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조과잉 [同調過剩, overconformity]
한자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대충은 알겠는데 구체적으로 뭔지는 잘 모르겠네요
* 동조과잉과 전문화로 인한 무능은 관료제의 병리현상이다 (o)
그냥 외우고만 있어서요 이해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동조과잉은 목표와 수단의 전환을 뜻합니다. 한마디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목표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이죠. 예를들면 국민에게 봉사해야 하는(목표) 공무원이 융통성 없이 원리원칙만(수단) 내세워 국민에게 불편을 주는 경우가 있겠죠.
쉽게 예를 들어서 경기도 여주에 물난리가 나서 수해로 많은 피해가 발생해서 정부구호물자가 여주시에 도착했다고 합시다.그러면 사람들이 재난담당공무원에게 구호를 요청하겠죠? 그런데 공무원이 아직 정부에서 국무총리가 재난구역을 선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굶어죽어가는 사람들에게 구호품의 인도를 거절하는 경우가 있다면 그것이 동조과잉입니다. 그리고 전문화로 인한 무능이라는 건 자신의 일밖에 몰라서 다른 일은 모르는 것을 말합니다.
첫댓글 동조과잉은 목표와 수단의 전환을 뜻합니다. 한마디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목표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이죠. 예를들면 국민에게 봉사해야 하는(목표) 공무원이 융통성 없이 원리원칙만(수단) 내세워 국민에게 불편을 주는 경우가 있겠죠.
쉽게 예를 들어서 경기도 여주에 물난리가 나서 수해로 많은 피해가 발생해서 정부구호물자가 여주시에 도착했다고 합시다.그러면 사람들이 재난담당공무원에게 구호를 요청하겠죠? 그런데 공무원이 아직 정부에서 국무총리가 재난구역을 선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굶어죽어가는 사람들에게 구호품의 인도를 거절하는 경우가 있다면 그것이 동조과잉입니다. 그리고 전문화로 인한 무능이라는 건 자신의 일밖에 몰라서 다른 일은 모르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