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리들에게 친숙한 생선들을 꼽으라고 하면 단연 으뜸은 ‘명태(明太)’일 겁니다.
명태는 예부터 혼례·제사·고사 등에 두루 쓰인 유용한 생선이었습니다.
특히 과거 함경도 지방에서는 명태의 간으로 기름을 짜 등불을 밝혔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밝게 해 주는 물고기’라는 의미에서 명태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고요.
또 명태의 아가미와 알, 창자 등으로는 젓갈을 담그는 데요.
알로 담근 것이 ‘명란젓’이고, 창자로 담근 것은 ‘창난젓’입니다.
명태의 이름과 관련해서는
함경도 명천(明川)에 사는 태씨(太氏) 성의 어부가 이 물고기를 처음 잡았는데,
이름을 몰라 지명의 첫 자와 어부의 성을 따서 명태로 이름 지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명태는 밥상에 오르기 전 상태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합니다.
그중 가장 흔한 것이 얼린 ‘동태’입니다.
요즘처럼 강한 추위에 온몸이 꽁꽁 언 것을 두고 ‘동태가 되다’라는 관용구가 쓰일 정도로
동태는 우리에게 친숙한 먹거리였습니다.
이런 동태에 대립하는, 즉 얼리지 않은 것이 ‘생태’입니다.
명태를 장기 보관하는 방법으로는 얼리는 것보다 말리는 방식이 더 널리 쓰였습니다.
‘북어’가 대표적 사례이지요.
북어 중에서도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며 누런빛을 띠게 말린 것이 ‘황태’입니다.
얼어 부풀어오르면서 마른 것이 마치 더덕 같다고 해서 ‘더덕북어’라고도 불렀습니다.
누런빛을 띠는 황태와 달리 하얀 빛을 띠는 것이 ‘백태’이고,
검은빛을 띠는 것은 ‘흑태’입니다.
또 상대적으로 부들부들한 황태와 달리 딱딱하게 말린 것을 ‘깡태’라고 합니다.
요즘 맥줏집에서 안줏거리로 인기가 많은 ‘먹태’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이름은 민간에서 통용되는 말일 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습니다.
이들 말을 아우를 수 있는 표준어는 ‘건태(乾太)’인데요.
건태는 북어의 동의어이기도 하지요.
또 물기를 절반 정도만 빼서 꾸들꾸들하게 말린 ‘코다리’ 역시 사람들이 널리 쓰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지 않습니다.
이 밖에 명태의 새끼를 부르는 말은 ‘노가리’입니다.
이를 ‘아기태’라고도 한다. ‘애기태’ ‘애태’는 비표준어이니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제 저녁은 북엇국으로 추위를 달랬는데...
오늘 아침에도 먹고 싶네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