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태평양에 南韓의 75% 넓이의 '우리 바다'가 있다. 500조 원어치 망간團塊(단괴) 등
深海低鑛, 관련法 미비로 방치
• 趙南俊 전 월간조선 이사
남태평양에 남한 넓이의 4분의3에 해당하는 '우리 바다'가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하와이 동남쪽 2000km의 '클라리온-클립퍼톤'이라 이름 붙은 해역이 바로 그곳입니다.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한국은 1994년 8월 세계 7번째로 유엔 산하 국제해저기구(ISA)로부터 이 해역 15만 평방km를 분양받아 深海低(심해저)에 깔려 있는 망간 團塊(단괴) 탐사활동을 벌인 끝에 2022년 8월, 그 중 절반인 7만5천 평방km의 광구를 확보했습니다. 망간 團塊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원료가 되는 망간 외에 니켈, 구리, 코발트 등 40여종의 희귀금속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곳에 깔려있는 團塊만 5억6천만t으로 추정됩니다. 돈으로 환산하면 500조원(약 4000억 달러)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이렇게 넓은 바다를 품게 된 淵源(연원)을 따져 올라가면 옛 동력자원부 심해저 담당 사무관이던 金信鐘(김신종)
전 광물자원공사사장(73)의 공이 큽니다. 1980년대 초반, 그는 자기 돈을 들여 유엔해양법회의 등에 참석하며 자료를 모아왔습니다. 1982년 가을쯤으로 기억됩니다. 그는 필자에게 광업진흥공사 사장이던 金復東 장군(작고•전 육사교장)을 소개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심해저 광물탐사에 3000만 달러를 투자해야 광구를 확보할 수 있는데, 개별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고, 鑛振公이 앞장서야 한다고 그를 설득해보겠다고 했습니다. 필자는 그의 애국심이 어여뻐 그를 金 장군에게 데리고 가서 브리핑을 하도록 도왔습니다. 육사교장을 지낸 김 사장은 육사 교수 가운데 해양법 전문가가 있어서 심해저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金 사무관의 브리핑을 경청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후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을 거쳐 이 곳이 '우리 바다'가 된 것입니다. 이후 우리나라는 심해저 탐사 및 채광기술 등에서 세계 선두를 달려왔습니다.
그런데, 오늘(1월12일)자 朝鮮日報(조선일보) 조선비스 난에 나온 기사를 보면 한심합니다. 세계는 지금 바닷속 노다지를 캐는 심해 채광시대를 코앞에 두고 있는데, 우리는 그 잘난 국회에서 관련법을 통과시켜주지 않아 기술이 死藏(사장)되고 있다고 합니다.
정말 안타깝고 원통한 일입니다.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