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 한국과학자
29명 불과...세계 14위

한국은 각종 학문 분야에서 인용지수 상위 1%의 영향력 있는 논문을 발표하는 우수한 연구자 수가
발표 논문의 양이나 R&D 투자액 및 경제 규모 등을 고려할 때 매우 적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분석 서비스 업체인 미국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는
지난 27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한국 과학자(최종 소속기관 기준) 가운데 29명이 2017년 세계 1%
‘고인용 연구자(HCR: Highly Cited Researcher)'에 선정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05∼2015년 ‘웹 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에 발표된 1,860여만 편의 논문 중
분야별 인용지수 상위 1%에 해당하는 고인용 논문(HCP)을 선별하고,
저자별 고인용 논문 수를 토대로 HCR 3천여 명을 선정해서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한국 출신 '고인용 연구자'는 분석이 시작된 2014년 18명에서 2015년 20명, 2016년 26명,
2017년 29명으로 점차 늘어났다. 분야별로는 약학·독성학이 11명으로 가장 많고,
수학 9명, 재료과학과 화학 각각 7명이다.
서울대 현택환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권익찬·김광명 박사, 한국해양대 김세권 교수,
고려대 김종승 교수, 동덕여대 박광식 교수, 이화여대 윤주영 교수, 울산과기대 로드니 루오프 교수 등
8명은 4년 연속 선정됐다.
1위는 미국(1,566명)이며, 영국(327명), 중국(219명)이 뒤를 이었다.
캐나다 한국일보
첫댓글 상위1% 과학자 29명으로 세계 14위 노벨상 貧國
이것이 현 대한민국 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