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로 풀어본 상해종합지수
신한금융투자
위안화로 풀어본 상해종합지수
위안화 환율 안정은 본토 주식시장 추세 전환의 최대 변수로 작용
미국 금리인상 속도 지연과 중ㆍ미 금리스프레드 축소는 위안화 추가 약세 압력 완화
위안화 고평가 논란은 시장의 과도한 판단. 자금 이탈 규모 축소 예상
연내 위안/달러 환율 6.45~6.85위안 구간 내 변동, 위안화의 변동성 완화 전망
위안화와 주식시장의 상관관계
위안화 약세는 중국 주식시장 변동성의 주범이다. 향후 위안화의 추세 변화는 위험선호도와 투자심리를 결정하는 최대 변수가 된다.
구조적으로 ① 위안화 약세는 ② 인민은행의 독립적 통화정책을 제약하고, 이는 할인율과 수급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또한 ③ 위안화 약세가 주도한 자금 이탈은 유동성 경색을 비롯한 금융시장 변동성 심화를 야기한다. ④ 연초 이후 상해종합지수 급락은, 지급준비율과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된 대신 단기 유동성 공급에 그쳐 나타난 실망 매물이 주도했다. 작년 6월 이후 상해종합지수와 위안화 환율은 궤적을 같이한다.
상해종합지수는 이미 합리적 밸류에이션을 이탈했다. 인민은행의 시장 개입으로 외환시장은 단기 안정을 찾았지만,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다.
결국 상해종합지수의 반등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위안화 약세 우려에서 벗어나야 한다. 당사는 2월 중국 주식 전략을 통해 위안화 약세에 대한 시장의 다섯가지 우려를 진단해봤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