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퍼거 증후군 소아청소년의 사회성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라는 드라마에서 주인공인 천재 변호사 우영우가 가진 장애로 소개되어 인지도가 높아진 아스퍼거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여러 임상 양상 중 하나에 해당하는 발달 장애입니다. 미국정신의학협회(APA)에서 발행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5)의 최신 진단 기준 변경으로 인해, 사회화의 결손이 나타나지만 자폐 스펙트럼으로 진단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로 진단되기도 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아직까지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 따르면, 가족 중에 아스퍼거 장애가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아 유전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전형적인 자폐증(Autism)과 달리 언어 발달의 지연이 두드러지지 않고, 지적 능력이 양호하다는 특징 때문에 청소년기나 성인기까지 진단되지 않는 경우도 흔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소아청소년은 언어 발달이 정상 발달 단계에서 특별히 뒤처지지는 않지만, 특이한 화법을 쓰거나 목소리의 크기나 억양, 운율 및 리듬이 정상 소아청소년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소아청소년은 소리, 빛, 접촉, 감촉, 맛, 냄새, 통증, 온도 및 그 밖의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지나치게 둔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아청소년의 가장 큰 특징은 그들의 또래 관계 및 사회성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특정한 주제에 대해 지나치게 강한 관심을 가지며, 그 주제에 대해 듣는 이의 느낌이나 반응을 신경 쓰지 않고 이야기를 늘어놓습니다. 장황하고 말이 많거나, 갑작스럽게 대화의 주제를 바꾼다거나, 숨은 의도를 알아채지 못하고 말을 문자 그대로 이해한다거나, 분위기를 읽지 못하고 눈치 없이 행동한다거나, 자기 자신에게만 의미가 있는 은유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탓에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이 있고,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거나 협동 활동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아이, 어떻게 하면 세상을 잘 살아갈 수 있을까요?
1. 전문가와의 상담
아스퍼거 증후군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시작할수록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 불안, 강박 행동, 틱, 우울, 망상, 환청이나 수면 장애 등 여러 가지 증상들이 동반된다면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통합적인 교육적 치료 개입
아스퍼거 증후군에는 천편일률적인 한 가지의 치료법이 없습니다. 개인마다 정도의 차이가 있는 반복 행동, 신체 제어 문제, 의사소통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언어 치료, 인지행동치료, 사회 기술 훈련 등을 시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통합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3. 집단 사회성 프로그램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이를 가진 채로 세상에 적응하는 법을 학습합니다. 어떤 장기에 손상이 있어서 그 부분만 고치면 되는 장애가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훈련을 하면서 세상을 적응적으로 살아가는 법을 학습해야 합니다. 집단 사회성 프로그램은 정서적 및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환경에서 사회성 기술을 배우고 적용해보며 긍정적 수용 경험 쌓기와 사회성 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수학영재 아스퍼거장애 중학생이 사회성집단으로 학급리더자가 되기까지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Blackburn, R., & Howlin, P. (2004). 자폐증과 아스퍼거증후군 아동: 치료자와 부모를 위한 지침서. ㈜시그마프레스.
Elder, L. M., Caterino, L. C., Chao, J., Shacknai, D., & De Simone, G. (2006). The efficacy of social skills treatment for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635-663.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옥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