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youtube.com/watch?v=heX2thuYNbU
15~20세
15세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둠
16세
과년(瓜年): 혼기에 이른 여자의 나이
20세
남-약관(弱冠): 스무 살이 된 남성의 나이
여-방년(芳年): 스무 살을 전후한 여성의 나이
15~20세
30~50세
30세
입지(立志): 뜻을 세우는 나이
이립(而立): 삼십 세를 달리 이르는 말
40세
불혹(不惑): 미혹되지 아니함
50세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뜻을 앎
30~50세
60~71세
60세
이순(耳順): 듣는 대로 이해 할 수 있게 됨
육순(六旬): 나이 예순 살을 이르는 말
61세
환갑(還甲), 회갑(回甲):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옴
62세
진갑(進甲): 환갑의 이듬해
70세
고희(古稀): 예로부터 드물다는 뜻.
칠순(七旬): 십년 씩 일곱번을 지낸 해.
종심(從心):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도에 어그러지지 않음.
71세
망팔(望八): 여든을 바라봄
60~71세
80~99세
80세
팔순(八旬): 여든 살
산수(傘壽): 여든 살을 이르는 말
81세
망구(望九): 아흔을 바라봄
88세
미수(米壽): 팔십팔(八十八)을 모으면 미(米)자가 되는 데에서 생긴 말
90세
구순(九旬): 아흔 살
졸수(卒壽): 아흔 살을 이르는 말
91세
망백(望百): 백을 바라봄
99세
백수(白壽): 백(百)자에서 일(一)을 빼면 백(白)자가 되는 데에서 나온 말
80~99세
100세 이상
100세
상수(上壽): 백 살 이상의 나이
111세
황수(皇壽): 황제의 수명 또는 나이
120세
천수(天壽): 타고난 수명
100세이상
나이별 이칭 별칭
사람의 경우 연령대별로 나이를 가리키는 한자어(이칭 별칭)가 있는데요, 나이별 이칭 별칭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나이별 이칭 별칭
1.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둔다는 의미로 15세를 말함.
2. 과년(瓜年)
혼인하기에 적당한 여자의 나이라는 의미로 16세의 여자를 말함.
3. 약관(弱冠)
남자 나이 스무살이라는 의미로 20세의 남자를 말함.
4. 방년(芳年)
꽃이 화사하게 피는 좋은 때라는 의미로 이십 세 전후의 젊은 여자를 말함.
5. 입지(立志)
뜻을 세우는 나이라는 의미로 30세를 말함.
6. 이립(而立)
공자가 삼십 세에 자립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로, 30세를 의미하는 말.
7. 불혹(不惑)
미혹되지 아니한다는 의미로 40세를 말함.
8.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뜻을 안다는 의미로 50세를 말함.
9. 이순(耳順)
듣는 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로 60세를 말함.
10. 육순(六旬)
사람의 나이 60세를 의미함.
11. 환갑(還甲)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의미로 61세를 말함.
12. 회갑(回甲)
육십갑자가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로 나이 61세의 생일을 말함.
13. 진갑(進甲)
환갑보다 한 해를 더 나아간 해라는 의미로 62세를 말함.
14. 고희(古稀)
예로부터 드물다는 의미로 70세를 말함.
15. 칠순(七旬)
십 년씩 일곱 번을 지낸 해라는 의미로 70세를 말함.
16. 종심(從心)
뜻대로 행해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나이라는 의미로 70세를 말함.
17. 망팔(望八)
여든을 바라본다는 의미로 71세를 말함.
18. 팔순(八旬)
80세를 의미함.
19. 산수(傘壽)
80세를 의미함.
20. 망구(望九)
아흔을 바라본다는 의미로 81세를 말함.
21. 미수(米壽)
88세를 의미함. (八十八을 모으면 ‘米’ 자가 되는 데에서 생긴 말)
22. 구순(九旬)
90세를 의미함.
23. 졸수(卒壽)
졸(卒)자의 약자를 구(九)와 십(十)으로 파자해 90세를 의미함.
24. 망백(望百)
백을 바라본다는 의미로 91세를 말함.
25. 백수(白壽)
백(百)자에서 일(一)을 빼면 백(白)자가 되는 데에서 나온 말로 99세를 의미함.
26. 상수(上壽)
최상의 수명이라는 의미로 100세 이상의 나이를 말함.
27. 황수(皇壽)
황제의 수명 또는 나이라는 의미로 111세를 말함.
28. 천수(天壽)
타고난 수명이라는 의미로 120세를 말함.
참고사항
위의 나이는 만 나이가 아니고 우리나라 나이입니다.
나이별 이칭 별칭
나이별 이칭 별칭
안녕하세요.
오늘은 알려드릴 정보글은
나이별 이칭 별칭이에요.
옛날에는 각 나이별로
부르는 별명이 있었는데요.
그 의미를 저도 이번에 알아보다가
참 뜻이 다양하고 많이 있더라구요.
각 나이별 이칭 별칭 소개해드리니
그 뜻을 한번 알아보시고 헤아려보시길
바랍니다.
나이별 이칭 별칭
나이별 이칭 별칭
15세 -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둠
20세 - 약관(若冠)
비교적 젊은 나이
30세 - 입지(立志)
뜻을 세우는 나이
40세 - 불혹(不惑)
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을 나이
50세 -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뜻을 앎
60세 - 이순(耳順) / 육순(六旬)
천지만물의 이치에 통달하고 듣는대로 무도 이해할 수 있음
61세 - 환갑(還甲) / 회갑(回甲)
육십 갑자의 갑에 되돌아 돔
62세 - 진갑(進甲)
환갑의 이듬해
70세 - 칠순(七旬) / 고희(古稀)
뜻대로 행하여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음
나이 종심이라고도 함
77세 - 희수(喜壽)
희(喜)자의 약자가 칠십칠(七十七)과 비슷한데서 유래
80세 - 산수(傘壽) / 팔순(八旬)
나이가 80세 이름
88세 - 미수(米壽)
팔십팔(八十八)을 모으면 미(米)가 되는 것에서 유래
90세 - 졸수(卒壽)
나이가 90세에 이름
91세 - 망백(望百)
백(百)을 바라봄
99세 - 백수(白壽)
일백 백(百)에서 하나 일(一)을 빼면 흰 백(白)자가 되는 데에 유래
100세 - 상수(上壽)
사람의 최상의 수명이라는 뜻
111세 - 황수(皇壽)
황제의 수명 또는 귀하다는 뜻
120세 - 천수(天壽)
타고난 수라는 뜻
나이별 이칭 별칭
나이별 이칭 별칭
오늘은 이렇게 나이별 이칭 별칭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의미들을 가진
나이별 이칭 별칭들이 있네요.
저도 이제 곧 서른이 되는데
뜻을 세울 나이가 되었는지
제 자신을 되돌아보게되네요.
요즘에는 나이가 뭔 상관이냐는
말도 있는데
그래도 그 나이에만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 것 같아요.
여러분들도 나이에 걸맞는 멋있고 예쁜
사람들이 되시길 희망합니다.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및 나이 별 별칭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15세: 지학(志學), 성동(成童). 20세: 약관(弱冠), 약령(弱齡), 약년(弱年), 방년(芳年), 방령(芳齡), 묘령(妙齡), 묘년(妙年). 30세: 이립(而立). 32세: 이모지년(二毛之年), 이모(二毛). 40세: 불혹(不惑). 50세: 지명(知命). 51세: 망륙(望六). 60세: 이순(耳順). 61세: 화갑(華甲), 환갑(還甲), 주갑(周甲), 환력(還曆), 회갑(回甲). 62세: 진갑(進甲). 61~70세: 칠질(七秩). 70세: 고희(古稀), 종심(從心), 희수(稀壽). 77세: 희수(喜壽). 80세: 팔순(八旬), 산수(傘壽), 팔질(八耋). 88세: 미수(米壽). 90세: 졸수(卒壽). 99세: 백수(白壽). 나이 별 별칭 진갑연(進甲宴): 61세. 고희연(古稀宴 ): 70세. 희수연(喜壽宴): 77세. 희(喜)의 초서체는 七인데 여기에 七이 2개, 十이 한 개이므로 七十七을 의미한다. 산수연(傘壽宴): 80세. 산(傘)의 약자를 풀면 八十 이 된다. 미수연(米壽宴), 미축연: 88세. 미(米)는 八十八 을 의미. 졸수연(卒壽宴): 90세. 졸(卒)의 약자가 九十을 의미. 백수연(白壽宴): 99세. 百에서 '一' 을 뺀 것이 白 미수(美壽: 66세)·희수(喜壽: 77세)·미수(米壽: 88세)·백수(白壽: 99세) 등은 일본말이 그대로 들어온 것이고 상수(桑壽: 48세), 산수(傘壽: 80세), 반수(半壽: 81세), 졸수(卒壽: 90세) 등도 전거(문헌상의 근거)가 없는 일본식 표현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통용 되고 있습니다. 지학(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 논어 과년(瓜年): 여자나이 16세. 혼기(婚期)에 이른 여자의 나이 과년(過年): 여자의 나이가 보통의 혼기를 넘음. 방년(芳年): 20세를 전후한 여성의 꽃다운 나이. 방령(芳齡), 묘년(妙年), 묘령(妙齡)과 같은 뜻 약관(弱冠): 남자 나이 20세. 예기 곡례편(禮記 曲禮篇) 남자가 20살이 되면 처음으로 관례를 하게 되는 데서 나온 말. 약년(弱年/若年), 약령(弱齡)과 같은 뜻. 이립(而立): 30세. 모든 기초를 세우는 나이 - 논어 불혹(不惑): 40세. 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는 나이 - 논어 상수(桑壽): 48세. 桑자를 十이 네개, 八이 한 개로 봄. 지천명(知天命): 50세. 천명을 아는 나이, 지명이라고도 함 - 논어 이순(耳順): 60세. 예순, 육순: 귀가 순해진다는 뜻으로, 나이 60세의 비유적인 표현. - 논어, 인생에 경륜이 쌓이고 사려와 판단이 성숙하여 남의 말을 받아 들을 줄 아는 나이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나는 나이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吾十有五而志于學),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으며(三十而立), 마흔에는 미혹되지 않았고(四十而不惑), 쉰에는 하늘의 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으며(五十而知天命), 예순에는 남의 말을 듣기만 하면 곧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하게 되었고(六十而耳順), 일흔이 되어서는 무엇이든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육순(六旬): 예순 살. 환갑(還甲): 61세. 태어난 간지(干支)의 해가 다시 돌아왔음 뜻하는 생일. 환갑(回甲), 화갑(華甲), 수연(壽宴, 壽筵) 진갑(進甲): 환갑(還甲)의 다음해인 62세 때의 생일. 미수(美壽): 66세. '미(美)'를 파자하면 '육(六)+육(六)'이 되어 이르는 말) 칠순(七旬): 일흔 살. 고희(古稀), 희수(稀壽): 70세.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곡강시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온 말 종심(從心): 70세. 뜻대로 행하여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나이 - 논어 망팔(望八): 71세, 여든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장수(長壽)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말 희수(喜壽): 77세. 희(喜)자를 초서체로 쓰면 그 모양이 七十七을 세로로 써 놓은 것과 비슷한 데서 유래된 말 팔순(八旬): 여든 살. 산수(傘壽): 80세. 산(傘)자를 파자(破字)하면 '팔(八)+십(十)'이 된다 하여 이르는 말 망구(望九): 81세,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에서 81세를 나타내는 말. '할망구'로의 변천? 망구탱이. 망구순(望九旬) 반수(半壽): 81세, '반(半)'을 파자(破字)하면 '팔(八)+십(十)+일(一)'이 되어 숫자 81과 같으므로 81세라 한 것 미수(米壽): 88세. '米'자를 풀면 '八十八'이 되는 데서 '여든여덟 살'을 이르는 말 구순(九旬): 아흔 살. 십순(十旬): 백일(百日)을 뜻함. 일순(一旬)은 십일(十日)로 일순의 열 번. 영조실록 翰薦召試 人臺十旬章疏 則依宋制 施辱臺之罰 極言者 超遷暗黙者降資 - 권제70, 5장 뒤쪽, 영조 25년 8월 7일(계미) 동리(凍梨): 90세. '언(凍) 배(梨)'라는 뜻으로, 얼굴에 반점이 생겨서 언 배의 껍질 같다는 뜻으로, 노인의 피부를 이르는 말이다. 90세를 말하기도 한다. 졸수(卒壽): 90세. 90세를 일컫는 우리말은 '구순(九旬)' 또는 '아흔 살'이다. '졸(卒)'은 초서(草書)로 쓰면 '아홉 구(九)'와 '열 십(十)'을 세로로 합한 모양이 되는데, 이 때문에 90세라 한 것이다. 그러나 '卒'에는 '마친다, 죽는다'는 뜻이 있어 마치 죽어야 할 나이, 혹은 죽기를 바란다는 의미로 들릴 수도 있기 때문에 쓰기에도 민망한 말이다. 망백(望百): 91세. 백세(百歲)를 바라본다는 뜻으로, 91세의 별칭이다. 90세를 지났으니 이제 100세도 멀지 않았다는 만수무강(萬壽無疆)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백수(白壽): 99세. 百자에서 一자를 빼면 白자가 된다하여 이르는 말. 나이의 별칭으로 흔히 쓰는 일본식 조어(造語) 가운데 대표적인 경우의 하나이다. 상수(上壽): 1. 나이 100세 또는 100세 이상을 이름. 2. 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아주 많음, 또는 그 나이. 사람의 수명중 최상의 수명이라는 뜻 - 장자. 左傳에는 120세를 상수로 봄. 중수(中壽): 나이 80세 또는 100세를 이름. 하수(下壽): 나이 60세 또는 80세를 이름. 파과지년(破瓜之年): 여자의 나이 16세, 남자의 나이 64세를 가리키는 말. 나이를 일컬을 때 흔히 쓰는 별칭 가운데는 일본식 조어(造語)가 많다. 일본인들은 장수(長壽)에 관심이 많아 66세의 경우에는 '아름다울 미(美)'를 써서 미수(美壽), 77세의 경우에는 '기쁠 희(喜)'를 써서 희수(喜壽), 88세의 경우 '쌀 미(米)'자를 써서 미수(米壽), 99세의 경우에는 '흰 백(白)'을 써서 백수(白壽) 등으로 표기하는데, 이들은 모두 초서(草書)와 파자(破字)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즉 '미(美)'를 파자하면 '육(六)+육(六)'이 되어 66세,' 희(喜)'를 초서로 쓰면 '칠(七)+칠(七)'이 되어 77세, 미(米)'를 파자하면 '팔(八)+팔(八)'이 되어 이를 합치면 88이 되기 때문에 88세, '백(白)'은 '일백 백(百)'에서 '한 일(一)'을 빼면 99가 되어 99세로 쓰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말에 별칭이 없다 하여 전거(典據)에도 없는 용어를, 그것도 일본식 조어를 그대로 들여와 쓰는 것 문제가 있다. 망구(望九): 90세를 바라본다는 뜻으로, 81세 곧 여든한 살의 별칭이다. 한학(漢學)이 융성했던 전통 유교사회에서는 윗사람, 혹은 웃어른의 나이를 이를 때 '예순 살, 일흔 살'이라 하지 않고 높여 부르는 뜻에서 '육순(六旬)·칠순(七旬), 60세·70세' 등과 같이 숫자 뒤에 '순(旬)'이나 '세(歲)'를 붙여 표현하였다. 또 환갑(還甲)이나 칠순 잔치 등과 같은 수연(壽宴)을 경축하기 위해 부조금 봉투나 기타 글로 써서 표현하는 경우에도 별칭을 썼는데, 망구 역시 이러한 별칭 가운데 하나이다. 곧 망구에는 81세가 되었으니, 이제 아흔까지도 넉넉히 살 수 있겠다는 만수무강(萬壽無疆)의 뜻이 담겨 있다. 이와 같은 표현으로 망륙(51세)·망칠(61세)·망팔(71세)·망백(91세)이 있는데, 숫자 앞에 '망(望)'을 붙이는 것 역시 어른의 장수(長壽)를 경축함과 동시에 더욱더 오래 살기를 바란다는 뜻이 들어 있다. 곧 '망'은 장수와 관련이 있는 표현으로, 망구와 위의 4가지 경우 외에는 쓰지 않는다. 산수(傘壽): 우리말에서 80세(歲)를 일컬을 때 일반적으로 구어(口語)로는 "여든 살"이라 하고, 문어(文語)로는 "팔순(八旬)"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사람의 나이를 글로 쓸 경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어른의 나이를 밝힐 때는 흔히 별칭을 썼다.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서 연유한 지학(志學: 15세)·이립(而立: 30세)·불혹(不惑: 40세)·지천명(知天命: 50세)·이순(耳順: 60세)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나이를 좀더 고상하게, 혹은 문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별칭을 정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옛날에는 평균 수명이 짧아 80세 이상 사는 경우는 거의 드물었다. 심지어 70세까지만 살아도 아주 오래 산 것으로 여겨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두보(杜甫)도 곡강시(曲江詩)에서 "사람이 70까지 사는 것은 예부터 드물었다(人生七十古來稀)"고 하였다. 70세를 흔히 고희(古稀)라는 별칭으로 표현하는데, 이와는 달리 80세·90세의 경우에는 팔순·구순 외에 별칭이 따로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다른 나이와 마찬가지로 80세·90세 등에도 별칭이 있을 것이라 짐작하여 전거에도 없는 표현을 억지로 갖다 붙이는 경우가 생겨났다. 산수 역시 이러한 억지 표현의 하나로, '산(傘)'을 파자(破字)하면 '팔(八)+십(十)'이 되므로 80세가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렇듯 전거에도 없는 표현이 전통적으로 써 오던 우리말 표현을 밀어내고, 오히려 주인 노릇을 한다는 데 있다. 산수는 팔순을, 졸수(卒壽)는 구순을 밀어내고, 심지어 미수(美壽: 66세)·희수(喜壽: 77세)·미수(米壽: 88세)·백수(白壽: 99세)와 같이 일본말에서 그대로 들여와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돌: 만 1살이 되는 생일(첫생일, 첫돌) 영아(嬰兒): 젖먹이. 젖먹이: 젖을 먹는 어린아이. ≒ 영아(嬰兒) 유아(乳兒) 유영(孺嬰) 유해(孺孩) 해영(孩嬰). 유아(幼兒): 어린아이.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아이. 아기: 어린 젖먹이 아이. ‘어린아이’를 귀엽게 일컫는 말. 나이가 많지 않은 딸이나 며느리를 정답게 이르는 말(큰아기. 며늘아기. 새아기). {주로 동식물 이름 앞에 쓰여}짐승의 작은 새끼나 어린 식물을 귀엽게 이르는 말. 아이: 어린 사람. ≒ 아해. 아자(兒子). 동유(童幼). 동해(童孩). ‘아들’의 낮춤말. ‘미혼자’의 낮춤말. 남에게 자기 자식을 낮추어 이르는 말. 아직 태어나지 않았거나 (태아 胎兒) 막 태어난 아기. 어른이 아닌 제삼자를 예사롭게 이르거나 낮잡아 이르는 말. 어린이: 어린아이를 대접하거나 격식을 갖추어 이르는 말. 대개 4, 5세부터 초등학생까지의 아이를 이름. 소년(少年):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아니한 어린 사내아이. 젊은 나이 또는 그런 나이의 사람. 소년법에서 20세 미만인 사람을 이르는 말. 소녀(少女):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아니한 어린 계집아이. 완전(完全)히 성숙(成熟)하지 않고 아주 어리지도 않은 여자(女子)아이. 동녀(童女). 진녀(振女) 사내아이: 나이 어린 남자 아이. ≒ 남아·동남(童男)·동몽·동자·수초·아남자(兒男子)·진남(眞男). 남에게 자기 아들을 이르는 말. 계집아이: 시집가지 않은 어린 여자 아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 ≒ 여아(女兒). 남에게 자기 딸을 이르는 말. 성년(成年): 법률상 완전한 행위능력자가 되는 연령. 민법상으로는 만 20세이며 그 외 분야별로 가능나이(?)들이 있다. 청년(靑年): 신체적·정신적으로 한창 성장하거나 무르익은 시기에 있는 사람. 나이가 20대 정도인 남자를 이르나 때로 그 시기에 있는 여자를 포함해서 이르기도 한다. 나이가 스물 또는 서른 살 안팎에 있는 젊은 사람. 참고: 청춘. 나이가 스물 또는 서른 살 안팎에 있는 젊은 남자. 청춘(靑春), 방세(芳歲):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10대 후반에서 20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젊고 건강한 시절. 젊은이: 나이가 젊은 사람. 혈기가 왕성한 사람. 성인(成人): 자라서 어른이 된 사람. 보통 만 20세 이상의 남녀를 이른다. 대인(大人). 성관(成冠). 어른: 다 자란 사람. = 대인(大人). 성인(成人).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 장자: 나이나 지위나 항렬이 높은 윗사람. ≒ 장자(長者). 결혼을 한 사람. 장년(壯年): 사람의 일생 중에서, 한창 기운이 왕성하고 활동이 활발한 서른에서 마흔 안팎의 나이. 또는 그 나이의 사람. 장령(壯齡). 성년(盛年). 장년(長年): 늘그막. 나이가 많은 사람. 오래 삶. 오랜 세월. 중년(中年): 마흔 살 안팎의 나이. 청년과 노년의 중간을 이르며, 때로 50대까지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중신(中身): 사람의 일생에서 중기, 곧 장년·중년의 시절을 이르는 말. 노년(老年): 나이가 들어 늙은 때. 또는 늙은 나이. 늘그막. 늙은이. 노령(老齡): 늙은 나이. 노년(老年). 노장(老壯): 노년과 장년. 노장(老長, 老丈): 나이 많은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노장(老將): 늙은 장수. 노장(老莊): 노자와 장자. 늘그막: 늙어가는 무렵. 말래(末來). 늙은이: 늙은 사람. 노년. 노리(老羸). 노인(老人). 숙기(宿耆). 노인(老人): 늙은이.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 구로(耉老)·기수(耆叟)·기애(耆艾)·노창(老蒼)·백수(白叟)·숙기(宿耆). 할망구: 늙은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
세계 장수 기록
1. 기네스북 공인 기록 최고령자(Oldest Person Ever)
프랑스 여자 잔 루이즈 칼망: 122세, 1875.2.21. ~ 1997.8.4.
일본 남자 기무라 지로에몬: 116세, 1897.4.19. ~ 2013.6.12.
2. 생존 최고령자:
스페인 여자 마리아 브라냐스 모레라: 1907.3.4. 116세
베네수웰라 남자 후안 비센테 페레즈 모라: 1909.5.27. 114세
4. 영국 텔레그래프 지
중국 위구루자치구 여자 알리미한 셰이티: 1886년생 ~ 2021. 12. 16. 135세
부라질 남자 조제 아니겔루 도스 산투스: 1888년생
5. 중국 알리미한 셰이티
중국 여자 뤄메이전: 127세
6. 멕시코 남자 렌드라 룸부레리스 1887년생
7. 볼리비아 남자 카르멜로 프롤레스 라우라: 1890.7.16. ~ 2014.6.10. 123세
9. 나이제리아 여자 에시피호 마마: 1824년생 191세
10. 이도네시아 남자 음바고토: 1870년생 146세
11. 브라질 남자 주앙 코엘로 더 소우자: 1884년생 138세
12. 부라질 여자 코쿠 이스탐블로바: 1889년생 ~ 2019.1.27. 129세
13. 미얀마 여자 다우마이지: 1920년생
14. 과테말라 남자 후아나 콕스 야크: 1893년생
12. 베트난 여자 응웬티 투르: 1893년생 123세
13. 태국 남자: 1894년생
14. 인도 님자 스와미시바님다: 1895년생
15. 필리핀 여자 프란시스카 수자노: 1897년생 124세
16. 인도네시아 여자 투리나: 1853년생 2010년 당시 157세
대한민국 비공인 최고령
1. 여자 긴진하: 1987년에 136세
2. 여자 김엄곡: 2017년 127세 구리네스 선정
3. 여자 신수선: 1900년생 2010년 당시 111세
4. 여자 박명순: 1903.8.7. 118세에 선거
5. 남자 장박: 1901년생 123세 서양화가
옮겨온 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