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blog.naver.com/p8240/221397820874
2행정 오일 배합
2행정엔진을 쓰는 기계들 엔진톱/예초기(혼다및로빈=마끼다4행정제외)/비료살포기/건설소형기계등 4행정을 제외한 엔진들은 2행정 입니다
2행정은 4행정과 달리 별도의 엔진오일탱크가 없이 연료통에 연료(휘발유)+2행정엔진오일을 일정비율 부피배합으로 섞어서 쓰는 기계들 입니다
오일의 역활은 당연히 연소시키면서 실린더와 피스톤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엔진을 보호하기 위함 입니다
기계에 따라 배합비율이 다를수 있으나 대표적인 25(일반광유-SK/GS):1과
50(식물성오일첨가-존스레드/제노아/스틸):1 두가지의 배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50(휘발유):1(2행정오일)=전체부피51입니다
= 50리터:1리터
아래의 식물성오일2행정오일은 1리터 한통으로 휘발유 50리터를 쓸수있다는 뜻입니다
우측은 자동차용 엔진오일통 입니다
많이 쓰시면 카쎈타 가시면 얻을수 있습니다
통 하얀부분이 반 투명하여 보이고 1리터 2리터등 숫자도 있습니다
배합시작
눈금을보면서 먼저 휘발유를 말통에서 0.5리터 단위로 쏟아 붙습니다
배합오일통을 보시면 현재2.5리터 넣었습니다
1/50=0.02요건리터
1리터는1000ml이므로 곱하기 1000을하면
0.02 x 1000=20ml 즉 휘발유 1리터에 20ml의 오일을 섞어주란 이야기 입니다
1리터반 0.5리터는 10ml가되지요
그럼 제가 2.5리터 휘발유를 통에 넣었으니 2.5/0.5=5x10ml=50ml의 오일을 넣고
흔들어서 골고루 휘발유와 섞이도록 해서 서 필요시 사용하면 됩니다
(보통 박카스병 또는 비타오백 한병아 100ml입니다/ 그럼 그병의 반이 50ml겠죠)
주의:장기간 보관시 밀봉을 잘해두어도 오일과 휘발유의 비중차이로 오일이 가라 앉을수 있으니 반드시 다시 흔들어서 사용하세요
제노아 아래제품의 경우 옆딱지 설명서에 뚜껑한개가 약20ml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럼 저 뚜껑에 따라서 혼합해주시면 되겠죠(가끔 잘못된 정보로 아무 뚜껑 따까리로
한개 부어서 썼는데 눌러붙여서 바락바락 우기시는분 계시는데 곤란해요^^)
휘발유0.5리터에 10ml이니 한두껑이면 휘발유 1리터 배합
존스레드는 좌측에 계량통이 붙어 있습니다 윗눈금이 50이라고 적혀 있네요
그럼 25:1 일반광유 배합은 어떻게 하느냐
먼저25(휘발유):1(2행정오일)=전체부피26입니다
= 25리터:1리터
광유오일2행정오일은 1리터 한통으로 휘발유 25리터를 쓸수있다는 뜻입니다
1/25 = 0.04
0.04*1000 = 40ml
그럼 50:1에 비하여 오일을 두배로 넣어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휘발유 1리터당 일반광유2행정오일을 40ml을 넣어야 한다는 결론
그반인 0.5리터는 20ml의 오일을 넣어야 합니다
광유가 아버지격으로 먼저 나왔고 식물성오일(50:1)은 아들뻘
정확히 계량해서 사용합시다
특정사 들은 문제시 a/s시 어느오일 썼는지 정확히 썼는지 따지는 곳도 있습니다
아난 머리아파 하시는분은 그냥 배합통 쓰셔요
배합통 만든 인간들이 머리가 나뿐지 백색통에 그냥 숫자로 표기해놓았어요
외부에 검은색으로 숫자나 계량눈금 도색좀 하든지 /나이많고 눈나뿐사람은 잘 안보여요
한쪽은 25대1
뒤집으면 50대1 배합이 있으니 아래눈금에 먼저 휘발유 채우시고 윗눈금까지
2헹정오일 채워주시고 흔들어서 시용하심 됩니다
배합통사용시 반드시 25대1 50대1 맞는오일 방향을 확인하시고 배합하셔요
반대로 넣으시면 오일과다로서서히 엔진죽이고 급작스레 엔진죽이는 결과가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