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歸農)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경치는 좋지만 이러한 삶은 귀농이 아니다.
귀농은 도회지 생활을 정리하고, 시골에서 전업 농부가 되는 것이다.
농지법상 농업인은, 1,000㎡(약 303평) 이상의 농사를 지어야 한다.
1,000㎡ 미만은 귀농이 아니라 귀촌이다. 그래서 귀농에 주어지는 각종 혜택이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군자삼락(君子三樂)에 비유하여, 농자삼락(農者三樂)이라는 말이 있다.
농사짓는 일을 기쁘게 생각하라는 것이다.
시골에서 살 작정이라면, 주민등록만 옮기는 무임승차는 안 된다.
귀농이 얼마나 어려운지?
서울대학교에서 562가구를 조사했는데, 성공적으로 귀농한 사람은 11.8%뿐이었다.
1. 귀농 여부는 가족과 충분히 상의하라.
반대하는 가족이 있으면, 합의될 때까지 설득해서 동의를 구하라. 그래서 혼자 귀농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역 귀농도 10명 중 1명꼴이다. 그러나 너무 겁먹지 마라.
2. 주말농장에서 텃밭이라도 가꿔봐라.
3. 자금계획을 철저히 세워라.
농사는 처음 하는 일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니 1~2년은 소득이 없다고 생각하고, 최대한 지출을 줄여라.
4. 가족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라.
농촌은 도시 보다,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많다. 따라서 신뢰가 필요하다.
친구, 고스톱, 외식이 있어야 하는데, 거기가 적막강산 아니냐? 난 안 갈란다. 그래서 석 달 만에 외기러기가 된 경우도 있다.
5.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실패 경험담을 들어보면, 실패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6. 귀농 준비를 혼자서 감당하지 마라.
경험자의 말을 들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6, 덜컥 땅부터 사면, 하수 소리를 듣는다. 한 2- 3년 임대하라.
농사는 품앗이다.
담장을 낮추어라. 아니! 아예 없애라!
텃세를 각오하라.
시골 생활
옆집 아저씨에게 “고추는 언제 심으면 되죠?“ 하고 물었더니, 시큰둥하게 ”남이 심을 때 심어!“ 남이 똥 장군 지면 너도 지라고 한다.
경험 많은 어른들이 심을 때를, 눈여겨보라는 것이다.
말투에서 위아래가 없다. 외모로 봐서 나이가 비슷하면, 그냥 맞먹으려고 든다.
친해 보려고 말을 건네면, “왠 놈이? 하며 의아해한다.
그래도 마음의 문을 열고, 한 발짝 다가가면, 허심탄회하게 다가온다.
마을 공동체
집을 지을 때는 물론이고 땅을 구입할 때, 돼지를 잡아 동네잔치를 벌이는 것이 좋다.
내가 어떻게 돼지를 잡아? 그것쯤은 마을 분 중에 전문가가 있다.
유대관계를 넓히기 위해서는, 경조사에 꼭 참석해야 한다.
확성기에서 가수 노래가 나오면, 어떤 어른의 생신이니, 점심 드시러 오라는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애경사가 있는 날일 수도 있다.
이럴 때는 간단한 선물이라도 가지고 가는 것이 좋다. 소주 몇 병이라도,
마을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할 때, 받는 불이익은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잘 모를 것이다.
사람 마음은 어디서나 마찬가지다.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은, 원초적인 본능이다.
그래서 귀농은 잘 아는 고향이 어떨까? 대부분 고향은 피한다. 자신을 숨기고 싶기 때문이다.
환상적인 낙조가 있는, 어촌의 귀어(歸漁)는?
오늘 못 잡으면 내일은 잡겠지! 이런 마음을 가진 사람은, 귀어해도 무방할 것이다.
충남 당진의 귀어 마을
귀어 희망자의 임시 거주 주택은, 이동식으로, 33㎡ 규모(복층형) 11동, 26.4㎡ 규모(원룸형) 3동 등 총 14개 동이다.
주택 내에는 화장실이 있고, 냉장고, TV, 인덕션 등 기본적인 가전제품이 비치되어 있다.
그래서 개인의 생활용품만 가져오면 된다.
입주 비용은 보증금 없이, 복층형은 월 45만 원, 원룸형은 월 30만 원.
첫댓글 당진 귀어 마을은 어디 인가요 한진 장고항 교로리 난지 섬인가요 굼굼 하내요 가까운 동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