man and wounding three others near Sillim Station in Seoul, July 21, a similar knife rampage occurred, Aug. 3, by 22-year-old Choi Won-jong near Seohyeon Station in Gyeonggi Province, that left one woman dead and 13 others wounded.
33세의 조선이 7월 21일 서울 신림역 근처에서 한 남자를 죽이고 세 명을 다치게 한 후, 비슷한 칼 난동이 8월 3일 경기도 서현역 근처에서 22세의 최원종에 의해 발생하여 한 명의 여성이 사망하고 13명이 부상을 입었다.
Then on Thursday, a 30-year-old man, identified only by his surname Choi, brutally assaulted and raped a woman on a hiking trail in Sillim-dong. He was arrested on Saturday, and the victim, who remained unconscious following the attack, died later that day.
그러다 지난 목요일 신림동 등산로에서 30살 최 모가 여성을 잔인하게 폭행하고 성폭행했는데, 토요일에 체포됐고, 이후 의식을 잃은 피해자는 그날 늦게 숨졌다.
Korea is categorized as a death penalty abolitionist in practice by Amnesty International,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focused on human rights, as the country has not carried out any executions since Dec. 30, 1997.
한국은 1997년 12월 30일 이후 사형을 집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권에 초점을 맞춘 비정부기구인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에 의해 실질적으로 사형 폐지국으로 분류된다.
But the country still maintains the death penalty and courts continue to sentence criminals to capital punishment. The number of death-row convicts stood at 60 as of last year, according to Amnesty International's annual report published in May.
그러나 이 나라는 여전히 사형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법원은 범죄자들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있습니다. 앰네스티가 5월에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사형수의 수는 작년 기준으로 60명이다.
Shocked by the recent crimes, people have expressed their anger on internet communities, demanding that law enforcement authorities sentence the suspects to death and carry out the executions.
최근의 범죄에 충격을 받은 사람들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경찰 당국이 용의자들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사형을 집행할 것을 요구하며 분노를 표출했다.
"I was quite skeptical about the death penalty, but changed my mind recently as brutal crimes have continued to occur," one online user wrote on Naver.
한 온라인 사용자는 네이버에 "사형에 대해 상당히 회의적이었지만 잔혹한 범죄가 계속 발생하면서 최근 생각을 바꿨다"고 썼습니다.
Another said, "The country's punishment against felons is too weak. Death penalties should be carried out again to prevent similar crimes."
또 다른 사람은 "흉악범에 대한 국가의 처벌은 너무 약하다. 유사한 범죄를 막기 위해 사형이 다시 시행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A bereaved family member of the victim of Cho Seon's stabbing attack posted a petition on a website run by the National Assembly, demanding that the death penalty be carried out against the perpetrator "so he cannot be released and commit such a crime again."
조선의 칼부림 사건 피해자의 유족이 국회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청원을 올려 "가해자를 석방하고 다시는 이런 범죄를 저지를 수 없게 사형이 집행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Contrary to the heated public opinions over reinstating the death penalty, most experts appear to be skeptical about its effectiveness in preventing violent crimes.
사형제부활을 둘러싼 뜨거운 여론과 달리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강력범죄 예방 효과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Seung Jae-hyun, a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said public anger over the recent incidents is understandable, but added that carrying out the death penalty will not lea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similar crimes.
한국형사사법연구원의 승재현 선임연구원은 최근의 사건들에 대한 대중의 분노는 이해할 수 있지만, 사형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유사한 범죄의 현저한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The suspects in the recent cases are not the types of people who would not commit crimes because they are afraid of being punished," Seung said, referring to the perpetrators of the stabbing rampages near Sillim and Seohyeon stations who made no attempts to resist arrest.
승연구원은 신림역과 서현역 인근에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의 가해자들이 구속에 저항하지 않은 것을 언급하며 "최근 사건의 피의자들은 처벌을 두려워해 범죄를 저지르지 않을 타입의 사람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Preventive measures are more urgen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ort out high-risk groups of people and have them treated in advance," Seung said.
"예방책이 더 시급하다. 중앙과 지방 정부는 고위험군을 분류하고 그들을 미리 치료해야 한다,"라고 승연구원은 말했다.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is in charge of carrying out the death penalty, has also taken a cautious attitude. Justice Minister Han Dong-hoon said there are many points to be considered.
사형집행을 담당하는 법무부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고려할 점이 많다고 말했다.
"It is a diplomatically sensitive issue too. If the country carries out the death penalty, its relations with European Union countries could be severely strained," Han said during an appearance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last month.
"그것은 외교적으로도 민감한 문제이다. 만약 한국이 사형을 집행한다면, 유럽연합국가 들과의 관계는 심각하게 긴장될 수 있다,"라고 한 장관은 지난 달 국회에 출석한 동안 말했다.
As an alternative, the ministry is considering creating a sentence of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in order to respond more sternly to heinous crimes.
그 대안으로, 법무부는 극악무도한 범죄에 더 엄격하게 대응하기 위해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만드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Amnesty International report, death penalties were carried out in 20 countries against 883 people in 2022, up 53 percent from a year earlier. The sharp increase was attributed to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countries as more death penalties were carried out in those regions.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에는 20개국에서 883명에 대해 사형이 집행됐는데, 이는 1년 전보다 53% 증가한 수치이다. 이들 지역에서 사형이 더 많이 집행되면서 중동과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The organization said its statistics did not reflect cases in China, which is known to carry out thousands of executions every year, as the nation treats such cases as confidential information.
국제 앰네스티는 매년 수천 건의 사형을 집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중국의 경우를 국가가 기밀정보로 취급하기 때문에 통계에는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Rcurrence(재발) #Violentcrimes(폭력범죄) #Deathpenalty(사형) #Debate(논쟁) #Convictedcriminals(유죄판결을받은범죄자들) #Publicopinions(대중의견) #Deterrenteffect(억제효과) #Expertskepticism(전문가의회의적태도) #Lifeimprisonmentwithoutparole(가석방없는종신형) #AmnestyInternational(국제앰네스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