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영업자문제가 코비드19로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자영업자의 실태와 해결책을 알아봅니다.
Structural problems drive self-employed into 'Squid Game'
자영업자를 ‘오징어게임’ 으로 내모는 구조적인 문제
By Yoon Ja-young 윤자영기자
Posted : 2021-09-30 09:02
Updated : 2021-09-30 09:02
Korea Times
The self-employed hold 24.6 percent of all jobs in Korea, sixth highest among OECD nations
한국내 자영업자 비율은 24.6%롤 OECD 회원국 중 6위
In the hit Netflix series, "Squid Game," the main character, Seong Gi-hun, joins the fight-to-the-death challenge, driven by the 400 million won he owes, after the failure of his restaurants, a business he started after losing his job at a car manufacturing company. Hit by the COVID-19 pandemic and changes in the economy, many small business owners say they are no different from
Seong.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에서 주연인 성기훈은 자동차제조회사에서 실직한 후 시작한 식당사업 실패로 진 빚 4억원 때문에 죽음을 걸고 싸우는 게임을 하게 된다. 코비드19로 발생된 경제적 변화를 겪은 많은 자영업자들은 자신들이 성기훈과 다를 바 없다고 말한다.
In an internet forum on the country's top search engine and platform, Naver, where the self-employed share information, a man who runs a small sushi restaurant said he could not take his eyes off the show. "The show depicts in detail what it is like to be on the edge of a precipice," he wrote. Another said he felt like he was living right in the middle of the game.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re will be no prize money even if I win," he commented.
우리나라의 최고 검색엔진 네이버의 자영업자 정보공유 인터넷포럼에서 한 작은 스시 식당을 운영하는 사람은 쇼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 쇼는 벼랑 끝에 있는 상황을 상세하게 묘사했다.”고 했다. 다른 사람은 자신이 그 게임 중에 살고 있는 것 같이 느꼈다고 말했다. 오직 차이는 “이긴다 해도 상금이 없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Self-Employed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at least 22 small business owners have taken their own lives since the coronavirus pandemic began. One of them retrieved the deposit for her one-room studio apartment so as to pay her part-time workers before committing suicide. For many, even if the business is continuously incurring losses, immediately shutting down is not an option because they cannot terminate their rental contract without losing additional deposit money.
전국 자영업자 비상대책위원회에 의하면 최소한 22명의 소규모자영업자가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 자살했다. 그중 한사람은 자살하기전에 자신의 원룸아파트의 보증금을 받아서 비정규직 직원들의 급여를 주었다. 많은 경우 사업이 손실이 생겨도 바로 문을 닫지 못하는 것은 보증금을 손해보지 않고 임차계약을 종료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government is providing some aid to business owners who have suffered losses during the pandemic, but it is far from enough. Experts say there were already too many structural problems behind the suffering of the self-employed since even before the pandemic.
정부는 팬데믹으로 손실을 보고 있는 자영업자들에게 지원을 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이전에도 자영업자의 어려움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Post-IMF crisis, high numbers of self-employed
IMF위기 이후 증가한 자영업
"Follow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massive layoffs drove those who were once salaried workers to start businesses, as they had nothing else to do. As Korea's social safety net is not strong enough yet, the unemployed cannot remain jobless for long. They must do whatever they can," said Ha Joon-kyung,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t Hanyang University in Ansan, Gyeonggi Province.
“1997년 아시아의 금융위기에 따른 대규모 실업은 봉급생활자들이 할 일이 없어서 사업을 시작할 수 밖에 없었다. 한국의 사회안전망이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에 실업자들이 장기간 실업상태로 있을 수 없다. 그들은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경기도 안산에 있는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하준경 교수는 말했다.
He said that Korea's hierarchical work culture also prompts people to turn to self-employment.
그는 한국의 계층적인 노동구조가 자영업으로의 전환을 촉진했다고 말했다.
"As the hierarchy is very rigid in companies, workers often experience unjust gapjil from their bosses. They come to think, 'Maybe I should be my own boss,'" he said, explaining why Korea has so many small merchants. "Gapjil" is a Korean term that refers to the authoritarian behavior on the part of a person in power towards people on the weaker end of a power relationship.
“계층이 대단히 견고한 회사에서는 윗사람으로부터 부당한 갑질을 경험한다. 이때 그들은 ‘아마 내가 나의 보스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고 한국에 자영업자가 많은 이유를 설명한다. “갑질”은 힘의 관계상 힘이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에게 권위적인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한 한국적인 용어이다.
According to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ERI), the self-employed hold 24.6 percent of all "jobs" in Korea, which is the sixth highest figure among the 3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member countries, behind Colombia, Mexico, Greece, Turkey and Costa Rica.
한국경제연구원 (KERI)에 의하면 한국의 자영업자 비율 24.6%는 35개 OECD 회원국 중 6위이며 콜롬비아, 멕시코, 그리스, 터키, 코스타리카 다음이다.
"The total percentage of the self-employed tends to fall as per capita income increases, but it is exceptionally high in Korea. If Korea were to follow the trend of the graph, this figure would be at around 18.7 percent," said Kim Yong-chun, the chief of research on the job policy team at the institute, pointing to the fact that Korea's percentage of self-employed is much higher than the norm, including those of the U.K., France, Japan, Germany and the U.S.
“가구당 소득이 증가면 자영업자비율은 떨어지는 데 한국은 예외적으로 높다. 한국을 그래프추세에 적용하면 18.7% 정도이다.”라고 이 연구원 직업정책팀의 김용춘 선임연구원이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 미국 등의 수치보다 한국의 자영업비율이 훨씬 높다는 점을 지적하며 말했다.
He also pointed out that most of the self-employed in the country are concentrated in just a few sectors. Among them, 43.2 percent are in sector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such as wholesale and retail, lodging and restaurants.
그는 우리나라의 자영업이 일부 업종에 집중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43.2%가 도매, 소매, 숙박업, 식당 등 일상생활과 긴밀한 업종이다.
"These types of businesses have low entry barriers, but the profitability and survival rates are also low. In the case of the lodging and restaurant businesses, the ratio of the earnings to sales stands at a mere 1.24 percent, and only one out of five of these businesses lasts for more than five years."
“이런 형태의 비즈니스는 진입장벽이 낮지만 이익율이 낮고 잔존율 또한 낮다. 숙박 및 식당업의 경우 매출대비 이익율이 1.24%이고 5년안에 5개중 1개가 살아남는다.
The shift in consumption practices to online platforms is also hitting many merchants who rely on traditional offline business models. "As consumers are making purchases using online information, big players like franchises that can invest in online marketing have a competitive edge. Small players, meanwhile, find themselves in a dilemma as their profitability will be hurt if they increase their spending on advertising in order to pull up sales," a report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the Future notes.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소비의 변화는 기존의 오프라인 비즈니스모델에 의존하는 상인들에게 타격을 주었다. “소비자들이 온라인 정보를 이용해서 구매를 하면서 프랜차이즈 같은 대기업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투자를 할 수 있어서 경쟁력을 가진다. 한편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판매를 증가시키기 위해 광고를 하면 수익성이 떨어지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고 한국미래연구원의 보고서는 말한다.
The country's declining population is another significant concern, the report says.
우리나라의 인구감소는 또 다른 중요한 우려사항이라고 보고서는 말한다.
"Korea might be able to maintain such a high number of self-employed people, if the population were to continue increasing. The population, however, started decreasing from its 2019 peak, and the percentage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the main consumers, has been decreasing."
“한국은 인구가 계속 증가한다면 많은 자영업자의 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인구는 2019년을 고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고 주 소비자층인 20대와 30대 젊은 이들의 비율도 감소하고 있다.”
A more immediate threat is the rising interest rate, with the self-employed holding 858.4 trillion won in total debt as of the second quarter, up 13.7 percent from last year. Among the indebted self-employed, 10.9 percent are categorized as "vulnerable," which means that they will fall short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pay back their debt in full. Following the 0.25 percentage point hike in August, the central bank hinted that there would be a further hike before the end of this year, and it is estimated that a 0.5 percentage point hike in interest rates will increase their average annual burden by 530,000 won to 3.73 million won per person.
보다 즉각적인 위협은 이자율인데 자영업은 2사분기말 현재 지난 해보다 13.7% 증가한 858조 4천억원의 부채를 가지고있다. 부채를 가진 자영업자들 중 10.9%는 부채를 갚을 수 없는 “취약계층”으로 분류된다. 8월에 0.25% 인상한데 이어 한국은행은 올해 말 이전에 추가 인상을 시사하고 있는데 0.5%의 인상이 예상되고 개인별로 연평균 530,000원에서 373만원까지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Transitioning to other sectors
다른 부문으로 전환
Professor Ha said that creating decent jobs is the most crucial solution for the issue of Korea having "too many self-employed," but this won't be easy.
하교수는 한국의 “너무나 많은 자영업자” 문제의 가장 좋은 해법은 좋은 직업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Decent jobs are provided by conglomerates, but they can't hire as many as before, because industries have been shifting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s. Globalization has also moved jobs overseas."
재벌은 좋은 직업을 제공하지만 제조업은 서비스업으로 변환되고 글로벌리제이션이 일자리를 해외로 옮기기 때문에 재벌도 예전처럼 많은 사람을 고용할 수 없다.
The pandemic has negatively affected conglomerates' capacity for hiring, too. According to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48.4 percent of companies listed on the main KOSPI bourse slashed their number of employe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year.
팬데믹도 재벌의 고용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경제연구원 (KERI)에 의하면 KOSPI 상장사들 중 48.4%가 올해 상반기에 직원들을 감원했다.
While the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to 9,160 won per hour ($8), set to take effect in 2022, will also hit the self-employed, as they have to pay their workers, Ha says that this factor can enhance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the sector in the long term.
2022년부터 최저임금을 시간당 9,160원으로 인상하는 것도 직원들에게 급여를 줘야하는 자영업자들에게는 타격이다. 하교수는 이 요인은 장기적으로 이 부문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As a higher minimum wage increases costs, it will prompt restructuring in the long term. This can decrease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he self-employed," he said.
“임금인상이 원가를 상승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구조조정을 촉진할 것이다. 자영업자들 간의 과도한 경쟁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The Korea Institute for the Future points out tha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these structural problems and take measures to transition the self-employed into the salaried job market or help them switch to other sectors that have better business prospects, instead of making them just sustain the same business despite slim chances of survival.
한국미래연구원은 정책입안자들이 구조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자영업을 급여직으로 전환, 잔존확율이 낮은 업종 대신 전망이 있는 비즈니스로 전환 등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한다고 지적한다.
"Currently, job training programs for the unemployed are mostly focused on sectors like restaurants, which have a low entry barrier but a high possibility of failure. These programs should shift to sectors with better growth potential," it added.
“현재 실업자들을 위한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대부분 진입장벽이 낮고 실패 가능성이 높은 식당 같은 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성장가능성이 있는 부문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징어게임 #자영업자 #좋은 일자리 #자영업자비율 24.6% #한국경제연구원 #한국미래연구원