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궁지에 몰린 상황을 말하는 ‘이판사판((理判事判)’은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의 합성어다.
이판(理判)은 참선 · 경전 공부 · 포교 등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이고, 사판(事判)은 절의 산림(山林)을 맡아 하는 스님이다.
산림이란 절의 재산 관리를 뜻하는 말인데‘산림(産林)’이라고
쓰기도 한다. ‘살림을 잘 한다’에 쓰이는 살림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한말의 국학자 이능화(李能和)가 쓴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하권 「이판사판 사찰 내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판승(理判僧)과 사판승(事判僧)을 설명한다. “조선 사찰에는
이판승(理判僧)과 사판승(事判僧)의 구별이 있다.
이판(理判)이란 참선하고, 경전을 강론하고, 수행하고, 홍법
포교하는 스님이다.속칭 공부승(工夫僧)이라고도 한다.
사판(事判)은 생산에 종사하고,절의 업무를 꾸려나가고,
사무 행정을 해나가는 스님들이다. 속칭 산림승(山林僧)
이라고도 한다.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은 어느 한 쪽이라도
없어서는 안 되는 상호 관계를 갖고 있다.
이판승(理判僧)이 없다면 부처님의 지혜 광명이 이어질 수 없고
사판승(事判僧)이 없으면 가람이 존속할 수 없다.
그래서 청허(淸虛) · 부휴(浮休) · 벽암(碧巖) · 백곡(百谷) 스님
등의 대사들이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을 겸했다.”
조선조에 스님이 된다는 것은 마지막 신분 계층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이기도 했다. 조선시대가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국교로 세우면서 스님은 성안에 드나드는 것 조차 금지되었다.
이 때문에 조선조에서 스님이 된 것은 이판(理判)이 되었건
사판(事判)이 되었건 그것은 마지막이 된 것이다.
그래서 이판사판은 곧 끝장을 의미하는 일이었다.
첫댓글 글쿠나
그렇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