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의 국제 보호새로
우리 선조들의 사랑을 받아온 진귀한 새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201호 백조 (고니,큰고니,흑고니)
백조류는 9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고니, 큰고니, 혹고니 3종이 있다.
가을이 되면 추위를 피해 우리나라의 동해안과 남해안에서 겨울을 난 후
북쪽 캄차카 반도에서 동북부 시베리아에 걸친 툰트라 지대의
먹이가 풍부한 환경에서 번식한다.
202호 두루미
두루미는 시베리아, 중국, 일본, 몽고, 한국 등지에 분포하며
한자어로는 학(鶴)이라고 부른다.
두루미과에는 전세계적으로 15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3종만 겨울을 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겨울에 찾아오는 철새로 서해안 갯벌과 철원의 비무장지대에서
겨울을 지내는데, 그 수는 현재 약 350마리 내외로 추정하고 있다.
두루미는 세계적으로 약 1,600마리 정도만 남아있는 멸종위기의
진귀한 새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203호 재두루미
재두루미는 중국, 일본, 몽고, 한국 등지에 분포한다.
두루미가 몸에 흰색을 띠는 것과 달리 회색을 띤다해서 재두루미라고 부른다.
암수 구분없이 몸길이는 119㎝이며, 우리나라에는 겨울에 찾아오는 철새로
경기도 파주지역과 강원도 철원의 비무장지대 등에서
약 300마리 정도가 겨울을 지내고 있다.
재두루미는 세계적으로 4,500∼5,000마리 정도가 남아있는
멸종위기의 진귀한 새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215호 흑비둘기
흑비둘기는 야생비둘기 무리 중 가장 큰 새로 한국, 일본 남부,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32㎝ 정도로 암수 동일하며, 몸 전체가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흑비둘기는 한정된 지역에만 분포하는 희귀한 텃새이므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228호 흑 두루미
흑두루미는 시베리아, 중국, 일본, 한국 등지에 분포한다.
두루미가 몸에 흰색을 띠는 것과 달리 검은색을 띤다해서 흑두루미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는 겨울에 찾아오는 철새로 1986년부터 1997년까지
경상북도 고령군 일대에서 약 200∼300마리가 겨울을 났으나
현재는 전남 순천만에서 약 100∼120마리,
충남 천수만 지역에서 약 50∼60마리가 겨울을 나고 있다.
흑두루미는 세계적으로 약 10,000 마리 정도가 남아있는 진귀한 새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243호 수리류 (독수리,검독수리,참수리,흰꼬리수리)
우리나라에는 지금까지 8종의 수리류가 알려져 있는데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4종만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265호 연산 화악리의 오골계 (충남 논산)
오골계의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며 인도차이나에서 동쪽으로
분포하는 특수한 닭의 한 품종이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조선 선조(재위 1576∼1608) 이전에 이미 사육하고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1962년 경남 양산군 기장면 대라리와
충남 논산군 연산면 화악리의 오골계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대라리의 것은 1981년 질병으로 모두 죽어 해제되고,
현재는 화악리의 것만 남아 있다.
오골계는 우리 선조들의 생활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품종 보존을 하지 않을 경우 사라질 우려가 매우 크기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324호 올빼미,부엉이류
(올빼미,수리.솔.칡.쇠부엉이,소쩍새,큰소쩍새)
수리부엉이
올빼미
큰소쩍새
올빼미와 부엉이류는 오염된 먹이로 인해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번식지를 비롯한 월동지와 서식지의 파괴, 인간에 의한 마구잡이 등의 원인으로
나날이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 올빼미와 부엉이류는 국제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새들로서 우리나라에서도 10종 중 7종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327호 원 앙
원앙은 우리나라와 중국, 소련, 우수리,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암컷·수컷이 항상 함께 다닌다고 하여, 화목하고
늘 동반하는 부부를 빗대어 원앙이라고 한다.
원앙은 세계적으로 20,000∼30,000여 마리 밖에
남아있지 않은 새일 뿐만 아니라, 그 모습이 매우 아름다워
우리의 선조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온 진귀한 새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323호 매류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개구리매, 황조롱이매)
매과에 속하는 새는 전세계에 61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매류 6종이 기록되어 있다.
첫댓글 천연기념물이 이렇게 여러 종류인줄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귀한 천연기념물 아름답기도 하네요.즐감 하고 갑니다.
진도개가 흰색인 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_-
소쩍새의 모습이


와



무셔라



^)^
잘보고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