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月分秀兮,有澤潤生民之德
(해와 달이
각각 자기 시간대를 만난다. 그래서 백성들의
삶이 윤택 해진다.)
【구주】戊午己未는 천상화이다. 하늘에 있는 화이다. 戊午는 태양(太陽)의 자리이고
己未는 태음(太陰)의 자리이다. 해는 날에 밝고 달은 밤에 밝다.
해와 달이 서로 나누어 작용한다. 태양은 卯酉에서 드나들고 戌에 어두워진다.
戊午년생이 해자축을 얻으면 격이 성립치 않는다.
해와 달은 빛이 흐려지면 밝지 않는데 어떻게 복이 될까?
해와 달이 각자 다른 시간대에 빛을 내므로 각자의 시간대에 밝아지면 복이 된다.
【만주】戊午己未는 천상화이다. 화는 하늘에
있다.
戊午가
태양의 자리이고 己未는 태음의 자리이다.
해는 낮에
밝고, 달은 밤에
밝다.
해와 달이
시간을 나누어 빛을
낸다.
태양은
卯에서 나오고
酉에 들어가며
戌에서 어두워진다.
태음은 저녁에
밝아지고 새벽에 어두워진다.
그러므로
戊午년생은 寅卯辰을 얻어야 한다.
己未년생은
亥子丑을 얻어야 한다.
그러면 해와 달이
각자의 시간대에 빛난다는
의미의 일월분수(日月分秀)격이 성립한다.
일월분수격에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년월에 해가 있고, 일시에 달이 있는 조합도 있다.
또는 년월에 달이 되고, 일시가 해가 있는 조합도 있다.
년월과 일시가 각자 해나 달을 얻어도 좋은 격국이 된다.
그러나 해나 달, 둘 중에 하나는 알맞은 시간을 얻어야 한다.
둘 다 맞는 시간을 얻지못하면 복이 되지 않는다.
주정좌도어사장원(周廷左都御史掌院) 己未
丙子 戊午 乙卯,
일월분수격이 네 기둥에서 다 이루어진다. 앞뒤가 어지럽지 않아 가장 얻기 어려운 형태이다.
안태사(安太師) 戊午
己未 戊午 己未
유승상(劉丞相) 戊午 丁巳 戊申 己未.
이상 3명은 일월분수가 제대로 이루어졌다.
사태후(謝太后) 戊午
戊午 戊午 丁巳
마총관(馬總管) 戊午
戊午 戊午 己未
왕통제(王統制) 戊午
戊午 丁未 丁未
왕천관(王天官) 戊午 丙辰 壬寅 壬寅
임지학사해원회원방안(林志學士解元會元榜眼) 戊午 庚申 癸卯 乙卯
만표도독(萬表都督) 戊午 辛酉 乙酉 戊寅
사소남대참(謝少南大參) 戊午 乙丑 丙申 庚寅
이상 두 명은 밤시간대를 의미하는 글자가 많아
수명이 길지 않았다.
위의 명조들은
일분수(日分秀)로
낮에 태어난 경우이다.
하남조왕(河南趙王) 己未 乙亥 壬辰 辛亥
가초촌상서(賈樵村尙書) 己未 乙亥 壬午 辛亥. 庚子시라는
설도 있다.
이기상서(李璣尙書) 己未 丙子 壬寅 辛亥
시랑(侍郞) 己未 丙子 丙子 戊子
진사현도당(陳仕賢都堂) 己未 丁丑 癸巳 壬戌
양참정(楊參政) 己未 乙亥 甲辰 甲戌
진부사(陳副使) 己未 丁丑 癸巳 壬子
채귀비(蔡貴妃) 己未 丙子 庚子
丙子, 여자로 월분수(月分秀)가 성립한다.
사주에 子가
많다. 음의 체(體)를 얻었다. 마땅히 귀비가
될 만하다.
여명(女命) 己未 乙亥 庚戌 丙子. 밤의
별들이 가득하다.
이상의 명조들은
밤에 월분수를 얻은
경우이다.
대체로 이
격은 戊午는 卯시를
얻고 나머지 글자들이
낮을 의미해야 한다.
己未는 酉시를
얻고 사주에 밤을
의미하는 글자들이 많아야
격국이 아름답게 된다.
단 戊午가 卯를
얻고 전부 낮을
의미하는 글자라면 일출부상격(日出扶桑格)도
된다.
기미는 酉를
얻고 전부 밤을
의미하는 글자라면 월승창해격(月昇滄海格)이
된다.
함께 참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