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사리뿟따의 경
[Sāriputtasutta] (*1)
『숫따니빠따』, 제4품 ‘여덟 게송’ 중의 16. 사리뿟따의 경
1. [사리뿟따]
“도솔천에서 무리의 지도자로 오신 스승,
그와 같이 아름다운 이야기를
저는 일찍이 본 일도 없고 누구에게서 들은 일도 없습니다.
2. 눈을 갖춘 님께서는 신과 더불어 세상 사람들이 보는 것처럼,
모든 암흑을 벗겨버리고 홀로 기쁨을 성취(*2)하셨습니다.
3. 집착 없이, 거짓 없이, 무리의 지도자로 오신 깨달은 님께
묶여있는 많은 자들을 위하여(*3) 질문을 가지고 이곳에 왔습니다.
4. 비구는 싫어하여 떠나서(*4)
나무 아래, 혹은 묘지나 산골짜기의 동굴 속에
아무도 없는 곳에 자리를 잡습니다.
5. 높고 낮은 침대가 있지만, 얼마나 그곳에는 두려운 일이 벌어집니까?
수행자가 고요한 곳에서 기거한다면, 두려워 할 수가 있겠습니까?
6. 아무도 가보지 않는 곳으로 가는(*5) 비구가
외딴 곳에 기거하면서 이겨내야 하는
얼마나 많은 위험들이 도사리고 있습니까?
7. 스스로 정진하는 비구에게
그의 언어행태는 어떠해야 하고,
세상에서 그의 행동 범주는 어떠해야 하고,
그의 계행이나 맹세는 어떠해야 하는 것입니까?
8. 마음을 통일 시키고, 현명하고, 사띠를 확립한 그 님은
어떤 공부를 해야 자기에게
묻은 때를 마치 대장장이가 은의 때를 벗기듯,
씻어버리는 것입니까?
9. [세존]
“사리뿟따여, 싫어하여 떠남을 닦는 자에게,
깨달음을 구하여 외딴 곳에 기거하는 자에게,
다름 아닌 안락한 경지를
내가 아는 대로 가르침에 따라 그대에게 설명하리라.
10. 슬기로운 비구는 사띠를 확립하고,
한계를 알아 유행하며(*6),
다섯 가지 위험한 것들
즉, 공격하는 곤충, 기어가는 뱀, 약탈하는 사람들과
야생의 동물들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11. 다른 종교의 가르침을 두려워해서도 안 된다.
그들에게 두려워할만한 것이 있을지라도,
착하고 건전한 것을 추구하여,
다른 두려움들도 이겨내야 한다.
12. 질병을 만나고 굶주림에 처하더라도 참아내고,
추위와 무더위도 참아내야 하리라.
여러 가지로 집 없이 그러한 것들을 만나더라도
정진하며 굳세게 노력해야 한다.
13. 도둑질을 하지 말고, 거짓말을 하지 말고,
식물이나 동물이나 모든 생물에게 자애를 베풀어야 하리라.
마음의 혼란을 알아차린다면,
그것이 곧 악마의 동반자라 생각하여, 그것을 제거해야 한다.
14. 분노와 자만에 지배되지 말아야 하고,
그것들의 뿌리를 뽑아버리고, 자신을 확립하여야 한다.
또한 사랑스런 것이나 사랑스럽지 않은 것이나
참으로 모두 극복해서 이겨내야 한다.
15. 지혜를 앞세우고 착함을 기뻐하며 위험을 제거하고,
외딴 곳에 거처하더라도 불만을 참고,
네 가지 비탄의 현상을 견디어 내어야 한다.
16. ‘나는 무엇을 먹을까?’
‘나는 어디서 먹을까?’
‘나는 참으로 잠을 못 잤다.’
‘오늘 나는 어디서 잘 것인가?’
집 없이 유행하는 유학은
이러한 비탄을 야기하는 걱정을 제거하여야 한다.
17. 세상에서 만족을 위해, 분량을 알아,
적당한 때 음식과 옷을 얻고,
그것들 가운데 몸을 수호하고,
마을에서 조심해 거닐고,
괴롭더라도 거친 말로 대꾸해서는 안 된다.
18. 눈을 아래로 뜨고(*7) 기웃거리지 않으며,
선정에 들어 확연히 깨어있어야 하고,
삼매에 들어 평정을 닦아
사념의 경향과(*8) 악행을 끊어버려야 한다.
19. 사띠를 확립한 자는 충고를 들었다면 기뻐하고,
청정한 삶을 사는 동료들에게 마음의 황무지를 버려야 하리라.
때에 맞는 착하고 건전한 말을 하고,
사람들이 뒷공론하듯(*9) 사유해서는 안 된다.
20. 또한 세상에는 다섯 가지 티끌(*10)이 있으니,
사띠를 확립하고 그것을 제어할 것을 배우고,
형상, 소리, 또한 냄새, 맛, 감촉에 대한 탐욕을 이겨내야 한다.
21. 비구는 사띠를 확립하고 마음을 잘 해탈시켜,
이런 것들에 대한 욕심을 제거하고, 적당한 때에 올바로 가르침을 바르게 살피고,
마음을 통일하여 암흑을 제거해야 하리라.”
[이와 같이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
주해(*1) 이것에 해당하는 한역경전은 의족경의 연화색비구니경이다.
이 경은 다른 이름으로 ‘장로의 질문에 대한 경’이란 이름을 갖고 있다.
그 장로는 사리뿟따의 속명인 우빠띳사를 말한다. 아쇼카 왕도 캘커타 바이라뜨 비문에서 이 경에 ‘우빠띳사의 질문’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리고 이 경은 부처님이 도솔천에서 천상세계의 신들에게 간담바 나무 밑에서
한 쌍의 신통력을 행사하여 아비담마를 설하고 지상에 내려올 때의 사건과 관련된 것이다.
천상세계에 있을 때 사리뿟따는 30요자나 떨어진 상깟사나가라에 있었다.
부처님께서 도솔천을 떠나 지상으로 내려 올 때에 아누룻다 장로가 먼저 지상에 알렸다.
상깟사나가라 지방에 내려오셨을 때 수많은 신들과 사람들이 부처님을 장엄하게 환영했다.
이때에 부처님은 ‘선정을 추구하는 현명한 자는 욕망을 벗어나는 적정을 즐긴다.’라는 요지의 설법을 그곳에 모인 자들에게 한다.
그런데 수많은 환영인파 가운데 존자 사리뿟따가 가장 먼저 인사를 해서
세존께서는 그것을 가상히 여겨
‘이 군중 가운데 목갈라나는 신통 제일이고, 아누룻다는 천안 제일이고, 뿐나는 설법 제일인데, 사리뿟따에 대해서는 이 대중이 특정한 성품으로 제일인 것을 모른다. 사리뿟따가 지혜 제일이라는 것을 대중에게 알리면 어떨까’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장로는 세존께서 질문한 범부에 대한 질문, 유학에 대한 질문, 무학[阿羅漢]에 대한 질문을 모두 대답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가 지혜 제일임을 알았다.
세존께서는 사리뿟따가 지금만이 아니라 전생에도 지혜 제일이었다고 말씀했다.
천 명이상의 선인들이 초목의 뿌리나 과일을 먹으면서 산록에서 살았는데,
그들의 스승이 질병이 들었다.
최연장자가 약을 구하러 간 사이에 스승이 죽을 것 같아
제자들은 선정에 관하여 묻자 ‘아무 것도 없다’라고
아무것도 없는 경지[無所有處定]에 관하여 말했다.
제자들은 그가 선정을 성취하지 못했다고 받아들였다.
약을 구한 최연장자가 돌아왔을 때에 스승은 이미 죽었다.
그는 스승이 ‘아무 것도 없는 경지에 대해 말했으므로 존경해야 한다.’고 말하고는
‘천 명이상이 모여도 지혜가 없으면 백년을 울어야 한다. 누가 설해도 그 의미를 모른다면 한 사람이라도 지혜 있는 자가 낫다’라고 노래했다.
세존께서는 이 전생담을 이야기 할 때
존자 사리뿟따는 자신과 함께 사는 오백 명의 비구들을 위해
잠자리와 깔개, 행동규범과 맹세 등에 관하여 세존께 여쭈었다.
이렇게 해서 이 경이 시작한다.
주해(*2) 욕망에서 벗어나는 '출리의 즐거움을 성취한 것'을 말한다.
주해(*3) ‘제자들이 스승에게 묶인 것’의 뜻이다.
주해(*4) '태어남, 늙음, 질병을 싫어하여 떠나서’라는 뜻이다.
주해(*5) ‘불사의 경지로 가는 자에게’라고 읽고 있다.
주해(*6) 네 가지의 한계가 있다.
1) 계율에 대한 수호의 한계,
2) 감관에 대한 수호의 한계,
3) 식사의 알맞은 분량에 대한 수호의 한계,
4) 깨어서 실천하는 것에 대한 수호의 한계.
주해(*7) 땅위의 생물을 죽이지 않도록 땅위를 살피며 걸으라는 것이다.
주해(*8) ‘감각적 쾌락의 욕망에 대한 생각 등의 사념과, 감각적 쾌락의 지각 등에서 오는 사념과, 그 사념의 경향’을 말한다.
주해(*9) ‘사람들이 비난하는 이야기를 하듯’이라는 뜻이다.
주해(*10) 감각적 쾌락의 대상인 형상, 소리, 또한 냄새, 맛, 감촉을 말한다.
- 사리뿟따의 경이 끝났다. -
https://cafe.daum.net/vipassanacenter/42rb/1090
전재성 역주. 쿳다까 니까야 (小部阿含) 『숫타니파타』, 한국 빠알리 성전협회, 2004, 456-462쪽.
일부 용어 변경.
...............
4-16 Sāriputta Sutta
955
Venerable Sāriputta
Never before have I seen or heard
Of a teacher coming from the host of Tusita heaven,
One having such lovely speech.
Na me diṭṭho ito pubbe na suto uda kassaci
Evaṃ vagguvado satthā tusitā gaṇimāgato
956
For the sake of the world with its gods
The Seer appears thus.
Having dispelled all Darkness,
He alone has attained delight.
Sadevakassa lokassa yathā dissati cakkhumā
Sabbaṃ tamaṃ vinodetvā ekova ratimajjhagā
957
To that Buddha,
Unentangled,
Of such good qualities,
Sincere,
Come with his following,
I come with a question on behalf of the many here who are fettered.
Taṃ buddhaṃ asitaṃ tādiṃ akuhaṃ gaṇimāgataṃ
Bahūnamidha baddhānaṃ atthi pañhena āgamaṃ
958-959
For a monk repelled by the world,
Resorting to lonely sitting places -
The foot of a tree, a cemetery, a mountain cave -
Or to various sleeping places:
How many fearful things are there at which he need not tremble,
There in his quiet abode?
Bhikkhuno vijigucchato bhajato rittamāsanaṃ
Rukkhamūlaṃ susānaṃ vā pabbatānaṃ guhāsu vā
Uccāvacesu sayanesu kīvanto tattha bheravā
Yehi bhikkhu na vedheyya nigghose sayanāsane
960
For the monk going where he never before has gone,
How many are the difficulties that he should bear,
There, in his secluded abode?
Katī parissayā loke gacchato agataṃ disaṃ
Ye bhikkhu abhisambhave pantamhi sayanāsane
961
What should be his manner of speech?
What should be the field of his conduct?
What should be that energetic monk’s precepts and practices?
Kyāssa byappathayo assu kyāssassu idha gocarā
Kāni sīlabbatānāssu pahitattassa bhikkhuno
962
For one composed, prudent and attentive,
Undertaking what training could he remove his inner dross
Like a silversmith purifying molten silver?
Kaṃ so sikkhaṃ samādāya ekodi nipako sato
Kammāro rajatasseva niddhame malamattano
963
The Buddha
As one who knows,
I will explain to you what comfort is for someone repelled by the world,
For someone resorting to lonely lodgings,
Desiring awakening in accordance with Truth.
Vijigucchamānassa yadidaṃ phāsu rittāsanaṃ sayanaṃ sevato ce
Sambodhikāmassa yathānudhammaṃ taṃ te pavakkhāmi yathā pajānaṃ
964
A resolute monk,
One who is attentive,
Living a circumscribed lifestyle,
Need not tremble at five fears:
Horseflies, mosquitoes, snakes,
And interactions with humans and animals.
Pañcannaṃ dhīro bhayānaṃ na bhāye bhikkhu sato sapariyantacārī
Ḍaṃsādhipātānaṃ sarīsapānaṃ manussaphassānaṃ catuppadānaṃ
965
He need not fear followers of other religious teachings -
Even on seeing their manifold threat.
He should bear other difficulties too, as he seeks what is wholesome.
Paradhammikānampi na santaseyya disvāpi tesaṃ bahubheravāni
Athāparāni abhisambhaveyya parissayāni kusalānu-esī
966
Affected by illness or hunger,
By cold or suffocating heat,
He should bear it.
That homeless one,
Affected in many ways,
Should make an effort,
Resolutely applying himself.
Ātaṅkaphassena khudāya phuṭṭho sītaṃ atuṇhaṃ adhivāsayeyya
So tehi phuṭṭho bahudhā anoko vīriyaṃ parakkammadaḷhaṃ kareyya
967
He should not steal.
He should not lie.
He should touch beings with good-will,
Both the timid and the mettlesome.
When he is conscious that his mind is disturbed
He should dispel it with the thought:
“It is part of Darkness”.
Theyyaṃ na kāre na musā bhaṇeyya mettāya phasse tasathāvarāni
Yadāvilattaṃ manaso vijaññā kaṇhassa pakkhoti vinodayeyya
968
He should not fall under the control of anger or arrogance;
He should abide having uprooted them.
Then he should master what is loved and hated.
Kodhātimānassa vasaṃ na gacche mūlampi tesaṃ palikhañña tiṭṭhe
Athappiyaṃ vā pana appiyaṃ vā addhā bhavanto abhisambhaveyya
969
Esteeming wisdom,
Delighted by what is morally good,
He should conquer his difficulties.
He should overcome discontent in his secluded resting place.
He should overcome four lamentations:
Paññaṃ purakkhatvā kalyāṇapīti vikkhambhaye tāni parissayāni
Aratiṃ sahetha sayanamhi pante caturo sahetha paridevadhamme
970
“What will I eat?”
“Where will I eat?”
“How uncomfortably I slept!”
“Where will I sleep tonight?”
The person in training,
Wandering homeless,
Should subdue such wailing thoughts.
Kiṃsū asissāmi kuvaṃ vā asissaṃ dukkhaṃ vata settha kvajja sessaṃ
Ete vitakke paridevaneyye vinayetha sekho aniketacārī
971
When offered food and clothing at the appropriate time
He should know how much is enough for contentment.
Self-controlled in this respect,
Acting carefully in the village,
Even when provoked, he should not speak a harsh word.
Annañca laddhā vasanañca kāle mattaṃ so jaññā idha tosanatthaṃ
So tesu gutto yatacāri gāme rusitopi vācaṃ pharusaṃ na vajjā
972
He should restrain his eyes.
He should not be footloose.
He should apply himself to jhana.
He should be very wakeful.
He should practise equanimity and composure.
He should cut off the tendency to doubt and worry.
Okkhittacakkhu na ca pādalolo jhānānuyutto bahujāgarassa
Upekkhamārabbha samāhitatto takkāsayaṃ kukkucciyūpachinde
973
If receiving reproval, remaining attentive, he should welcome it.
He should destroy any unfriendliness he might have for his fellows in the holy life.
He should speak words that are skilful and timely.
He should not think about things which are matters of gossip.
Cudito vacībhi satimābhinande sabrahmacārīsu khilaṃ pabhinde
Vācaṃ pamuñce kusalaṃ nātivelaṃ janavādadhammāya na cetayeyya
974
Furthermore, there are five stains in man
For the removal of which he should attentively train himself:
He should overcome lust for forms,
Sounds, tastes, smells, and tactile sensations.
Athāparaṃ pañca rajāni loke yesaṃ satīmā vinayāya sikkhe
Rūpesu saddesu atho rasesu gandhesu phassesu sahetha rāgaṃ
975
Being attentive,
With a well-liberated mind,
A monk should remove his longing for these things.
Examining the Buddha’s teachings at suitable times,
In suitable ways,
With a composed mind,
He should put an end to Darkness.
Etesu dhammesu vineyya chandaṃ bhikkhu satimā suvimuttacitto
Kālena so sammā dhammaṃ parivīmaṃsamāno
Ekodibhūto vihane tamaṃ so ti
첫댓글 사두 사두 사두 ~~^^
고맙습니다
사두 사두 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