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은 우리말로는 잔(盞) 완(碗) 발(鉢 ) 배(盃) 작(爵) 으로 부른다.
같은 잔이라도 사용되는 의식과 품격에 따라 컵의 존칭도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그 목적에 따라 형태도 다르게 제작되고 있다.
컵은 처음에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인 조개껍질, 열매껍질,
짐승의 뿔, 나뭇잎 등으로 만들어 사용되어 오다가 점차 문명이
발달되면서 토기, 나무, 금속, 자기, 유리, 합성슈지, 종이들의
재질로 변화되고 발전되었다. 컵의 기능도 단순히 액체만 담아서
마시는 기능에서 다른 기능을 첨가하여 소리가 나기도 하고
액체를 부으면 안 보이던 그림이 보이기도 하고, 열전도율을
차단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모양이 변하기도 한다.
또 캔들 컵이나 아이스크림 컵, 등잔 컵도 있다. 앞으로도 컵은
인류가 사용하는 다른 식기보다 더 귀한 대접을 받을 것이고
그만큼 그 형태와 기능에 따른 디자인도 다양하게 발전되어
갈 것이다. (이상은 안내문에서 발췌)
캄보디아의 앙코르 왓 시대 15세기 중엽에 만들어져 왕이 사용하였던
용 (Dragon) 청동 주전자와 컵
이 커피셋트는 영국의 Wedge wood 회사에서 제작된 Gold Flower
Dress 셋트로 다이애나 왕비가 생전에 파티에서 가장 애용했다고함
세계 3대 커피잔은
독일의 마이센(Meissen): 유럽에서 본차이나를 독자적으로 처음 개발한
회사로 세계에서 가장 비싸게 팔리는 도자기를 만들고 있다.
덴마크의 호얄 코펜하겐(Royal Copenhagen): 왕의 특별한 관리하에
엄격하게 제품을 제작하여 왕궁에 납품했던 전통에 따라 지금도
그 전통과 기법을 그대로 전수하여 세계에서 두번째 도자회사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영국의 웨지우드(Wedgewood): 전통적인 영국 고유의 디자인과 오랜
도자기술로 영국은 세계의 유명한 도자기 회사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오랫동안 왕실에 납품하였고 세계 곳곳으로 많은 수출을
하고 있다.
로얄 코펜하겐 커피잔, 사진을 따로 찍어 봤다.
독일의 마이센 커피잔
꼭 석류같이 생겼는데 이 설명은 메모를 아무리 찾아도 없어서…
두 개가 나란히 붙은 컵
로마신화 머그컵
1848년 로마 신화에 나오는 여러 신들을 핸드메이드로
머그컵 표면에 만들어 붙인 뛰어난 예술적인 가치를 지닌
컵으로 이태리 예술의 진수를 맛 볼 수 있다.
이것이 두개골 컵이다.
19세기 티베트에서 제작된 것으로 티베트는 윤회사상에 의거하여
사람이 죽으면 천장(혹은 조장) 한다. 새가 살을 전부 먹고나면
남은 뼈로 북, 컵, 피리등을 만드는데 이것은 인간의 정수리 뼈로
만든것이다.
강릉의 많은 박물관 중에서 컵 박물관 한 곳만 보고 온게 좀
아쉽지만 이 한 곳 방문으로도 많은걸 보고 배웠다.
다음 강릉을 다시 가게되면 참소리박물관과 동양자수박물관도
꼭 들려야지 ~~
첫댓글 저는 컵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지송 합니다 데레사님 ^__________^
대부분 그렇지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쁘면
차 맛도 좋을것 같기는 합니다만
두개골 잔은 좀...
그러게말입니다.
저도 두개골 컵은 싫어요.
세계적 명품 도자기 구경 잘 했습니다.
제게도 명품 컵이 1세트(6pcs)가 있습니다.
이태리 지아니 베르사체사(Gianni Versace)입니다.
원래 베르사체는 패션을 주도하는 회사지만 고객을 위해 명품을 주문했던 모양입니다.
아주 오래 전친한 지인이 1세트를 선물했는데..1pc에 $100넘는다고 마누라가 아끼고
쓰지 않습니다.
원래 도자기 하면 하나로 알지만 도기(earthenware 또는 chinawa)와 자기(porcelain)가 합쳐져 도자기(ceramic)라고 하지요. 도기와 자기도 다시 10여 종으로 세분 됩니다. 그기에다 명칭의 앞 부분에 semi(반)를 붙이면 또 세분이 되고...우리 알고 있는 청자나 백자 정도가 아니라 많이 복잡합니다. 그래서 통칭 도자기라고 하지요.
요즘은 대세가 거의 소 뼈를 구워서 갈아 넣은 본차이나(bone china)입니다.
가볍고 얇고 경도가 높은 제품이지요.
다만 주로 장식용(ornament) 아직도 일반 도기나 자기로 생산하고
과거 kitty모형의 인형(figure)은 백운도기(dolomite)라며 백운석을 주재로 한 제품도 있습니다.
논문을 쓰려면 한도 끝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