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루담제(上樓擔梯)
다락에 올라가게 하고는 사닥다리를 치워 버린다는 뜻으로, 속여서 남을 궁지에 몰아넣음을 이르는 말이다.
上 : 윗 상(一/2)
樓 : 다락 루(木/11)
擔 : 멜 담(扌/13)
梯 : 사다리 제(木/7)
(유의어)
권상요목(勸上搖木)
등루거제(登樓去梯)
상옥추제(上屋抽梯)
출전 : 세설신어(世說新語)
위험한 높은 곳에 사람을 올려놓고(上樓) 사다리를 없애 버린다면(擔梯) 올라간 사람은 속았다고 분통을 터뜨릴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나쁘게 이용하지 않고 지붕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그 절박감에서 탈출하는 방법을 찾게 하는 길잡이도 될 수 있다.
또 반대로 높은 곳에 많은 것을 숨겨 놓고 아래에서 올라오지 못하게 사다리를 걷어차 버렸다면 위의 사람들은 욕심이 많다고 손가락질을 받을 것이다. 이처럼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성어가 상루담제(上樓擔梯)다.
남조(南朝) 송(宋)나라의 문학가 유의경(劉義慶)이 쓴 일화집 세설신어(世說新語)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동진(東晋)의 8대 왕 간문제(簡文帝) 때의 일이다.
정치가이자 장군인 환온(桓溫)이란 사람이 촉(蜀)을 평정한 뒤로 더욱 세가 막강해지자 왕이 견제하기 위해 학식이 뛰어난 은호(殷浩)에 중책을 맡겼다. 둘은 죽마고우였으나 왕의 의도대로 사사건건 대립하는 정적이 됐다. 은호가 호족을 막기 위해 출병했다가 말에서 떨어져 참패하자 환온이 규탄상소를 올려 귀양가게 되었다. 은호가 왕을 원망하며 말했다. "사람을 백 척 다락에 올라가게 해놓고 사다리를 치워 버리는구나(上人箸百尺樓上 儋梯將去)."
우리 속담을 모은 송남잡지(松南雜識)에는 같은 뜻으로 등루거제(登樓去梯)라 쓰고 있다. 적을 유인하여 사지에 몰아넣은 뒤 주도권을 잡는 상옥추제(上屋抽梯)는 삼십육계(三十六計) 중의 계책이지만 실제 제갈량(諸葛亮)을 다락에 올려놓고 계책을 구하는 유기(劉琦)의 이야기가 삼국지(三國志)에 나온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성어는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을 사어로 만든 ‘세습귀족’에 대해 젊은 층들이 더 실감한다. 개발연대에 손쉽게 부를 일궜거나 권력을 잡은 이들이 그것을 자식들에게만 물려주고 다른 사람이 넘겨 볼까봐 사다리를 걷어찬 것이다. 대졸 실업자가 부지기수인데도 대기업 노동조합은 높은 벽을 쌓고, 세대 간 갈등이 더 심화되기 전에 튼튼한 사다리를 놓아야 함은 물론이다.
▶️ 上(윗 상)은 ❶지사문자로 丄(상)은 고자(古字)이다. 上(상)은 一(일)위에 짧은 一(일)을 쓰기도 하고, 또는 긴 一(일)위에 (ㆍ)을 쓰기도 하여 어떤 위치보다도 높은 곳을 나타낸다고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본디는 무엇엔가 얹은 물건의 모양을 나타내며 下(하)에 대한 上(상), 위에 얹다, 위쪽을 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❷지사문자로 上자는 ‘위’나 ‘앞’, ‘이전’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上자는 하늘을 뜻하기 위해 만든 지사문자(指事文字)이다. 上자의 갑골문을 보면 마치 二(두 이)자와 같은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다만 아랫부분은 오목하게 윗부분은 짧게 그려져 있다. 이것은 하늘을 가리키는 것이다. 上자는 하늘을 가리키고 있는 것으로 ‘위’나 ‘윗’을 뜻하고 있다. 다만 소전에서는 二자와의 혼동을 피하고자 윗부분의 획을 세운 형태로 바꾸게 되면서 지금의 上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上(상)은 (1)상감(上監) (2)위나 상부 (3)등급이나 차례 따위를 상(上), 중(中), 하(下) 또는 상, 하로 나눌 경우의 맨 첫째 , 중(中), 하(下) (4)무엇에서 무엇을 하는데 있어서 따위 뜻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위, 윗 ②앞 ③첫째 ④옛날 ⑤이전 ⑥임금 ⑦군주(君主) ⑧사성의 일종 ⑨높다 ⑩올리다 ⑪드리다 ⑫진헌하다(임금께 예물을 바치다) ⑬오르다 ⑭탈것을 타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높을 항(亢), 높을 탁(卓), 높을 교(喬), 높을 준(埈), 높을 존(尊), 높을 아(峨), 높을 준(峻), 높을 숭(崇), 높을 외(嵬), 높을 요(嶢), 높을 륭(隆), 밝을 앙(昻), 귀할 귀(貴), 무거울 중(重), 높을 고(高),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래 하(下), 낮을 저(低), 낮을 비(卑)이다. 용례로는 위로 올라감을 상승(上昇), 토의할 안건을 회의에 내어놓음을 상정(上程), 윗 등급이나 계급을 상급(上級), 높은 지위나 윗자리를 상위(上位), 위와 아래를 상하(上下), 정부에 세금을 냄 또는 진상품을 윗사람 에게 받침을 상납(上納), 배에서 내려 육지에 오름을 상륙(上陸), 물의 근원이 되는 곳의 부근을 상류(上流), 높은 하늘이나 어떤 지역에 수직되는 공중을 상공(上空), 윗자리의 관원을 상관(上官), 위쪽의 부분을 상부(上部), 자기보다 지위가 높은 손을 상객(上客), 퍽 오랜 옛날을 상고(上古),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함을 상향(上向), 가장 좋은 대책 또는 방책을 상책(上策), 보통 사람보다 아주 많은 나이 또는 그 사람을 (上壽), 가장 좋은 계교를 상계(上計), 지붕 위를 옥상(屋上), 맨 위나 정상을 최상(最上), 책상이나 식탁 등 탁자의 위를 탁상(卓上), 상품을 사들임을 매상(買上), 더할 수 없이 가장 높은 위를 지상(至上), 위치나 차례로 보아 어느 기준보다 위를 이상(以上), 끌어 올림이나 물건값을 올림을 인상(引上), 한 집안이나 한 민족의 옛 어른들을 조상(祖上), 위나 앞을 향해 발전함을 향상(向上), 산꼭대기나 그 이상 더 없는 것을 정상(頂上),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을 부상(浮上), 땅의 위나 이 세상을 지상(地上),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차 오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비유하는 말을 상루하습(上漏下濕),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괸다는 뜻으로 몹시 꼬이는 일을 당하여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맞추어 나감을 상하탱석(上下撑石), 산 위에서 물고기를 찾는다는 뜻으로 당치 않은 데 가서 되지도 않는 것을 원한다는 상산구어(上山求魚), 윗사람의 명령에 아랫사람이 따름을 상명하복(上命下服),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으로 곧 천지를 상천하지(上天下地), 하늘 위와 하늘 아래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천상천하(天上天下) 등에 쓰인다.
▶️ 樓(다락 루/누)는 형성문자로 楼(누)는 통자(通字), 廔(누)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部와 음을 나타내는 동시에 짜서 꾸며낸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婁(루)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樓(루/누)는 나무를 짜서 높이 세운 망루(望樓)의 뜻으로 ①다락 ②망루(望樓: 적이나 주위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높이 지은 다락집) ③집 대마루 ④층집 ⑤점포 ⑥동(棟)(단위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집 각(閣), 집 관(館)이다. 용례로는 궁궐이나 서원 등에 행사나 놀이를 위해 사방이 탁 트인 상태로 높다랗게 지은 집을 누각(樓閣), 다락집에 있어서 그 다락 밑으로 드나들게 된 문을 누문(樓門), 자세히 자기 의견을 말함을 누술(樓述), 누각 위를 누상(樓上), 누각의 아래를 누하(樓下), 주위의 동정을 살피려고 세운 높은 대를 망루(望樓), 다락 또는 다락과 전망대를 누사(樓榭), 수레 위에 망루를 설치하여 적의 성이나 진지를 내려다볼 수 있도록 만든 수레를 누거(樓車), 주위의 동정을 살피려고 세운 높은 대를 망루(望樓), 궁전을 좋게 이르는 말을 경루(瓊樓), 마루로 집채 안에 바닥과 사이를 띄우고 깐 널빤지 또는 그 널빤지를 깔아 놓은 곳을 말루(抹樓), 높은 다락집을 고루(高樓), 곡식을 넣어 보관하는 다락의 곳간을 곡루(穀樓), 높은 누각을 숭루(崇樓), 싸움터의 적당한 곳에 세워 사람이 올라가서 적진을 정찰하도록 만든 망루를 정루(井樓), 계수나무로 지은 다락집 또는 높고 훌륭하게 지은 요릿집을 계루(桂樓), 봉화를 올리는 높은 대를 봉루(烽樓), 붉은 칠을 한 누각을 단루(丹樓), 훌륭하게 지은 누각을 보루(寶樓), 여러 층으로 높게 지은 누각을 층루(層樓), 하늘에 닿는 집이라는 뜻으로 아주 높게 지은 고층 건물을 마천루(摩天樓), 바다 위나 사막에서 대기의 밀도가 층층이 달라졌을 때 빛이 굴절하기 때문에 엉뚱한 곳에 물상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신기루(蜃氣樓), 공중에 세워진 누각이란 뜻으로 근거가 없는 가공의 사물을 공중누각(空中樓閣), 모래 위에 세운 다락집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약하여 무너질 염려가 있을 때나 실현 불가능한 일을 두고 이르는 말을 사상누각(沙上樓閣), 큰 집과 높은 누각이라는 뜻으로 웅장하고 큰 건물을 이르는 말을 대하고루(大廈高樓), 누상에 오르게 하여 놓고 오른 뒤 사다리를 치워 버린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이롭게 하는 체하다가 뒤에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함을 등루거제(登樓去梯), 차이가 매우 심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촌목잠루(寸木岑樓) 등에 쓰인다.
▶️ 擔(멜 담)은 ❶형성문자로 担(담)은 통자(通字), 担(담)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재방변(扌=手; 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詹(첨, 담)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詹(첨)은 수다스럽게 지껄이는 일, 또 여러 가지 물건을 내려다보는 일, 詹(담)은 물건을 정리하여 어깨에 메는 일, 메는 것은 손의 동작이므로 나중에 재방변(扌=手; 손)部를 붙여 擔(담)이라 했다. ❷회의문자로 擔자는 ‘메다’나 ‘짊어지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擔자는 手(손 수)자와 詹(이를 첨)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詹자는 절벽 아래에 있는 사람을 향해 말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모양자 역할만을 하고 있다. 擔자는 소전까지만 하더라도 人(사람 인)자가 들어간 儋(멜 담)자가 쓰였었다. 그러니 소전에 나온 대로라면 儋자는 등에 짐을 짊어 메고 있는 사람을 그린 것과도 같다. 儋자는 이렇게 짐을 짊어 메고 있는 모습에서 ‘메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지만, 해서에서는 擔자가 뜻을 대신하고 있다. 擔자는 詹자를 단순히 무거운 짐으로 해석해야 풀이되는 글자이다. 그래서 擔(담)은 ①메다 ②들다 ③들어 올리다 ④짊어지다 ⑤책임지다 ⑥맡다 ⑦떠맡다 ⑧짐 ⑨화물 ⑩맡은 일 ⑪부피의 단위(單位) ⑫양의 단위(單位)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멜 하(荷)이다. 용례로는 어떤 일을 넘겨 맡음을 담당(擔當), 빚을 대신할 수 있는 신용으로 제공하는 보장을 담보(擔保), 학급이나 학과목을 책임을 지고 맡아 봄을 담임(擔任), 어떤 일을 부담하여 맡음을 담착(擔着), 얼마 되지 아니하는 곡식 또는 얼마 되지 아니하는 분량을 담석(擔石), 조세를 부담함을 담세(擔稅), 짐 따위를 등에 지고 어깨에 멤을 담부(擔夫), 담임의 책임을 담책(擔責), 어깨에 매고 물건을 나르는 기구의 총칭을 담구(擔具), 등에 지고 어깨에 멤을 담부(擔負), 짐을 실려서 운반시키는 짐승을 담수(擔獸), 총을 어깨에 멤을 담총(擔銃), 짐을 메어 나르는 품팔이꾼을 담군(擔軍), 긴 자루가 달린 어깨에 메는 등을 담등(擔燈), 진상품 따위의 짐을 올려 놓는 상을 담상(擔床), 어깨에 메어서 끎을 담예(擔曳), 가마나 상여 따위를 메는 장정을 담정(擔丁), 어떤 일이나 의무나 책임 따위를 떠맡음을 부담(負擔), 일을 나누어서 맡음을 분담(分擔), 거들어 도와 줌 또는 한 편이 되어 일을 함께 함을 가담(加擔), 전담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것을 전담(專擔), 어떤 일의 전부를 맡는 것을 전담(全擔), 혼자서 부담함을 독담(獨擔), 스스로 담당하거나 짊어짐을 자담(自擔), 짐이나 가마 따위를 어깨에 받쳐 멤 또는 그리 하는 사람을 봉담(捧擔), 삼을 택하고 금을 버린다는 뜻으로 하찮은 것을 택하고 귀한 것을 버림을 이르는 말을 담마기금(擔麻棄金), 석은 한 항아리 담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의 여유가 조금도 없다는 말을 가무담석(家無擔石), 다락에 올라가게 하고는 사닥다리를 치워 버린다는 뜻으로 속여서 남을 궁지에 몰아넣음을 이르는 말을 상루담제(上樓擔梯) 등에 쓰인다.
▶️ 梯(사다리 제)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차례, 순서의 뜻을 가진 弟(제)로 이루어졌다. 한 단 한 단씩 밟고 '올라가다'의 뜻이다. 그래서 梯(제)는 ①사다리 ②실마리 ③새싹 ④기대다, 의지하다 ⑤오르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사다리 붕(棚), 사다리 잔(棧)이다. 용례로는 사닥다리로 높은 곳이나 낮은 곳을 오르내릴 때 디딜 수 있도록 만든 기구를 제자(梯子), 비탈에 층층으로 일구어 사닥다리 형상으로 된 논밭을 제전(梯田), 사다리 모양을 이르는 말을 제상(梯狀), 사다리꼴을 이르는 말을 제형(梯形), 사다리 또는 일이 잘 되거나 벼슬이 차차 올라가는 순서를 제계(梯階), 굵은 새끼줄로 사다리의 모양으로 만든 물건을 제삭(梯索), 산에 오르는 사닥다리와 바다를 건너는 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제항(梯航), 편대로 나르는 비행기의 한 떼를 제단(梯團), 군대나 군함이나 비행기 등의 대형을 사다리꼴로 편성한 대를 제대(梯隊), 군대나 군함이나 비행기 등의 대형을 사다리꼴로 편성함을 제진(梯陣), 계단과 사닥다리라는 뜻으로 일이 사닥다리 밟듯이 차차 진행 되는 순서 또는 일이 잘 되어 가거나 어떤 일을 행할 수 있게 된 알맞은 형편이나 좋은 기회를 계제(階梯), 재앙에 가까이 가는 단계를 화제(禍梯), 집채의 앞뒤에 오르내릴 수 있게 놓은 돌층계를 석제(石梯), 하천의 둑 때문에 물고기의 상류 또는 하류의 교통이 막혔을 때 그곳에 비스듬히 또는 계단을 만들어서 물길을 통하고 물고기가 아래위로 통행할 수 있게 만든 장치를 어제(魚梯), 나무로 만든 사닥다리를 목제(木梯), 잘 다듬어서 만든 사다리를 마제(磨梯), 배에 오르내릴 때 쓰는 사다리를 선제(船梯), 높은 사다리로 옛날에 성을 공격하는 데 쓰인 긴 사다리 또는 높은 지위에 오름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운제(雲梯), 차례차례로 순서 있게 잇대어 적음 또는 그렇게 적은 기록을 연제(連梯),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사닥다리를 이르는 말을 굴슬제(屈膝梯), 줄 사닥다리를 이르는 말을 조연제(弔軟梯), 험악한 산을 넘고 배로 바다를 건넌다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사신으로 간다는 말을 제산항해(梯山航海), 난간이 굽어도는 굽어진 층계를 이르는 말을 곡란층제(曲欄層梯), 높은 난간이 있는 층층대를 이르는 말을 고란층제(高欄層梯), 누상에 오르게 하여 놓고 오른 뒤 사다리를 치워 버린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이롭게 하는 체하다가 뒤에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한다는 말을 등루거제(登樓去梯), 다락에 올라가게 하고는 사닥다리를 치워 버린다는 뜻으로 속여서 남을 궁지에 몰아넣음을 이르는 말을 상루담제(上樓擔梯)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