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인이론이랑 비판범죄학은 어떤 책에서는 언급도 안한책도 잇을겁니다....
그러나 정리는 해두실것 공부할것 몇개 업습니다...
낙인이론
그냥 뭐이해하기 쉽게 범죄자에게 낙인을 찍어면 재사회화가 어려우니 다이버젼을 통해 낙인인원수를 줄여보자는 제도라고 알고 잇스면 됨..
1.낙인이론 주장자-탄넴바움,렘머트,베커
2.일탈의 종류
1)1차적일탈-낙인이론에서는 1차적일탈에대해 관심없음
2)2차적일탈=경력일탈=역할감금=사회적반작용---낙인이찍힘에따라 사회화에적응하지 못하고 다시일탈(범죄)를 저지르는 일탈
낙인이론은 이정도만 알면 시험에 어려움 업을겁니다...
비판범죄학
아주쉽습니다..
문제에서 자본주의비판,사회주의,마르크스적관점,개혁주의,정치적참여라는
말이 나오면 무조건 비판범죄학 얘기구나하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표적학자로 봉거와퀴니인데..봉거도 위 비판범죄학에서나오는말과
유사한 단어나오면 답이 100%봉거입니다..
그외에 시험에 자주나오는건 비판범죄학자가 아닌사람은?해서
답이 젤린과 볼드가 자주 출제-이 두사라은 비판범죄학자가 절대로 아닙니다..
문제에서보면 듣도보도 못한사람이 나올땐 이사람도 주장해구나하고 생각하면되지
외울 필요 업습니다...
범죄원인론에서는 이정도면 충분하고도 남습니다...
어차피1-2문제 마니나오면 4문제정도고 기출문제보면 고전주의에서 나왓죠..
엄청 쉽게 나오고 점수줄려는 문제만 나옵니다..
크게 부담가지지 마시기 바랍니다...
범죄대책론이 아주 중요하죠...제도 이해 잘못하면 틀리기 쉽습니다...
내일이나 모레 부터는 범죄대책론을 나가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