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명: 샴푸(HS Code 3305.10)
□ 시장동향
ㅇ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샴푸 시장은 2017년 665.8백만 링깃 규모로 전년 대비 4.4% 성장함.
-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은 황산염 프리 샴푸인 Lakmé Teknia, Kérastaseg 등 샬롱 전문 샴푸의 효능·효과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임.
- 게다가 천연 성분을 강조하는 Rica Naturica Balancing Remedy와 같은 샴푸들도 인기를 끌고 있음.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천연 성분으로 제조한 샴푸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
□ 수출입 현황
말레이시아 샴푸 수출입 동향(HS Code 330510)
(단위: USD 백만)
| 2013 년 | 2014 | 2015 | 2016 년 | 2017 년 |
수출 | 27.0
| 25.8
| 22.8
| 24.5
| 23.2
|
수입 | 78.5
| 63.6
| 54.7
| 59.8
| 56.9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2017년 샴푸 수출액은 전년 대비 5.0% 하락한 23.2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액은 4.7% 하락한 56.9백만 달러를 기록함.
ㅇ 2016년 수출액은 전년 대비 7.1% 증가한 24.5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액은 9.2% 증가한 59.8백만 달러를 기록함.
말레이시아 샴푸 국가별 수출동향(HS Code 330510)
(단위: USD 백만)
순위 | 국가 | 2015 | 2016 년 | 2017 년 |
1 | 싱가포르 | 5.9 | 6.9 | 5.7 |
2 | 필리핀 | 2.0 | 2.4 | 2.8 |
3 | 태국 | 1.6 | 1.8 | 2.3 |
4 | 홍콩 | 1.6 | 1.9 | 1.7 |
5 | 미국 | 1.7 | 1.5 | 1.7 |
6 | 브루나이 | 0.9 | 1.4 | 1.4 |
7 | 인도네시아 | 1.4 | 1.7 | 1.3 |
8 | 미얀마 | 0.7 | 0.8 | 1.0 |
9 | 베트남 | 0.8 | 0.9 | 0.9 |
10 | 호주 | 1.7 | 1.2 | 0.9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말레이시아의 샴푸 수출대상국 1위는 싱가포르로, 2017년 수출액은 전년 대비 18.4% 하락한 57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체 수출액의 24.4%를 차지함.
ㅇ 2017년 수출대상국 2위인 대필리핀 수출액은 17.0% 증가한 2.8백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대태국 수출액은 27.8% 증가한 2.3백만 달러를 기록함.
말레이시아 샴푸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330510)
(단위: USD 백만)
순위 | 국가 | 2015 | 2016 년 | 2017 년 |
1 | 태국 | 36.1 | 39.3 | 35.8 |
2 | 인도네시아 | 4.3 | 4.5 | 4.0 |
3 | 대한민국 | 1.7 | 2.0 | 2.9 |
4 | 미국 | 1.9 | 2.2 | 2.3 |
5 | 중국 | 2.3 | 2.3 | 2.2 |
6 | 인도 | 1.1 | 1.4 | 1.4 |
7 | 싱가포르 | 0.5 | 0.3 | 1.2 |
8 | 일본 | 1.0 | 1.4 | 1.2 |
9 | 이탈리아 | 0.6 | 0.7 | 0.8 |
10 | 홍콩 | 0.4 | 0.4 | 0.7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말레이시아의 샴푸 1위 수입 대상국은 태국으로 시장점유율의 63%를 차지함.
- 그러나, 2017년 태국으로부터의 샴푸 수입은 전년 대비 8.8% 감소한 35.8백만 달러에 그쳤음.
ㅇ 한국은 말레이시아의 3위 샴푸 수입 대상국이며, 2015년부터 수입액이 증가하는 추세임. 2016년 200만 달러에서 2017년 290만 달러로 45% 증가함.
ㅇ 인도네시아산 수입액은 전년대비 11.1% 감소한 400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미국산 수입액은 전년대비 4.5% 증가한 230만 달러를 기록함.
□ 대한 수입 현황
말레이시아 샴푸 대한국 수입동향(HS Code 330510)
(단위: USD 백만, %)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금액 | 1.0
| 1.5
| 1.7
| 2.0
| 2.9
|
증가율 | -16.7
| 50.0
| 13.3
| 17.6
| 45.0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지난 5년 동안 말레이시아의 대한국 샴푸 수입은 2013년 100만 달러에서 2017년 290만 달러로 총 190% 증가하였으며, 2014년 50.0%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음. 2017년 수출액은 전년 대비 45.0% 증가한 290만 달러를 기록함.
□ 관세: (일반) 0%, (AK FTA) 0% / 판매용역세(SST): 0%
ㅇ 샴푸(HS Code 330510)은 Customs Duties order 2017 및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AKFTA)에 따라 0%의 수입관세가 부과됨.
ㅇ 판매세(세금면제 상품) 2018에 따르면, 샴푸(HS Code 330510)에 대한 판매세(SST)는 10%가 부과됨.
□ 유통구조

ㅇ 대부분의 수입 샴푸는 수입/유통업체를 통해 다양한 채널로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되며, 특히 대형 슈퍼마켄, 뷰티 전문 소매점 및 왓슨(watson) 및 가디언(Guardian)과 같은 drugstores를 통해 판매가 됨.
□ 제품등록/인증서/규제 등
ㅇ 샴푸를 포함한 헤어케어 제품은 화장품으로 분류되어 수입 시 말레이시아 국가 의약품 규제 기관(NPRA)를 통해 등록 신청을 해야 함.
◦ 관련 규정
- 말레이시아의 화장품은 1952년 약품 판매법(Sale of Drugs Act 1952)에 따라 공포된 1984년 약품 및 화장품 규제법(Control of Drugs and Cosmetic Regulations 1984)에 따라 규제됨.
- 아세안 화장품 지침(ACD ; ASEAN Cosmetic Directive)을 통한 화장품의 조화(harmonisation)에 따라 말레이시아의 화장품은 2008년 1월 1일부터 신고 절차를 통해 관리됨.
- 약품 및 화장품 규제 1984 규정 18A(1)에 따라 화장품 제조, 판매, 공급, 수입 및 화장품을 신고하지 않은 한, 그 어떤 사람도 화장품을 제조, 판매, 공급, 수입할 수 없음. 누구든 제약국장(DPS)에게 사전 통보 없이 국가 의약품 규제 기관(NPRA)을 통해 그러한 활동을 하는 것은 위법임.
◦ 제품 사전등록 절차
- Control of Drugs and Cosmetics Regualtions Act 1984에 의거하여 수입 화장품이 유통되기 위해서는 NPRA(National Pharmaceutical Regualtory Agency, 국가의약품 관리청)를 통해 사전등록(Notification)을 완료해야함
- 사전등록절차는 해로운 제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제조업체·유통업체가 책임지도록 하기 위한 절차임
- 사전등록은 반드시 현지 법인 또는 현지 파트너를 통해 현지에서 진행해야하며, 온라인(NPRA Quest,http://npra.moh.gov.my/q3plus/index.php)으로 신청을 받고 있음.
- 화장품을 사전 등록하는 업체는 NPRA(국가의약품관리청)에서 요구하는 모든 서류와 증빙을 제출할 의무가 있으며 필요한 기본적인 서류는 다음과 같음
a. 제품명, 제품 종류, 사용 목적 등 제품 관련 사항 b. 제조업체 및 조립업체 명함과 주소 c. 화장품사전신고기업(CNH) 이름, 주소, 연락처 d. 화장품사전신고기업의 대표자 연락처 e. 수입업체 이름 및 주소(신고기업과 별도 존재 시) f. 제품 성분리스트(금지성분 포함시 비율(%) 필수 명기) g. 권한 위임장(Letter of Authorisation), 신고서(Letter of Declaration), 계약서(Letter of Contract Manufacturing) 중 제출 가능서류 f. 제품의 라벨
|
- 제품 정보파일(PIF)은 인쇄 서류 모음이나 전자파일 형태로 갖춰져 NPRA가 제출 요구 시 바로 제출 가능한 형태로 준비해야 하며, 말레이어 또는 영어로 명시되어야 함.
- 신청이 완료되면 1주 안에도 승인을 받는 경우가 있지만 보통 한 달 정도 소요됨
- 최신 NPRA 가이드라인과 절차에 대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
http://npra.moh.gov.my/images/Guidelines_Central/Guidelines_on_Cosmetic/Guidelines_for_Cosmetic_Control_.pdf
□ 주요 판매업체 현황(경쟁업체)
ㅇ 말레이시아에는 매우 다양한 샴푸들이 유통되고 있으며, 다국적 기업, 현지 기업들 모두가 경쟁하고 있음.
- 소비자는 Sunsilk, Pantene, Clear, Rejoice, Head & Shoulders, Dove 등 슈퍼마켓 및 하이퍼마켓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샴푸를 구입하는 경향이 있음.
- 일부는 L’Oréal Botanicals, Kerasys 등 고급 브랜드를 구입하고 있으며, Unilever (M) Holdings는 2017년 Sunsilk, Clear, Dove 등의 주요 브랜드를 통해 말레이시아 샴푸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음.
말레이시아 샴푸 기업별 시장 점유율
(단위: %)
브랜드 | 회사명 | 2015 | 2016 | 2017 |
Sunsilk | Unilever (M) Holdings Sdn Bhd | 11.4 | 11.5 | 11.7 |
Pantene | Procter & Procter & Gamble (M) Sdn Bhd | 7.3 | 7.3 | 7.4 |
Clear | Unilever (M) Holdings Sdn Bhd | 7.1 | 7.1 | 7.2 |
Head & Shoulders | Procter & Procter & Gamble (M) Sdn Bhd | 4.9 | 5.0 | 5.3 |
Rejoice | Procter & Procter & Gamble (M) Sdn Bhd | 4.9 | 4.6 | 4.5 |
Dove | Unilever (M) Holdings Sdn Bhd | 3.5 | 3.4 | 3.4 |
Elsève | L'Oréal (M) Sdn Bhd | 2.6 | 2.7 | 2.8 |
Elite | Wipro Unza (M) Sdn Bhd | 2.3 | 2.2 | 2.1 |
Safi | Wipro Unza (M) Sdn Bhd | 1.4 | 1.6 | 1.8 |
Others | Others | 54.6 | 54.6 | 53.8 |
Total | Total | 100 | 100 | 100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시장 진입 전략
ㅇ 할랄 인증
- 샴푸의 경우 말레이시아에서 할랄 취득이 강제되거나 필수 사항은 아니지만, 한국 이슬람교중앙회(KMF)나 말레이시아 이슬람개발국(JAKIM)에서 할랄 인증 취득할 경우 시장 선점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 말레이시아 인구의 60% 이상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으며, Carrie Junior Baby & Kids, Elite Men, New & Trendy, Safi 등 Wipro Unza (M) Sdn Bhd사의 제품들은 JAKIM 할랄 인증을 확보하여 시장 점유율을 넓힐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됨.
ㅇ 무슬림을 위한 샴푸 출시
-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는 히잡(Hijab)을 착용하는 말레이계 여성을 위한 맞춤형 샴푸를 출시하는 것임.
- 집 외부에서는 항상 히잡(Hijab)을 착용하는 말레이계 여성 들은 피부염, 탈모 등의 문제들이 발생해 샴푸 선택에 신중함을 기하는 편으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제품을 개발할 경우 큰 인기를 얻을 것으로 보임.
ㅇ 현지 유통업체 및 대리점
- 말레이시아 샴푸(화장품) 등록을 위해서는 현지 에이젼트를 통해 제품 등록 등을 진행해야하는 관계로, 적합한 현지 에이젼트 선정이 매우 중요함.
- 화장품 등록 경험이 있고, 현지 대형 유통업체들과 관계가 좋은 기업을 에이젼트로 선정하는 것이 필요함.
자료원: WTA, Malaysia External Trade Development Corporation (MATRADE), Ministry of Health Malaysia, Euromonitor International, NPRA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