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전례
▦ 오늘은 연중 제22주일입니다.
하느님께서는 가난한 사람들과 죄인들을 새 계약의 잔치로 부르십니다.
주님의 잔칫상에 앉은 우리 모두 한 형제임을 깨닫고,
보잘것없는 사람들과 고통받는 사람들 안에 계시는 그리스도를 알아보고 공경합시다.
말씀의 초대
집회서의 저자는 높아질수록 자신을
더욱 낮추면 주님 앞에서 총애를 받을 것이라 한다(제1독서).
히브리서의 저자는, 우리가 나아간 곳은 살아 계신
하느님의 도성이며 천상 예루살렘이라고 한다(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너를 낮추어라. 그러면 주님 앞에서 총애를 받으리라.>
▥ 집회서의 말씀입니다. 3,17-18.20.28-29
17 얘야, 네 일을 온유하게 처리하여라.
그러면 선물하는 사람보다 네가 더 사랑을 받으리라.
18 네가 높아질수록 자신을 더욱 낮추어라.
그러면 주님 앞에서 총애를 받으리라.
20 정녕 주님의 권능은 크시고
겸손한 이들을 통하여 영광을 받으신다.
28 거만한 자의 재난에는 약이 없으니
악의 잡초가 그 안에 뿌리내렸기 때문이다.
29 현명한 마음은 격언을 되새긴다.
주의 깊은 귀는 지혜로운 이가 바라는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여러분이 나아간 곳은 시온 산이고 살아 계신 하느님의 도성입니다.>
▥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 12,18-19.22-24ㄱ
형제 여러분, 18 여러분이 나아간 곳은 만져 볼 수 있고
불이 타오르고 짙은 어둠과 폭풍이 일며
19 또 나팔이 울리고 말소리가 들리는 곳이 아닙니다.
그 말소리를 들은 이들은
더 이상 자기들에게 말씀이 내리지 않게 해 달라고 빌었습니다.
22 그러나 여러분이 나아간 곳은 시온산이고
살아 계신 하느님의 도성이며 천상 예루살렘으로,
무수한 천사들의 축제 집회와
23 하늘에 등록된 맏아들들의 모임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또 모든 사람의 심판자 하느님께서 계시고,
완전하게 된 의인들의 영이 있고,
24 새 계약의 중개자 예수님께서 계십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4,1.7-14
1 예수님께서 어느 안식일에 바리사이들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의 집에 가시어 음식을 잡수실 때 일이다.
그들이 예수님을 지켜보고 있었다.
7 예수님께서는 초대받은 이들이 윗자리를 고르는
모습을 바라보시며 그들에게 비유를 말씀하셨다.
8 “누가 너를 혼인 잔치에 초대하거든 윗자리에 앉지 마라.
너보다 귀한 이가 초대를 받았을 경우,
9 너와 그 사람을 초대한 이가 너에게 와서,
‘이분에게 자리를 내 드리게.’ 할지도 모른다.
그러면 너는 부끄러워하며 끝자리로 물러앉게 될 것이다.
10 초대를 받거든 끝자리에 가서 앉아라.
그러면 너를 초대한 이가 너에게 와서,
‘여보게, 더 앞 자리로 올라앉게.’ 할 것이다.
그때에 너는 함께 앉아 있는
모든 사람 앞에서 영광스럽게 될 것이다.
11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12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초대한 이에게도 말씀하셨다.
“네가 점심이나 저녁 식사를 베풀 때,
네 친구나 형제나 친척이나 부유한 이웃을 부르지 마라.
그러면 그들도 다시 너를 초대하여 네가 보답을 받게 된다.
13 네가 잔치를 베풀 때에는 오히려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여라.
14 그들이 너에게 보답할 수 없기 때문에 너는 행복할 것이다.
의인들이 부활할 때에 네가 보답을 받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기원후 2세기 무렵의 천문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태양계 모델을 제시합니다.
이른바 천동설입니다. 그리고 약 1400년 뒤에 또 다른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가 프톨레마이오스의 모델을 뒤집습니다.
그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며 반대로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른바 지동설입니다.
코페르니쿠스처럼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관념을 뒤집으십니다.
우리는 이렇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당신 삶의 중심이 누구인가?
당신인가 아니면 하느님인가?’
또는 ‘당신은 다른 이들을 다스리며 살아가는가,
아니면 당신이 하느님의 다스림 아래에 살고 싶은가?’
프톨레마이오스의 체계를 따르는 이들은 “내가 우주의 중심이다.”라고 말합니다.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고자 합니다. 자신은 선하고 자신의 판단은
올바르다고 여기며 스스로 자신의 삶을 결정합니다.
반면 코페르니쿠스의 모델을 따르는 이들은 이와 정반대로 생각합니다.
‘예수님께서 우주의 중심’이시고, ‘예수님께서 나의 중심’이시라고 고백합니다.
예수님을 우리 삶의 식탁에서 가장 높은 자리에 모시고 살아가고자 합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분의 자리는 끝자리입니다.
그곳이 바로 하느님의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도 그곳에서 하느님의 양식을 받아들이고, 하느님을 만나며
하느님과 같은 삶의 방식을 받아들이고 살게 되기를 기도합시다.
오늘 복음에서 가장 많이 반복되는 말은 “초대”라는 단어입니다.
무려 아홉 번이나 되풀이됩니다.
이 단어의 성경 원어는 ‘칼레오’, 곧 ‘부르다’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모두 ‘부름받은’ 이들입니다.
예수님께서 우리를 첫자리가 아니라 끝자리로 부르셨음을 기억합시다.
(정용진 요셉 신부)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